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ripe black raspberry extract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복분자 열매, 잎, 줄기 추출물의 콜레스테롤과 혈압 개선 효과 (Improvement of Cholesterol and Blood Pressure in Fruit, Leaf and Stem Extracts from Black Raspberry in vitro)

  • 이민정;이수정;최혜란;이정현;권지웅;채규서;정종태;이태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77-187
    • /
    • 2014
  • We compared effects of fruit, leaf, and stem extracts from black raspberry on improvement of cholesterol and blood pressure in HepG2 and HUVEC cells, respectively. Cholesterol secretion was inhibited by water extracts of unripe fruit and stem, but not leaf of black raspberry in HepG2 cells. Also, water extracts of unripe fruit, leaf, and stem reduced HMG-CoA reductase activity. Furthermore, nitric oxide production and expression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protein were regulated by extracts of fruit, leaf, and stem of black raspberry in HUVEC cells. Overall, the rank order according to the improving level of cholesterol and hypertension is as follows: stem > fruit > leaf. In addition, various polyphenol compounds displayed inhibitory effects of HMG-CoA reductase activity and ACE expression. Thus, these data suggested that leaf and stem as wells as fruit of black raspberry can be used as useful food resources for reduction of cholesterol and blood pressure.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이 전립선암 세포주와 전립선비대 백서모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nripe Black Raspberry Extracts on Prostate Cancer Cell Line and Rat Model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 이수정;최혜란;이정현;권지웅;이희권;정종태;이태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07-515
    • /
    • 2014
  • 본 연구는 전립선암세포주인 LNCaP 세포주와 테스토스테론으로 유도된 전립선비대 백서모델에서 복분자 추출물의 전립선비대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첫째, 전립선암 세포주(LNCaP)에서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의 안드로겐 관련 전립선비대 유전자 억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미숙과 50% 에탄올 추출물은 안드로겐 수용체(AR)뿐만 아니라 전립선특이항원(PSA)과 5-알파 환원 효소 type 2(5AR2)의 발현을 가장 높게 억제하였다. 또한 LNCaP 세포에 DHT로 안드로겐 관련 유전자를 유도한 후 복분자 미숙과 50%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AR과 PSA mRNA의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둘째, 테스토스테론을 이용하여 전립선비대를 유도한 동물모델에서 복분자 미숙과 50% 에탄올 추출물을 6주간 투여한 후 전립선비대 개선 효과를 조사한 결과, 전립선비대유발군에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전립선 무게, 전립선 소포의 상피세포 두께 및 면적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전립선비대 유발 호르몬인 DHT level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복분자 미숙과와 홍삼 추출물의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 (Effects of Extracts of Unripe Black Raspberry and Red Ginseng on Cholesterol Synthesis)

  • 이수정;이민정;고영종;최혜란;정종태;최경민;차정단;황승미;정후길;박종혁;이태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628-635
    • /
    • 2013
  • 본 연구는 복분자 미숙과와 홍삼 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인간 간암세포주(HepG2)와 위장관세포주(Caco-2)를 이용하여 콜레스테롤 억제효과 및 그와 연관된 HMG-CoA reductase 활성 억제효과 및 LDL 및 HDL과 관련된 분자기전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복분자 미숙과와 홍삼 추출물은 모두 콜레스테롤 합성 억제 효과를 보였을 뿐만 아니라 HMG-CoA reductase 활성 억제효과를 보였다. 또한 두 추출물은 단독 투여시 보다 복합 투여시 부가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LDL receptor와 이를 조절하는 SREBP-2를 증가시키고 콜레스테롤 transport 인 ABCA1의 발현을 증가시켜 LDL를 낮추고 HDL를 높이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두 추출물의 복합 투여시 훨씬 높은 시너지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전통적으로 오랜 기간 사용되어온 천연물인 복분자와 홍삼이 콜레스테롤 예방에 효과적임을 입증한 결과로 관련 대사증후군의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콜레스테롤 식이 투여 마우스에서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과 홍삼농축액 복합 투여의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 (Cholesterol Improvement Effects of Co-treatment with Black Raspberry and Red Ginseng Extracts in Mice Fed a High Cholesterol Diet)

  • 이민정;이수정;최혜란;이정현;정종태;최경민;차정단;황승미;박종혁;이주희;이태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1491-1499
    • /
    • 2014
  • 본 연구는 복분자 미숙과 물 추출물과 홍삼농축액으로 C57BL/6J 수컷 마우스를 이용하여 콜레스테롤 억제 효과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기능성 식품으로의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실험동물은 C57BL/6J 수컷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12주 동안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하면서 복분자 미숙과 물 추출물과 홍삼농축액을 경구투여 하였다. 그 결과로 고콜레스테롤 식이군과 비교하였을 때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과 홍삼농축액 식이군에서 체중증가량, 식이 섭취량에는 변화가 없었다. 콜레스테롤 합성의 가장 중요한 기작인 LDL receptor와 SREBP2 발현에서는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 투여군과 복분자와 홍삼 복합 투여군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세포 안으로의 LDL 흡수를 촉진시킴으로써 체내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것으로 판단된다. HDL 관련 유전자 발현에서도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 투여군과 복분자와 홍삼 복합 투여군에서 HDL uptake 유전자인 SR-B1의 발현을 증가시켜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를 보였다. 또한 간의 형태학적 변화에서는 고콜레스테롤 식이군과 비교하였을 때 복분자 미숙과 물 추출물과 홍삼농축액 복합 투여군에서 지방 형성이 현저히 줄어들었고, leptin과 FAS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복분자 미숙과 물 추출물과 홍삼농축액 복합 투여가 콜레스테롤과 고지혈증 예방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일 것으로 사료된다.

C57BL/6N db/db 생쥐에서 복분자 미숙과 에탄올 추출물의 항당뇨 효과 (Antidiabetic effects of unripe black raspberry ethanol extracts in C57BL/6N db/db mice)

  • 최혜란;이수정;류태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91-397
    • /
    • 2022
  • 본 연구는 복분자 미숙과의 항당뇨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유전적 당뇨 질환 동물모델인 db/db 마우스에서 복분자 미숙과 50% 에탄올 추출물을 11주간 경구 투여한 후 당뇨병 개선 효과를 조사하였다. 체중 측정 결과,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당뇨대조군의 체중이 45.9% 증가하였으나 복분자 미숙과 50% 에탄올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들의 체중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시료 투여 11주 후 공복혈당을 측정했을 때 복분자 미숙과 50%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혈당 상승이 억제되었으며, 복강내당능 시험을 통해 복분자 미숙과 50% 에탄올 추출물이 양성대조군과 유사한 경향으로 혈당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혈중 중성지방 수치 역시 복분자 미숙과 50%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은 농도 의존적으로 중성지방의 농도가 감소되었고, 혈중 인슐린의 농도는 복분자 미숙과 50%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이 당뇨대조군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군간 유의성은 없었다. 췌장의 병리조직학적 검사 결과, 당뇨대조군에서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의 베타세포로 이루어진 랑게르한스섬의 형태학적 손상이 나타났으며 복분자 미숙과 50% 에탄올 추출물 투여에 의해 손상이 억제됨으로써 랑게르한스섬의 면적 및 세포 수가 당뇨대조군에 비해 증가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슐린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 염색을 통해 췌장 내 베타세포의 형태학적 구조를 확인해 보면 복분자 미숙과 50%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들에서 인슐린을 분비하는 랑게르한스섬 세포 수가 유의하게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위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복분자 미숙과 50% 에탄올 추출물이 혈당 강하에 효과가 있으며, 이를 위한 목적으로 장기간 섭취했을 때 항당뇨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