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ability of product

검색결과 296건 처리시간 0.034초

아이폰 사용자의 감성경험디자인 유형 분석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Emotional experience design types of iPhone users - Focused on Q-methodology -)

  • 이영주;이호은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
    • 제38권
    • /
    • pp.312-320
    • /
    • 2012
  • 본 연구는 아이폰을 선호하는 사용자의 감성경험디자인 요소의 주관적 관점을 밝히는데 초점을 두었으며 주관성 연구를 위해 Q 방법론을 통해 4개의 유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제 1 유형은 사용편의성 추구 유형으로 아이폰에 대한 충분한 사용적 이해가 있는 개인의 사용행태에 따른 기능, 이해의 용이성, 물리적 느낌, 사용성 모두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 2 유형은 심미성 추구 유형으로 제품의 시각적인 정보에 의한 직관적이고 주관적인 심미적 인상을 중요하시는 유형을 구분되었다. 제 3 유형은 차별적 감성 추구 유형으로 자기 이미지나 자기가 소유한 제품을 통해 다른 이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중요하게 여기는 유형이며 제 4 유형은 아이폰에 대한 적극적이며 절대적인 선호도를 가지고 있는 유형으로 파악되었다.

스마트 폰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연구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of Smartphone Camera Application)

  • 김응철;김승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221-226
    • /
    • 2017
  • 본 연구는 현대인의 필수품이라고 할 수 있는 스마트 폰 사용 환경 속에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과 촬영한 사진을 SNS에 공유하는 조작 환경에 대해 사용자 경험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조작, 편집, 공유 등 3가지 측면을 중심으로 총 10가지의 태스크를 선정하여 20대 남녀 각각 4명, 총 8명을 대상으로 태스크 수행을 한 후 수행시간을 측정하였다. 안드로이드 모바일 운영체제의 대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Samsung Experience 8과 LG UX 6.0을 중심으로 진행된 실험 결과, 3가지 측면에 대해서 인터페이스별로 사용성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과정에서 피실험자 모두 조작의 편이성과 다양한 기능을 장점으로 꼽았다. 하지만 다양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만큼, 텍스트 기반의 복잡한 인터페이스는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향후, 사용자 인터페이스별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 향상을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효과적인 측량 성과물 작성 및 사용자 편의성 강화를 위한 GNSS 현장 측량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GNSS Field Survey System for Effective Creation of Survey Result and Enhancement of User Convenience)

  • 박준규;김민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03-210
    • /
    • 2017
  • 우리나라는 국가 위성기준점 망, 가상기준점 서비스 운영 등 실시간 정밀위치결정을 위한 선진화된 인프라를 구축하고,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나가고 있다. 하지만 국가적 인프라 활용에 있어 취득된 공간정보를 가공하여 최종 성과물 도출까지는 많은 과정을 거쳐야하며, 이 과정에서 외산 소프트웨어에 대한 의존성이 높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GNSS 측위 데이터 및 현장 측량시스템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실시간 정밀위치 결정과 효과적인 성과물 작성이 가능한 GNSS 현장 측량시스템을 개발하고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연구를 통해 사용자 편의성과 활용성을 향상시킨 실시간 GNSS 현장 측량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시스템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현황측량을 수행하고 성과물을 제작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 측량시스템과 성과를 비교하여 개발된 GNSS 현장 측량시스템의 활용성을 제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개발된 시스템은 실시간 측량에서 성과물의 생성까지 일련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며, 외산 소프트웨어의 대체로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어 측량업무의 효율성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일반의약품 설명서의 이해도와 적정 사용가능성 평가 (Assessment of Readability and Appropriate Usability Based on the Product Labelling of Over-The-Counter Drugs in Korea)

  • 이인향;이형원;제남경;이숙향
    • 약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333-345
    • /
    • 2012
  • A product labelling is one of key tools in ensuring that a patient uses drugs safely and effectively in self-care without professional suppor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adability and comprehensibility of the information contained on two package inserts of medicines. Two package inserts were tested with first year college students. Fifty-one potential consumers underlined words they could not understand and answered 10 scenario questions. Any differences among group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were statistically tested. Secondly, the readability of two package inserts was assessed with comparison to the level of the 6th grade Korean textbooks. As results, more than 80% of participants properly replied to straightforward questions concerning indication, dosage, duplication, use in pregnancy and contraindication, and 73% about formulation. Less than half answered correctly in multiple choice questions about pediatric use (41%) and side effects (35%). Little discrepancy was observed in the comprehensibility between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Drug inserts contained about 20% more professional-level words than 6th grade textbooks. In conclusion, Korean consumers may face challenges to understand drug information due to professional terminology and outdated expressions in the current package inserts. To secure safe and effective use of over-the-counter agents, greater efforts should be made to develop more consumer friendly labels. In the other hand, educational supports are required to prepare consumers in a proper level of knowledge for the safe use of drugs.

