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cellular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3초

Colletotrichum species에 의한 콩나물 부패 (Soybean Sprout Rot Caused by Colletotrichum species)

  • 김용기;류재기;류재당;이상엽;이승돈
    • 식물병연구
    • /
    • 제8권3호
    • /
    • pp.175-178
    • /
    • 2002
  • 1997년 수원 근교 콩나물공장에서 재배하는 콩나물에서 2종의 Colletotrichum에 의한 부패증상이 발생되었다. 한 종은 검은 계란모양의 분생자층을 형성하였으며, 그위에 검은 바늘모양의 강모(65~110$\times$3.5~6.6 $\mu\textrm{m}$)를 다수형성하였다. 포자는 초생달모양으로 격막이 없고 투명하였으며 그 크기는 21.5~22.5$\times$3.5~4.0 $\mu\textrm{m}$이었다. 다른 한가지 병원균의 포자는 곧은 타원형으로 크기가 14.0~17.5$\times$3.5~4.5 $\mu\textrm{m}$ 이었고 부착기의 크기는 6.3~8.5$\times$4.5~5.0 $\mu\textrm{m}$ 이었다. 이들 병원균의 배양적, 형태적 특성에 의거, Colletotrichum tmncatum과 C. gloeosporioides로 동정되었다. 두 가지 병원균은 병원성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였다. C. tuncatum은 콩나물의 부위에 관계없이 진한 갈색 병반을 형성하였고, 병원성도 높았으며 병 진전도 빨랐다. 반면에 C. gioeosporioides는 자엽에 연한 갈색의 반점을 일으켰으며, 병원성은 강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최초로 보고되는 C. tuncatum과 C. gloeosporioides 에 의한 부패병을 콩나물탄저병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Effect of Chlorella vulgaris on Immune-enhancement and Cytokine Production in vivo and in vitro

  • An, Hyo-Jin;Rim, Hong-Kun;Lee, Jong-Hyun;Seo, Min-Jun;Hong, Jin-Woo;Kim, Na-Hyung;Myung, Noh-Yil;Moon, Phil-Dong;Choi, In-Young;Na, Ho-Jeong;Kim, Su-Jin;Jeong, Hyun-Ja;Park, Hyeung-Suk;Han, Jae-Gab;Um, Jae-Young;Hong, Seung-Heon;Kim, Hyung-Mi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5호
    • /
    • pp.953-958
    • /
    • 2008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mune-enhancing effects of Chlorella vulgaris (CV) on a deteriorated immune function by a protein-energy malnutrition (PEM) diet. Unicellular algae, CV were used as a biological response modifier. Male C57BL/6J mice were fed for 15 days with standard diet or a PEM diet, which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host immune defense. After 8 days, mice in the PEM diet group were orally administered by 0.05, 0.1, and 0.15 g/kg body weight of CV or distilled water. Nutritional parameters, and interferon (IFN)-$\gamma$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blood serum of the CV (0.15 g/kg)-treated group (29.6$\pm$2.8 pg/mL) compared to the non-treated PEM group (4.1$\pm$0.4 pg/mL, p<0.05). In addition, cell proliferation and production of cytokines were investigated via a CV (0.01, 0.1, and 1 mg/mL) treatment using a human T cell line MOLT-4 cell. The CV treatment (1 mg/mL)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roduction of both IFN-$\gamma$ and interleukin (IL)-2 (51.3$\pm$3.4 and 285.9$\pm$18.8 pg/mL,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51.3$\pm$3.4 and 442.6$\pm$14.3 pg/mL, respectively), but did not affect the production of IL-4. These results suggest that CV may be useful in improving the immune function.

The effect of phosphorus removal from sewage on the plankton community in a hypertrophic reservoir

  • Jung, Sungmin;Kim, Kiyong;Lee, Yunkyoung;Lee, Jaeyong;Cheong, Yukyong;Reza, Arif;Kim, Jaiku;Owen, Jeffrey S.;Kim, Bomchul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0권1호
    • /
    • pp.66-74
    • /
    • 2016
  • Background: When developing water quality improvement strategies for eutrophic lakes, questions may arise about the relative importance of point sources and nonpoint sources of phosphorus. For example, there is some skepticism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partial reductions in phosphorus loading; because phosphorus concentrations are too high in hypertrophic lakes, in-lake phosphorus concentrations might still remain within typical range for eutrophic lakes even after the reduction of phosphorus loading. For this study, water quality and the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communities were monitored in a hypertrophic reservoir (Lake Wangsong) before and after the reduction of phosphorus loading from a point source (a sewage treatment plant) by the installation of a chemical phosphorus-removal process. Results: Before phosphorus removal, Lake Wangsong was classified as hypertrophic with a median phosphorus concentration of $0.232mg\;L^{-1}$ and a median chlorophyll-a concentration of $112mg\;L^{-1}$. The dominant phytoplankton were filamentous cyanobacteria for the most of the ice-free season. Foll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advanced treatment process, phosphorus concentrations were reduced to $81mg\;L^{-1}$, and the N/P atomic ratio increased from 42 to 102. Chlorophyll-a concentrations decreased to $42{\mu}g\;L^{-1}$, and the duration of cyanobacterial dominance was confined to the summer season. Cyanobacteria in spring and autumn were replaced by diatoms and cryptomonads. Filamentous cyanobacteria in summer were replaced by colony-forming unicellular Microcystis spp. It was remarkable that zooplankton biomass increased despite the decrease in phytoplankton biomass, and especially cladoceran zooplankton which increased drastically. These responses to the reduction of point source P loading to Lake Wangsong imply that reducing the point source P loading can have a big impact even when nonpoint sources account for a large fraction of the total annual phosphorus loading. Conclusions: Our results also show that the phytoplankton community can shift to decreased cyanobacterial dominance and the zooplankton community can shift to higher cladoceran dominance, even when phosphorus concentrations remain within the typical range for eutrophic lakes following the reduction of phosphorus loading.

