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ic acid

검색결과 437건 처리시간 0.026초

혈청 요산 농도와 대사증후군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Association Study between Serum Uric Acid Level and Metabolic Syndrome)

  • 박덕현;이은령;주정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8-46
    • /
    • 2017
  • 본 연구는 사회적으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인 대사증후군과 혈청 요산 농도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자는 건강검진센터에서 검진한 수진자 총 1,444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남성은 977명, 여성은 4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은 신체계측과 혈액검사를 시행하여 혈청 요산과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들과의 상관성과 혈청 요산의 등급을 구분하여 발생하는 위험인자의 수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평균연령은 남녀 각각 $41.63{\pm}6.29$세, $35.75{\pm}6.61$세로 나타났다. 혈청 요산의 평균수치는 남성이 $6.30{\pm}1.39mg/dL$, 여성은 $4.43{\pm}0.89mg/dL$로 남성이 높게 나왔다. 혈청 요산 농도에 따른 상관관계는 남성에서는 나이, 허리둘레, 수축기 혈압, 중성지방, HDL-cholesterol, WBC count, ESR이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05), 여성의 경우는 허리둘레, 이완기 혈압, 중성지방, HDL-cholesterol, ESR이 상관관계가 있다고 나왔다(p<0.05). 혈청 요산 농도의 등급에 따른 위험인자 수는 혈청 요산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대사증후군의 전체적인 유병률은 남성이 17.4%로 여성의 10.2% 보다 높게 나왔다. 대사증후군과 혈청 요산 농도와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혈청 요산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대사 증후군의 위험인자 또한 관련성이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혈청 요산 농도와 대사증후군과의 연관성 연구를 통해 대사증후군을 진단받지 않은 젊은 성인에서 대사증후군의 예방을 위한 대상자 선정에 혈청 요산 농도를 활용할 수 있다.

정상체중군과 체중과다군 남자에서 혈중 총항산화능과 평소 식이섭취 상태에 관한 연구 (Comparison of the Total Antioxidant Status and Usual Dietary Intake in Normal and Overweight Males)

  • 김순경;박영숙;변광의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633-641
    • /
    • 2000
  • 본 연구는 체중과다나 비만에서 총항산화능의 변화를 관찰하고, 총항산화능과 평소의 식사섭취상태와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관찰하고져 실시하였다. 20대의 젊은 남성을 대상으로 정상체중군(n = 17, BMI 20∼25, 비만지수 90∼110% 체지방 16∼20%)과 체중과다군(n = 13, BMI > 25, 비만지수 120%이상, 체지방 25%이상)으로 분류한 후, 인체계측, 생화학적 검사(총콜레스테롤, glucose, albumin, creatinine, GOT, GPT, uric acid), 식이섭취 조사(24회상법)를 실시하였다. 총항산화능은 체중과다군에서 유의적으로(p <0.01) 높게 나타났으며 , 측정된 생화학적 지수들에서는 uric acid의 함량이 체중과다군에서 유의하게(p<0.05) 높았다 평소의 식이섭취 상태는 두 군 모두 칼슘과 비타민 B2의 섭취량이 권장량에 비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중과다군에서 비타민 C(p <0.05)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U-carotene과 비타민 E 섭취량에는 두 군간 차이가 없었고, 채소와 과일의 섭취량은 체중과다군이 적게 섭취한 반면, 음주와 흡연량은 체중과다군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두 군 모두 식사의 질은 양호하였다. 총항산화능 및 uric acid 함량과 측정지표들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두 군 모두에서 총항산화능 및 uric acid 함량에서 서로 다른 경향을 보였다. 체중과다군에서는 총항산화능과 음주량이 부( - )의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uric acid 함량과 BMI, 비만지수, 및 총항산화능은 유의적인 정 (+)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체중과다군은 정상체중군에 비해 총항산화능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식이섭취상태와의 관련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Uric acid 함량의 측정은 총항산화능과 정 (+)의 상관관계를 보여 또 다른 항산화능을 나타내주는 좋은 지표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이중에너지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요로결석의 성분 분석에 관한 연구 (Classification of Urinary Stone into Uric Acid & Non-uric Acid by Dual-Energy)

