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learning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초

구성원들의 학습관성, 폐기학습, 지식통합능력,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Employees' Learning Inertia, Unlearning, Knowledge Integration Capabilities, and Innovative Behavior)

  • 허명숙;천면중
    • 지식경영연구
    • /
    • 제16권2호
    • /
    • pp.249-278
    • /
    • 2015
  • Employees' knowledge integration capabilities and innovative behavior are still of crucial importance in the effective knowledge management. Recently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re interested in both the potential benefits of unlearning and the negative aspects of learning inert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ing inertia, unlearning, knowledge integration capabilities(knowledge exploitation and knowledge explor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The results of analysis show that learning inertia is employees' psychological obstacle factor affecting knowledge integration capabilities and unlearning, that unlearning of employees is a key factor affecting knowledge integration capabilities, and that knowledge integration capabilities are driving forces leading to innovative behaviors of employees. For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e research presents the grounds for arguments that knowledge integration capabilities are employees' dynamic capabilities from the knowledge management perspective, that unlearning is a driving force of employees' positive behaviors, and that organizations trying to perform the dynamic knowledge management need to identify the causes of employees' psychological resistance to learning. Limitations arisen in the course of the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대학생의 다양성수용도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폐기학습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openness to diversity up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mediating effect of unlearning)

  • 이효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205-212
    • /
    • 2018
  • 이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성수용도, 폐기학습, 진로준비행동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다양성수용도가 폐기학습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대학교육 관점에서의 진로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충북의 3개 대학의 3,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258부의 설문응답을 최종표본으로 사용하여 SPSS 22.0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다양성수용도는 폐기학습과 진로준비행동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폐기학습 역시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폐기학습은 다양성수용도와 진로준비행동의 영향관계에서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다양성수용도는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폐기학습이 활발하게 일어날 때 진로준비행동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학의 진로교육에 다양성수용도와 폐기학습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적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리더의 공유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학습지향성의 매개효과와 폐기학습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The Impact of Leader' Shared Leadership on Innovation Behavior for Employees: Focus on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Orientation and Moderating Effect of Unlearning)

  • 조남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574-599
    • /
    • 2018
  • 본 연구는 기업에 근무하는 구성원을 대상으로 리더의 공유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대한 인식에서 학습지향성과 폐기학습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리더의 공유리더십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국내 중소기업에서 지식근로자로 근무하고 있는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중 총 387개를 SPSS 24.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통계분석 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리더의 공유리더십과 혁신행동, 공유리더십과 학습지향성 그리고 학습지향성과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학습지향성은 공유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였으며, 폐기학습은 공유리더십과 학습지향성의 관계를 강화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함의하는 바는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직구성원 스스로가 적극적인 폐기학습과 학습지향성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강화 활동이 필요하다. 또한, 조직구성원과 조직에 대한 리더의 공유리더십이 더욱 중요하다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대학생의 학습민첩성과 폐기학습, 학습몰입의 관계: 성별에 따른 조건부 효과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ing Agility, Unlearning, and Learning Flow of University Students: Conditional Direct and Indirect Effects by Gender)

  • 위영은;김우철;이지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313-325
    • /
    • 2022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민첩성과 폐기학습, 학습몰입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조건부 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65명 대학생에게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Process v3.5 for SPSS를 활용하여 연구모델의 조건부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학습민첩성은 폐기학습과 학습몰입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학습민첩성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조절된 효과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대학생의 학습민첩성과 학습몰입 간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폐기학습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교육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T분야 관리자의 코칭행동이 조직구성원들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폐기학습의 매개효과와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The Effect of Managerial Coaching Behavior on Employees' Creativity in IT field: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reative Self-efficac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Unlearning)

  • 박현주;오상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400-423
    • /
    • 2020
  • 최근 4차산업혁명시대에는 디지털 신기술을 기업에 적용시켜 조직의 혁신을 이끌어나가야 한다는 점에서 IT분야 종사자들의 창의성 발현은 다른 분야에 비해 매우 절실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IT분야 관리자의 코칭행동이 구성원의 창의성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 관계에서 폐기학습의 매개효과와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서울 및 수도권의 IT분야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최종 분석에 총 439부를 SPSS 25.0과 AMOS 25.0을 사용해 확인적요인분석을, SPSS Process Macro 3.0을 사용해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관리자의 코칭행동은 구성원의 창의성과 폐기학습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기학습은 창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폐기학습은 관리자의 코칭행동과 구성원의 창의성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창의적 자기효능감은 관리자의 코칭행동과 폐기학습 간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관리자의 코칭행동이 IT분야 구성원의 창의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을 검증하고 간접적인 영향요인들을 확인함으로써 시대적 요구차원에서 코칭 효과에 대한 연구 영역확장과 영향 메커니즘을 밝혔다는 점에서 이론적, 실무적 의미가 있다.