Effect of $Cr^{6+}$ Stress on Photosynthetic Pigments and Certain Physiological Processes in the Cyanobacterium Anacystis nidulans and Its Chromium Resistant Strain

  • KHATTAR, J. I. S.,;SARMA, T. A.;ANURADHA SHARM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6호
    • /
    • pp.1211-1216
    • /
    • 2004
  • A MNNG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induced chromium resistant strain ($Cr^{r}18$) of unicellular cyanobacterium Anacystis nidulans has been isolated and characterized. The resistant strain could grow (although restricted to $50\%$ of control) in chromium concentration (180${\mu}M$) lethal to the wild-type. Sublethal ($160{\mu}M$) concentration of $Cr^{6+}$ significantly reduced (13-$37.5$) all the photosynthetic pigments of A. nidulans with maximum reduction in phycoerythrin followed by ChI $\alpha$. Pigments of A. nidulans were drastically decreased in lethal concentration of Cr^{6+} with maximum reduction in phycoerythrin ($75\%$) and allophycocyanin ($67.5\%$). Resistant strain $Cr^{r}18$ resisted toxic effects of sublethal and lethal concentrations of $Cr^{6+}$ on photosynthetic pigments as revealed by less decrease in pigments as compared to A. nidulans. Effect of $Cr^{6+}$ stress was also studied on nitrogen assimilation and phosphate uptake. Sublethal concentration of $Cr^{6+}$ drastically reduced ($71.5\%$) nitrate uptake by A. nidulans while a decrease of $29\%$ was observed in strain $Cr^{r}18$. Short (2 day) exposure of A. nidulans and its resistant strain $Cr^{r}18\;to\;Cr^{6+}$ did not affect nitrate reductase and glutamine synthetase (transferase), whereas longer (10 day) exposure to $Cr^{6+}$ lowered activities of both enzymes in A. nidulans but not significantly in the strain $Cr^{r}18$. Ammonium uptake by both strains was not affected by $Cr^{6+}$. Thus, $Cr^{6+}$ affected photosynthetic pigments, nitrogen assimilation, and phosphate uptake of A. nidulans, while strain $Cr^{r}18$ was able to resist toxic effects of the metal. Advantages of using strain $Cr^{r}18$ for bioremediation purposes have been evaluated by studying $Cr^{6+}$ removal from the solution. Resistant strain $Cr^{r}18$ was able to remove $33\%$ more $Cr^{6+}$ than A. nidulans and thus it can prove to be a good candidate for bioremediation of $Cr^{6+}$ from polluted waters.

한국 토착 미세조류 클로렐라 불가리스 KNUA027 균주의 생화학적 조성 (Biochemical Composition of a Korean Domestic Microalga Chlorella vulgaris KNUA027)

  • 홍지원;김오홍;조승우;김현;정미랑;박경목;이경인;윤호성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400-407
    • /
    • 2016
  • 인삼 유묘 뿌리 주변에서 자라고 있는 단세포 녹색 조류, 클로렐라 불가리스 KNUA027을 순수분리한 후 본 분리균주의 생물공학적 활용 가능성에대해조사를 실시하였다. 가스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분석 결과, 본 균주에는 영양학적으로 중요한 알파 리놀렌산(C18:3 ω3, 45.8%, 50.8 mg/g) 및 헥사데카트리엔산(C16:3 ω3, 11.8%, 13.1 mg/g)과 같은 다가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국내 토착 미세조류는 잠재적인 오메가-3 다가불포화지방산 원료가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바이오디젤 생산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팔미트산(C16:0, 37.1%, 41.2 mg/g) 역시 본 균주에 의해 주요 지방산 성분으로 생합성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근사분석 결과 KNUA027 균주의 휘발성물질 함량은 88.5%였으며, 원소분석 결과 고위발열량은 19.8 MJ/kg으로 나타났다. 본 KNUA027 균주를 이용한 연구결과는 미세조류 기반 바이오연료와 바이오매스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농약의 급성독성 평가를 위한 담수생물의 감수성 비교연구 (Comparison of the Susceptibility of Freshwater Organisms for the Acute Toxicity Test of Pesticides.)