  • 정명진;김성길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835-841
    • /
    • 2023
  • 팬텀모델에서 이중에너지 전산화단츨촬영(DECT)를 이용한 요로결석의 성분분석을 통해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7명의 환자로부터 요로결석을 추출하여, 작은 플라스틱 병(Plastic Bottle) 안에 각각의 요로결석을 삽입한 후, 인체와 비슷한 돈육을 이용하여 실험팬텀을 제작하였다. 640-Slice MSCT(Auquilion ONE, Toshiba Medical Center, Japan)의 이중에너지 방식에서 Volume scan 방식을 사용하여 촬영하였고, 얻어진 두 가지의 영상을 Dual-energy software("DE stone Analysis" software version 4.3, Toshiba)에서 요산석과 비요산석의 성분분석하고 HU값을 각각 측정하였다. 요로결석의 성분은 전체 17개의 요로결석 중에서 요산석은 6개(35.29%)였고, 비요산석은 11개(64.71%)로 나타났다. 요산석의 경우 135kV는 348.87±166.37, 100kV는 345.33±151.18, 80kV는 337.94±172.77로 나타났고, 비요산석의 경우 135kV는 551.93±297.09, 100kV는 747.04±351.31, 80kV는 958.19±424.72로 나타났다. 80kV에서는 요산석과 비요산석의 HU값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비요산석의 경우에 80kV와 135kV의 HU값은 통계적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시술 후 적출된 요로결석을 이용한 팬텀실험연구에서는 DECT를 이용하여 에너지에 따라 서로 다르게 변화하는 HU값의 차이로 요산석과 비요산석을 구분할 수 있었다. 향후, 이중에너지에 대한 연구와 재구성방법의 연구가 진행된다면, 요로결석의 치료에 DECT가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Leptin and uric acid as predictors of metabolic syndrome in jordanian adults

  • Obeidat, Ahmad A.;Ahmad, Mousa N.;Haddad, Fares H.;Azzeh, Firas S.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0권4호
    • /
    • pp.411-417
    • /
    • 2016
  • BACKGROUND/OBJECTIVES: Metabolic syndrome (MetS) is a set of interrelated metabolic risk factors that increase the risk of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tality. Studies regarding the specificity and sensitivity of serum levels of leptin and uric acid as predictors of MetS are limi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erum levels of leptin and uric acid in terms of their specificity and sensitivity as predictors of MetS in the studied Jordanian group. SUBJECTS/METHODS: In this cross sectional study, 630 adult subjects (308 men and 322 women) were recruited from the King Hussein Medical Center (Amman, Jordan). The diagnosis of MetS was made according to the 2005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criteri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were used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serum levels of leptin and uric acid as predictors of MetS in the studied Jordanian group. RESULTS: Study results showed that for identification of subjects with MetS risk, area under the curve (AUC) for leptin was 0.721 and 0.683 in men and women, respectively. Serum uric acid levels in men showed no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any MetS risk factors and no significant AUC, while uric acid AUC was 0.706 in women. CONCLUSION: Serum leptin levels can be useful biomarkers for evaluation of the risk of MetS independent of baseline obesity in both men and women. On the other hand, serum uric acid levels predicted the risk of MetS only in women.

세개의 오스뮴 고분자를 이용한 요산의 전기화학적 측정방법 (Electrochemical Detection of Uric Acid using Three Osmium Hydrogels)