제품 사용 초기 단계의 사용자 감성 평가 (Measuring user's emotions in interacting with new product)

  • 정상훈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2-85
    • /
    • 2008
  • 사람과 제품의 인터랙션 과정 중에서 제품 사용 초기 단계에서의 사용자 감성을 평가해 보기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처음 접하는 휴대폰을 사용하는 도중에 표출되는 사용자의 감성을 평가해 보았다. 전반적으로 사용성 측면을 상당히 고려하여 디자인한 제품이라고 할 수 있는 휴대폰의 경우 높은 사용적 만족성과 낮은 불편성이 표출되었다. 반면에 전반적으로 새로운 기능과 스타일에만 집중하여 사용자의 사용성 측면에 대해서는 다소 불편한 제품이라고 할 수 있는 휴대폰의 경우 낮은 사용적 만족성, 높은 불편성이 표출되었지만 그 외 심미성, 신규성, 유쾌성, 우수성에서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가지고 성급하게 제품의 사용성과 사용자의 감성에 대한 결론을 내리기에는 다소 미흡하지만 향후 제품 경험 시간에 따라 표출되는 사용자의 감성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제품의 사용성과 사용자의 감성 간의 관계를 보다 더 명확하게 밝혀낼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PDF

Hip Protector Design Process for the Korean Elderly

  • Jeon, Eun-Jin;Kim, Hee-Eun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20-530
    • /
    • 2016
  •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an ergonomic design process for hip protector based on previous studies, existing products, multidisciplinary experts opinion, and wearing test. The elderly are more likely to suffer a hip fracture when they fall due to their physical changes in skeletal form, muscle quantity, bone density, and joint movement. A hip protector is an effective product to prevent hip fractures in the elderly but it also has a problem in that it is uncomfortable. Therefore there is a high chance that it won't be able to prevent hip fractures properly. Since the comfort of a hip protector is one of the most critical elements in preventing a hip fracture, we need to keep improving the hip protector for mobility and usability.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limitations of current hip protector products, we need to come up with an optimal design for the Korean elderly. First, knowledge has to be built relating to the ergonomic design of the hip protector considering body shape and size analysis using 3D-scan data, and biomechanical analysis on hip fracture. Second, we need to develop a design process including hip protector pattern design, and wearing evaluation with virtual system. Third, we suggest to reevaluate and verify the design procedure from impact evaluation using testing simulator, virtual evaluation of impact, to wearing comfort and usability evaluation. This design process presented in this study would b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rgonomic hip protector which is suitable for the Korean elderly.

중국 인공지능 스피커 사용자 경험에 관한 연구 - 티몰 지니와 샤오미 스마트 스피커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of Smart Speaker in China - Focused on Tmall Genie and Mi AI Speaker -)

  • 소신정;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409-414
    • /
    • 2018
  • 최근 중국의 스마트 스피커 사용량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스마트 스피커 사용자의 사용자 경험을 조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 스피커의 이론적 배경에 관한 문헌 연구와 세계적으로 인기있는 스마트 스피커 브랜드에 대한 사례 연구를 하였다. 이에 따라 중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스마트 스피커 제품인 티몰지니와 샤오미 스마트 스피커 사용자 8명을 심층 인터뷰하였다. 인터뷰는 피터 모빌의 허니콤 모델의 7가지 원칙에 바탕으로 문제를 설정했다. 그 결과, 스마트 스피커의 유용성과 사용성에서 사용자들의 불편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신뢰성에서는 사용자들이 스마트 스피커를 이용하면서 큰 불만을 느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스마트 스피커 사용자들에게 기능성과 사용성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자 경험 측면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스마트폰에서 펜 방식과 터치 방식의 사용성 평가 (Usability Evaluation between Pen and Touch Method in SmartPhone)

