• 제목/요약/키워드: user experience, UX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22초

소셜 미디어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예술품 거래 시스템을 위한 프로토타입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Prototype for Blockchain-based Artworks Trade System Interoperating with Social Media)

  • 이은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105-11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작품을 거래하는 예술가들과 구매자들이 서로 신뢰할 수 있는 거래 상대자를 찾고, 안전한 거래를 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계약 시스템과의 연동되는 UX의 모바일 프로토타입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프로토타입을 활용하여 모바일 UX(User Experience)의 설계를 비용 효율적으로 검증한다. 개발된 프로토타입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다. 첫째, 소셜 미디어 사용자들이 추가적인 설명이 없이도 사용이 가능한 수준의 친숙한 UX를 구현한다. 둘째, 상대의 평판도를 확인할 수 있어서 사용자들이 자신의 평판도를 높일 수 있는 공정한 거래를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셋째, 전세계 사용자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UX를 구현한다. 넷째, 소셜 미디어 시스템과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구현한다.

음성 에이전트 상호작용에서 선행 발화가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홈 맥락에서 대화 유형 조건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Preceding Utterance on the User Experience in the Voice Agent Interactions - Focus on the Conversational Types in the Smart Home Context -)

  • 강예슬;나경화;최준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620-631
    • /
    • 2021
  • 이 연구는 스마트 홈 환경에서 대화 주제 유형에 따라 음성 에이전트의 선행 발화 방식이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과제 중심적 대화와 관계 중심적 대화의 두 가지 대화 유형을 바탕으로, 스마트 스피커의 발화 방식을 선행 발화와 후행 발화로 구분하여 네 가지 시나리오를 제작하였다. 온라인 실험을 진행하여 총 62명의 참가자를 발화 방식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어, 대화 유형의 두 가지 시나리오를 진행하게 하고, 호감도, 심리적 저항감, 지각된 지능의 사용자 경험 요인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대화 유형 중 과제 중심적 대화에서 호감도의 주효과가 나타났고, 발화 방식에서 선행 발화에 대한 심리적 저항감의 주효과가 나타났다. 선행 발화 방식은 과제 중심적 대화에서 호감도와 지각된 지능을 높이는 효과를 보였다.

연상된 사용자 경험정보 축척 및 분석을 위한 AUX 모델 (AUX Model for restoring and analyzing Associative User Experience informations)

  • 류춘열;양해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586-596
    • /
    • 2011
  • 현재 IT 분야는 응용을 수행하는 처리 장치가 소형화, 고성능화되고, 센서 기술의 비약적 발달로 인해 다양한 스마트 기능 실현이 가능해지고 있다. 특히, 측정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분석 및 예측을 시도하는 UX(User Experience) 분야는 UI(User Interface)를 중심으로 최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실세계에서 행동하는 사용자 경험 정보를 효과적으로 분류하고 저장하는 표준화된 형식의 공통 프레임워크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하다. 본 논문에서는 실세계에서 센싱되어 해석되는 다양한 사용자의 행동정보를 체계적으로 저장 및 참조하기 위한 정보 표현 모델로 AUX(Associative User Experience) 모델과 처리구조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표현모델과 처리체계 분리는 인문적인 사용자 정보의 특성과 기술적인 처리체계의 독립을 통해 AUX 모델 적용 및 처리체계에 전문성과 생산성 및 유연성을 보장한다. AUX 모델은 관심 있는 사용자의 다양한 동작 정보를 확장된 E-TCPN 모델을 이용하여 표현하였다. 그리고 AUX 모델을 응용에서 참조할 수 있도록 XML을 이용한 자료구조로 표현하였다. XML로 표현된 AUX 모델은 응용에서 처리할 수 있는 AUX 정보처리 아키텍처를 설계하고, 이를 적용하여 성능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VOD 서버의 스트리밍 트래픽을 할당하는 MPP 알고리즘을 개선하여, AUX가 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VOD의 MPP 트래픽 할당 기법에 적용하고, 동작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AUX 모델을 적용한 MPP 트래픽 할당 알고리즘은 적용하지 않은 알고리즘에 비해 재생 편차가 10.41%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성능분석 결과는 사용자의 접근 매체 유형과 접근 콘텐츠 정보를 AUX로 변환하여, 동적 트래픽 할당을 위한 MPI, CPI 계산 결과가 스케듈링에 반영되어 재생 성능이 향상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지능형 챗봇 서비스 이용에 대한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the Intelligent Chatbot Services)