  • 전원용;최영봉
    • 전기화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9-38
    • /
    • 2016
  • 전기화학적 방법을 통한 요산 (Uric acid) 정량분석을 위해 수용성 고분자 (hydrogel polymer)를 배위시킨 오스뮴 고분자 화합물과 요산 산화효소 (Uricase), 가교를 위한 PEGDGE (poly(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가 혼합된 용액을 스크린 프린팅된 탄소 전극 (SPCEs) 위에 흡착하여 측정하였다. 수용성 오스뮴 고분자의 전위를 조절하기 위해 리간드인 피리딘링의 4번 위치에 다른 전기음성도의 작용기를 갖는 오스뮴 고분자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오스뮴 고분자 화합물은 PAA-PVI (Poly(acrylic acid)-poly(vinyl imidazole)-$[osmium(4,4^{\prime}-dichloro-2,2^{\prime}-bipyridine)_2Cl]^{+/2+}$), PAA-PVI-$[osmium(4,4^{\prime}-dimethyl-2,2^{\prime}-bipyridine)_2Cl]^{+/2+}$, PAA-PVI-$[osmium(4,4^{\prime}-dimethoxy-2,2^{\prime}-bipyridine)_2Cl]^{+/2+}$이다. 제작된 효소전극은 순환전압전류법 (cyclic voltammetry)을 통해 uric acid에 의한 오스뮴 고분자 화합물들의 산화 촉매 전류(oxidation catalytic current)를 측정하여 uric acid의 농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오스뮴 고분자 화합물들 중 0.215 V의 산화환원 전위를 갖는 $PAA-PVI-[Os(dme-bpy)_2Cl]^{+/2+}$ (PAA-PVI-osmium$(4,4^{\prime}-dimethyl-2,2^{\prime}-bipyridine)_2Cl$]$^{+/2+}$) 화합물을 이용하여 대표적인 간섭물질인 아스코르브산 (AA)과 포도당 (glucose)의 산화 신호의 간섭효과를 피할 수 있었다.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전극은 0.33 V 전위에서 다양한 농도의 uric acid (1.0, 1.5, 2.0, and 5.0 mM)의 전류를 측정한 결과 $r^2=0.9986$의 좋은 선형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복잡하지 않은 간단한 방법과 일회용의 전극을 사용하기 때문에 현장현시 검사 (point of care; POC)에 적합한 요산측정용 바이오센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Direct Determination of Uric Acid in Human Serum Samples Using Polypyrrole Nanoelectrode Ensembles

  • Yang, Guangming;Tan, Lin;Shi, Ya;Wang, Suiping;Lu, Xuxiao;Bai, Huiping;Yang, Yunhui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0권2호
    • /
    • pp.454-458
    • /
    • 2009
  • Polypyrrole (PPy) nanotubes have been synthesized by chemical oxidative polymerization of pyrrole within the pores of polycarbonate membrane using the technology of diffusion of solutes. The nanotubes array prepared by the proposed method can be considered as nanoelectrode ensembles (NEEs). An amperometric uric acid sensor based on PPy NEEs has been developed and used for determination of uric acid in human serum samples. The electrode can direct response to uric acid at potential of 0.60V vs. SCE with wide linear range of $1.52{\times}10^{-6}\;to\;1.54{\times}10^{-3}\;M.\;The\;detection\;limit\;is \;3.02{\times}10^{-7}$ M. This sensor has been used to determine uric acid in real serum samples. PPy NEEs is thought of as a good application in the foreground.

Anti-Hyperuricemic Effects of Oenanthe javanica Extracts in Hyperuricemia-Induced Rats

  • Woo-Ju Lee;Ho-Sueb Song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40권1호
    • /
    • pp.53-60
    • /
    • 2023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enanthe javanica (OJ) extracts on rats with potassium oxonate (PO)-induced hyperuricemia. Methods: The effects of OJ extract on rats with PO-induced hyperuricemia-induced were monitored. Changes in the body weight and organ indices of hyperuricemic rats were calculated to detect anti-hyperuricemic effect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to observe the effect of reducing serum uric acid concentration. Kidney tissues were stained to observe histopathological changes under a microscope. The activity of xanthine oxidase (XO), which catalyzes xanthine to uric acid in the liver, was assessed to observe the inhibitory effect of XO. Results: 1. The body weight of hyperuricemic rats showed no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treatment group. The OJ group had significantly improved liver index, whereas the allopurinol group had improved liver and kidney indices. 2. Serum uric acid level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PO injection, and the OJ and allopurinol groups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effect. 3. PO injection led to the inflammation of kidney tissues, and OJ improved it significantly. 4. The activity of XO after PO injec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allopurinol significantly inhibited XO activity in the liver. Conclusion: In the hyperuricemia rat model, OJ extract reduced uric acid concentration and demonstrated its anti-inflammatory effects. Thus, OJ extracts can be used to lower uric acid levels.