  • 한상근;송승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18-519
    • /
    • 2014
  • 최근 기술의 발달에 의하여 펜을 입력 방식의 스마트폰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손을 이용한 터치방식과 동시에 펜을 입력도구로 하는 입력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에서 펜 방식과 터치 방식간의 사용자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보자 5명, 전문가 5명을 모집하였다. 모든 참가자들에게 터치방식의 과제와 펜 방식의 과제를 순차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예행연습과 같은 초기 연구로서 과제수행후 구조화되지 않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제시된 과제의 성격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을 발견하였지만 전반적으로 터치방식을 선호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특히 초보자 집단이 펜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펜 입력 방식의 확장성에 어떠한 시사점이 있는지, 이를 통한 제품개발에 중요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사용자 만족도개선을 위한 PUI(Physical User Interface)의 조작감성 평가체계 수립방안 (Development of a Kansei Analysis System on the Physical User Interface)

  • 오진욱;박종현;조장현;이철;윤명환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1194-1200
    • /
    • 2006
  • 사용자-제품 상호작용(User-product interaction)의 관점에서 사용자의 만족도는 제품의 사용편의성(Usability)과 감성품질에 의해서 결정된다. 특히, 물리적으로 사용자와 제품의 기능을 연결하는 PUI(Physical User Interface)의 감성품질은 시각뿐 아니라 촉감, 동작감, 청감 등의 사용자의 다양한 감성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문헌조사에 의하면, 사용자의 감성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품의 시각적 감성품질에 관련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촉감, 동작감, 청감 등의 감성품질에 관련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제품의 전체적인 감성품질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제품과 사용자가 상호작용하는 PUI의 전반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User Satisfaction)의 정량적인 평가가 필수적이며, PUI의 감성품질을 구성하는 시각에 대한 고려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조작장치를 잡는 느낌, 조작장치가 움직일 때의 동작감, 조작장치 작동 시의 청감 등 사용자와 조작장치 간에 일어나는 상호작용 전반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PUI의 구성요소 중 동적인 조작장치의 촉감, 동작감, 청감에 대하여 문헌 조사를 통해 조작 장치의 감성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였고, 감성의 요소를 중복 설명하지 않는 상호독립적인 의미를 가진 감성 형용사를 수집하고 분류한 후, 추출한 형용사를 기초로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사용자들의 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 기법을 사용하여, 조작장치의 전체적인 사용자 만족도와 촉감, 동작감, 청감 간의 상관관계 모형을 수립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의 결과를 바탕으로 인간공학 전문가와 제품설계 전문가로 이루어진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잡는 느낌, 동작감, 청감과 관련된 조작장치의 적절한 설계 변수를 결정한 후 설계값을 측정하였으며 감성 만족도와 측정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감성품질 요소의 정량화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실제 산업현장에서 제품개발자들이 사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품 설계요소들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평가하고, 감성품질을 결정하는 설계특성값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증강현실 기반 제품 디자인을 위한 저작도구 (Authoring Tool for Augmented Reality based Product Design)

  • 하태진;마크 빌링허스트;우운택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3-29
    • /
    • 2007
  • 본 논문은 증강현실 기반 제품 디자인환경에서 전자 제품의 프로토타이핑 (prototyping)을 제작을 위한 저작 도구를 제안한다. 이 저작도구는 하드웨어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 저작자를 위한 것이다. 제안된 저작도구는 시/청/촉각 피드백 각각에 대한 저작을 동일 플랫폼에서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실질적인 제품 디자인이 가능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모듈 각각에 대한 추상화된 속성 명시파일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재구성이 가능하여 특정 플랫폼에 독립적 구조가 가능하고 잦은 하드웨어 변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GUI 및 TUI 기반 저작 방법의 장점을 취합하여 GUI를 이용한 정밀한 조작과 TUI를 이용한 직관적인 저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안된 저작 방법들은 전자 제품 프로토타이핑 저작뿐만 아니라 다감각 피드백을 사용할 수 있는 전시, 에듀테인먼트 콘텐츠와 같은 증강현실 응용프로그램의 저작의 경우에도 응용될 수 있다. 향후 연구로써 제안된 저작도구의 정량/정성적인 사용성 평가가 수행되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