  • 이명수;김상훈
    • 서비스연구
    • /
    • 제7권3호
    • /
    • pp.37-55
    • /
    • 2017
  • 최근 많은 기업들에서 고객관계관리의 효과적 수행을 위해 그 활용이 확산되고 있는 챗봇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지능형 챗봇 서비스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관련 이론들을 고찰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인 허니콤모형, 이성적행동이론, 기술수용모형 및 확장된 기술수용 모형 등 4가지 이론적 모형에 근거하여 연구모형 및 가설을 도출하였다. 연구모형 및 가설에 대한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은 233부의 유효한 설문 응답결과들을 대상으로 SmartPLS 3.0에 의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론적 측면에서 볼 때 본 연구는 지능형 챗봇 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도출하기 위한 개념적 틀을 제시하고 대규모 표본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함으로써 향후 지능형 챗봇 서비스 이용 연구의 이론적 기반을 구축한 기여를 하였으며, 실무적인 기여는 지능형 챗봇 서비스를 도입 활용하고자 하는 조직들에 대해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UX) 설계 방향의 실마리를 제공하였다는 점이다.

가정용 로봇의 피드백 움직임과 접근-회피 행동에 따른 사용자 경험 연구: 작업 수행 상황을 중심으로 (A Study of User Experience Based on Feedback Positioning of Home Robots and Approach-Avoidance Behaviors: Focused on the Context of Tasks)

  • 나경화;김환주;강현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8호
    • /
    • pp.225-234
    • /
    • 2021
  • 팬데믹으로 인해 생활의 중심이 집으로 이동함에 따라 집을 다양한 활동에 최적화된 공간으로 만들어줄 수 있는 가정용 로봇의 개발이 활발하다. 이 연구는 로봇이 작업을 수행하는 상황에 따라 피드백을 하기 위한 접근 또는 회피 움직임이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작업 수행 상황과 움직임 조건에 따라 6가지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각 조건에 따른 호감도, 인지된 지능, 친밀감, 부정적 태도, 행동 예측가능성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작업 수행 상황에서는 인지된 지능과 친밀감, 행동 예측가능성에서 주효과가 나타났고, 움직임 조건에서는 호감도, 인지된 지능, 친밀감에서 주효과가 나타났다. 상호작용 효과는 호감도와 인지된 지능에서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로봇의 움직임에도 접근-회피 경험을 적용할 수 있고, 회피에 따른 부정적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A Review of Cross-Cultural Design to Improve User Engagement for Learning Management System

  • Farhan Hanis Muhmad Asri;Dalbir Singh;Zulkefli Mansor;Helmi Norma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8권2호
    • /
    • pp.397-419
    • /
    • 2024
  • Online learning has become a widespread practice for students and teachers in acquiring and delivering knowledge. Education platforms have become prominent in the 21st century with the evolution of technology and the accessibility to online learning. As a result, various learning management systems (LMSs) have been introduced to facilitate online interaction between users. For instance,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t school. However, there is a need to emphasise user engagement in LMS to enhance the online learning experience amongst students since the design of LMS affects user engagement. This study utilis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SLR) that examined 74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14 and 2023, focusing on cross-cultural design (CCD), user-centred design (UCD), and usability in LMS design. This study aimed to review CCD and its association with UCD, user interfaces (UI), and user experience (UX) in the context of LMS. CCD has been introduced as an approach to design that embraces different cultures, languages, and social contexts, while UCD plays a significant role in defining user engagement for LMS. All elements in CCD and UCD help create a better user experience for LMS. Besides, this study reviewed the usability of selected LMS to give insights to developers in creating a positive user engagement. An insight into cultur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usability of LMS has revealed their value for LMS design, such as the UI/UX elements. Initially, this study may guide future researchers in improving education quality by emphasising CCD and LMS usability, which can enhance user engagement.