Chicken serum uric acid level is regulated by glucose transporter 9

  • Ding, Xuedong;Peng, Chenglu;Li, Siting;Li, Manman;Li, Xinlu;Wang, Zhi;Li, Yu;Wang, Xichun;Li, Jinchun;Wu, Jinjie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4호
    • /
    • pp.670-679
    • /
    • 2021
  • Objective: Glucose transporter 9 (GLUT9) is a uric acid transporter that is associated with uric absorption in mice and humans; but it is unknown whether GLUT9 involves in chicken uric acid regulation. This experiment aimed to investigate the chicken GLUT9 expression and serum uric acid (SUA) level. Methods: Sixty chickens were divided into 4 groups (n = 15): a control group (NC); a sulfonamide-treated group (SD) supplemented with sulfamonomethoxine sodium via drinking water (8 mg/L); a fishmeal group (FM) supplemented with 16% fishmeal in diet; and a uric acid-injection group (IU), where uric acid (250 mg/kg) was intraperitoneally injected once a day. The serum was collected weekly to detect the SUA level. Liver, kidney, jejunum, and ileum tissues were collected to detect the GLUT9 mRNA and protein expression. Results: The results showed in the SD and IU groups, the SUA level increased and GLUT9 expression increased in the liver, but decreased in the kidney, jejunum, and ileum. In the FM group, the SUA level decreased slightly and GLUT9 expression increased in the kidney, but decreased in the liver, jejunum, and ileum.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liver GLUT9 expression correlated positively, and renal GLUT9 expression correlated negatively with the SUA level. Conclus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re may be a feedback regulation of GLUT9 in the chicken liver and kidney to maintain the SUA balance; however, the underlying mechanism needs to be investigated in future studies.

건강한 성인 남성의 대사증후군 위험 예측인자로서 혈청 요산/크레아티닌 비율 (Serum Uric Acid to Creatinine Ratio as a Predictor of Metabolic Syndrome in Healthy Adults Men)

  • 김명수;신경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42-49
    • /
    • 2019
  • 이 연구는 대사증후군 위험 예측인자로서 요산과 비교하여 혈청 요산/크레아티닌 비율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2016년 11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수도권 소재의 일개 종합병원에서 종합건강검진을 받은 20세 이상 80세 미만의 성인 남성 14,1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사증후군 진단기준은 American Heart Association/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AHA/NHLBI)의 기준에 따라 5가지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중 3가지 이상 해당되는 경우 대사증후군을 평가하였으며, 이 중 복부비만은 WHO 서태평양지역의 기준에 따랐다. 이 연구결과 혈청 요산/크레아티닌 비율은 1사분위수보다 4사분위수의 대사증후군 및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의 높은 발생빈도를 보였다. 그러나 ROC 분석 결과 혈청 요산/크레아티닌 비율은 대사증후군 위험 예측에 있어 혈청 요산치보다 더 유용한 지표는 아니었으며(AUC, 0.554 vs 0.566), 요산치보다 낮은 민감도와 높은 특이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혈청 요산/크레아티닌 비율의 유용성을 확인한 결과 대사증후군 위험을 예측하는 독립적인 지표로 사용하는데 제한이 있으며, 보조적인 표지자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The ABCG2 Polymorphism rs2725220 Is Associated with Hyperuricemia in the Korean Population

  • Sull, Jae Woong;Yang, Seung-Ju;Kim, Soriul;Jee, Sun Ha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2권4호
    • /
    • pp.231-235
    • /
    • 2014
  • Elevated serum uric acid levels are associated with a variety of adverse health outcomes, including gout,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diseases. Several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on uric acid levels have implicated the ATP-binding cassette, subfamily G, member 2 (ABCG2) gene as being possibly causal. We investigated an association between the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 (SNP) rs2725220 in the ABCG2 gene and uric acid levels in the Korean population. A total of 991 subjects in Seoul City were used for a replication study with ABCG2 SNP rs2725220. The rs2725220 SNP in the ABCG2 gene was associated with mean uric acid levels (effect per allele 0.25 mg/dL, p < 0.0001). Subjects with the GC/CC genotype had a 1.78-fold (range, 1.22- to 2.62-fold) higher risk of having abnormal uric acid levels (${\geq}7.0mg/dL$) than subjects with the GG genotype. When analyzed by gender, the association with ABCG2 was stronger in men than in women. The association with ABCG2 was much stronger in male subjects with body mass index (BMI) ${\geq}26.4$ (odds ratio, 5.09; 95% confidence interval, 2.41 to 10.8) than in male subjects with BMI < 26.4. This study clearly demonstrates that genetic variations in ABCG2 influence uric acid levels in Korean ad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