간호대학생의 다양성 수용도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Openness to Diversity on Creativ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ith a Focus on Mediating Effects)

  • 박주영;우정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41-251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acceptance of divers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ffects creativity and to verify empirically the role of individual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and unlearning competency in such influence relations. Methods: This study surveyed 209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analyzed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using SPSS WIN 21.0 and AMOS 18.0.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reativity of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ll other variables. Second, diversity openness directly affected creativity. We also confirmed that diversity openness and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have a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through mediating unlearning competency. Conclusion: In order to enhance the creativ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diversity openness should be actively reflected in the curriculum. In addition, concret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increase and enhance the unlearning competency and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학습조직 구현방안: 공공조직의 조직학습 및 폐기학습, 지식관리를 중심으로 한 시스템 다이내믹 접근 (Implementational Architecture of Learning Organizations: System Dynamic Approach to Organizational Learning, Unlearning, and Knowledge Management in Public Sector Organizations)

  • 홍민기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7권3호
    • /
    • pp.51-90
    • /
    • 2016
  • Learning is naturally embedded in organizational ongoing-processes and routines. Recent many research models of organizational failure ignore how failing masks breakdowns and recoveries of organization-embedded learning as a naturally occurring process. Organizational learning is the platform in tandem with base-modules of organization in this point. Organizations learn and unlearn while they acquire, discard, and forget organizational experiences or knowledges. These processes in public sector organizations are different from learning behaviors in private sector. This study expects to explore architectural components of learning organization in public sector, focusing on distinct characteristics of public organizations, and to implement learning model based on system thinking(system dynamic) approach.

창의성 요인에 대한 통계적 실증연구: 서울특별시 소방서를 대상으로 (An Empirical Research on Creativity Factors - Focusing on Seoul Fire Stations -)

  • 한민채;권인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32-39
    • /
    • 2012
  • 본 연구는 소방조직에서의 창의성 촉진 요인을 탐색하여 조직 창의성의 증진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기후변화 등과 더불어 시민의 소방서비스의 욕구증대로 인하여 소방서에 대한 기대가 점증하여 전통적인 화재 구조 구급 업무수행뿐 아니라 환경변화에 조응하는 적절한 방식의 변화를 통하여 정당성과 영속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창의성이라는 주제는 소방서의 영속성을 담보하는 주요한 변수이다. 본 연구에서는 총 5개의 가설을 설정하여 비전, 폐기학습 및 긍정적 피드백과 같은 변수들이 실제로 조직 창의성을 고양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서울시 소방공무원 15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결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여 위의 언급한 변수들이 조직 창의성과 관련이 있음을 밝혀내었다. 이러한 검증결과에 따라, 창의성 촉성을 위한 몇 가지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부상관성(負相關性)에 의한 순환신경망의 연결가중치 조절 (Weight modification of recurrent neural network by decorrelation)

  • 이종호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33-37
    • /
    • 1995
  • 순환 신경회로망의 응용에서 종종 대두되는 국지극소점을 확인하고 제거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신경망의 학습과정에서 밝혀지는 국지극소점에 대하여 부상관성을 부과하여 에너지표면을 재조정함으로서 원하는 상태에서 회로망이 안정에 도달하게 한다. 이때 의사상태(spurious states)는 안정조건을 적용함으로서 확인되는데 이과정은 특별히 설계된 병렬회로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처리된다. 이와같은 부학습(unlearning)의 결과로서 순환신경망의 저장용량과 수렴성능의 개선을 이룰수 있다.

  • PDF

An Adaptive Approach to Learning the Preferences of Users in a Social Network Using Weak Estimators

  • Oommen, B. John;Yazidi, Anis;Granmo, Ole-Christoffer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8권2호
    • /
    • pp.191-212
    • /
    • 2012
  • Since a social network by definition is so diverse, the problem of estimating the preferences of its users is becoming increasingly essential for personalized applications, which range from service recommender systems to the targeted advertising of services. However, unlike traditional estimation problems where the underlying target distribution is stationary; estimating a user's interests typically involves non-stationary distributions. The consequent time varying nature of the distribution to be tracked imposes stringent constraints on the "unlearning" capabilities of the estimator used. Therefore, resorting to strong estimators that converge with a probability of 1 is inefficient since they rely on the assumption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user's preferences is stationary. In this vein, we propose to use a family of stochastic-learning based Weak estimators for learning and tracking a user's time varying interests.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our proposed paradigm outperforms some of the traditional legacy approaches that represent the state-of-the-art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