모바일웹 구축 시 UI/UX 적용 사례 분석 : 대학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A Analysis on the Cases Applying UI/UX in the Mobile Web : Focusing on the University Homepage)

  • 이명숙;이경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4권4호
    • /
    • pp.111-116
    • /
    • 2015
  • 본 연구는 최근 뉴미디어 시대에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UI/UX 분야에 대해 짚어보고 전국의 국립대학을 대상으로 홈페이지를 조사분석하여 모바일웹에 적용된 UI/UX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먼저 PC웹, 모바일웹, 모바일앱에 대한 비교 분석, 전국 국립대 홈페이지 현황 조사, 대학의 PC웹과 모바일웹의 표현 및 사용 비교 조사, 계명대학의 모바일웹이 UI/UX 원칙에 어느 정도 적용하였는지 등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대부분의 모바일웹 페이지는 UI/UX를 적용한 사용자 입장의 설계가 많이 부족하였고, PC웹의 방대한 자료를 최적화시켜서 표현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UI/UX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여 모바일웹 설계에 적용하여야 할 사용자 경험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자동차 음성인식 인터랙션의 안전감과 만족도 인식 영향 요인 : 에이전트 퍼소나와 사용자 경험 속성을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Safety and Satisfaction with In-Vehicle Voice Interaction : With a Focus of Agent Persona and UX Components)

  • 김지현;이가현;최준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573-585
    • /
    • 2018
  • 커넥티드카 시스템에서 인공지능 음성인식 인터페이스 기기를 통한 주행 안내 및 엔터테인먼트 서비스가 상용화되고 있다. 이 연구는 차량용 음성 에이전트의 개발사를 IT와 자동차 제조사로 구분하여, 운전자의 안전감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에이전트의 퍼소나와 사용자 경험 속성들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자동차 시뮬레이터 주행 실험에서, 참가자들은 음성인식 에이전트를 통해 엔터테인먼트와 내비게이션조작 과제를 수행하고 안전감과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안전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선행요인은 에이전트 제조사의 신뢰도였으며, 퍼소나 요인은 따뜻함과 매력으로 나타났고, UX요인에서는 효율성과 배려로 나타났다. 만족도에서는 선행요인 중 에이전트 제조사의 일치 여부와 운전자 성별이, 퍼소나 속성은 거리감 적음, UX 측면에서는 편리성, 효율성, 사용 용이성, 배려가 유의미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의의와 기여점은 자율주행 환경에서 대화형 VUI를 핵심 인터랙션 모드로 발전시키기 위해 어떤 요인들을 우선해야 할 것인지 선별한 실증적 결과를 제시한 데 있다.

비접촉식 동작인식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 전망 (Prospect of Non-Touch User Interface Technique)

  • 김수균;성경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242-247
    • /
    • 2014
  • 접촉식 동작인식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touch user interface)의 발전은 새로운 사용자 경험(UX)인 아이폰의 등장과 성공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애플 아이폰이 출시된 이후, 기존에 많이 쓰였던 전통적인 사용자 경험인 키보드와 마우스라는 큰 틀에서 벗어나게 된다. 현재는 4세대 기술인 비접촉식 동작인식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이 접촉식 인터페이스 기술을 대체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3세대에서 4세대로 이동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접촉식 인터액션 기술에 대한 선도기업을 중심으로 소개할 예정이며, 현재 선보이고 있는 최신 기술과 향후 선보일 기술에 대해 분석하고 비교해 본다.

감성을 기반으로 하는 AI 패션 특성 연구 -사용자 중심(UX) 관점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I Fashion based on Emotions -Focus on the User Experience-)

  • 김민선;김진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26권1호
    • /
    • pp.1-15
    • /
    • 2022
  • Digital transformation has induced changes in human life patterns; consumption patterns are also changing to digitalization. Entering the era of industry 4.0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a new paradigm in the fashion industry, the shift from developer-centered to user-centered in the era of the 3rd industrial revolution. The meaning of storing users' changing life and consumption patterns and analyzing stored big data are linked to consumer sentiment. It is more valuable to read emotions, then develop and distribute products based on them, rather than developer-centered processes that previously started in the fashion market. An AI(Artificial Intelligence) deep learning algorithm that analyzes user emotion big data from user experience(UX) to emotion and uses the analyzed data as a source has become possible. By combining AI technology, the fashion industry can develop various new products and technologies that meet the functional and emotional aspects required by consumers and expect a sustainable user experience structure. This study analyzes clear and useful user experience in the fashion industry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AI algorithms that combine emotions and technologies reflecting users' needs and proposes methods that can be used in the fashion industr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tilize information analysis using big data and AI algorithms so that structures that can interact with users and developers can lead to a sustainable ecosystem. Ultimately, it is meaningful to identify the direction of the optimized fashion industry through user experienced emotional fashion technology algorith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