  • 신천철;이성규;노정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0-134
    • /
    • 1986
  • 본 실험은 3종의 농약(butachlor, trichlorfon, BPMC)에 대하여 3가지 실험종인 S. subspicatus, M. rectirostris와 O. latipes에 대해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여 급성독성을 평가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각 실험종간의 민감도를 비교하였다. 1) 제초제 butachlor의 96시간 및 48시간의 급성독성 값은 S. subspicatus가 0.23 mg/1, M. rectirostris는 1.3 mg/1, O. latipes 0.58 mg/1으로서 S. subspicatus에 대해 butachlor가 가장 높은 독성을 나타내었다. 2) 살충제 trichlorfon과 BPMC의 96시간 및 48시간의 급성독성값은 S. subspicatus에 대해 290 mg/1와 56 mg/1이상이었고, M. rectirostris에 대해서는 0.0011 ㎎/1와 0.011 ㎎/1, 그리고 O. latipes에 대해서는 70 ㎎/1와 11mg/1였다. 따라서 갑각류인 M. rectirostris가 이들 농약에 대한 감수성이 가장 높았다. 3) 급성독성값의 비율로 농약별 실험종간 민감도를 비교해 보면 제초제 butachlor에는 S. subspicatus가 가장 민감한 실험종이며, 살충제 trichlorfon, BPMC에 대해서는 M. rectirostris가 가장 민감한 실험종임이 판명되어 차후 각종 화학물질의 급성독성 실험시에는 실험된 3종 모두를 이용한 실험방법이 요구된다.

  • PDF

베도라치 (Pholis nebulosa) 피부계의 미세구조 (Integumentary Ultrastructure of the Blenny, Pholis nebulosa (Teleostei: Pholidae))

  • 이정식;안철민;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48-152
    • /
    • 2000
  • 베도라치의 피부는 크게 상피층과 진피층으로 구분된다. 상피층은 지지세포와 선세포들로 구성된다. 지지세포는 표면세포, 중간세포 및 기저세포로 구분되며, 선세포는 점액분비세포와 곤봉랑 세포로 구분된다. 지지세포들의 세포질은 피질부와 수질부로 나누어지는데, 수질부에는 세포소기관의 발달이 현저하며, 피질부에는 미세섬유의 발달이 뚜렷하다. 표면세포는 입방형이며 핵은 말굽형이다. 중간세포는 불규칙한 형태의 핵을 가지며, 핵과 세포질의 전자밀도는 지지세포 가운데 가장 높다. 기저세포는 원주형이나 핵은 세포질의 위쪽에 위치한다. 점액분비세포의 세포질은 타원형의 분비과립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AB-PAS에 적색으로 반응하였다. 조면소포체와 골지체가 발달되어 있다. 곤봉상 세포의 세포질 상부에는 원형의 분비성 물질들이 차지하며, 핵은 장방형이고, 세포질에서는 조면소포체와 활면소포체가 발달되어 있다. 색소세포는 세포질에 전자밀도가 높은 색소과립들을 함유한 종류와 반사소판을 함유한 종류로 구분된다. 섬유세포의 세포질은 아주 잘 발달된 조면소포체들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 PDF

한국산 미끈망둑 Luciogobius guffafus(농어목) 5개 부속지의 표피구조 및 점액세포 (Mucous Cells and Their Structure on the Epidermis of Five Appendages in the Korean Flat- headed Goby, Luciogobius guttatus (Pisces; Perciformes))

  • 박종영;김익수;이용주;백현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67-172
    • /
    • 2005
  • 조간대와 강하구에 출현하는 미끈망둑 Luciogobius guttatus은 썰물 동안에 건조하기 쉬운 자갈 바닥 아래에서 서식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서식처를 선호하는 미끈망둑의 호흡체계를 조사하기 위해 지느러미 및 흡반을 포함하는 5개의 부속지의 표피구조를 관찰하였다. 표피는 모두 맨바깥층(outermost layer), 중간층(middle layer), 기저층(stratum germinativum)으로 구성된다. 맨바깥층은 다형세포 또는 편평세포, 그리고 점액세포로 구성되었으며, 특히 단일세포성의 점액세포는 $11.1{\sim}16.1{\mu}m$의 크기로 1~2층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산성다당류로 확인되었다. 중간층은 이웃한 표피세포로 팽대해진 팽대세포 (swollen cell)로 구성되어 있으며, $12.3{\sim}15.2{\mu}m$의 크기로 1~11층으로 배열되어 마치 거미망구조를 보인다. 이러한 팽대세포로 인해 상피 두께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많은 모세혈관이 기저막 아래에 분포하고 있으며, 미뢰 (taste bud)가 표피에 존재한다. 이러한 표피의 특징은 미끈망둑이 이중호흡체계인 피부호흡 (cutaneous respiration)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은어 및 새우류의 유생 사육을 위한 Rotifer의 대량 배양 (MASS PRODUCTION OF ROTIFERS FOR THE CULTURE OF FISH AND SOME SHRIMP LARVAE)

  • 김인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5-49
    • /
    • 1972
  • 1. Brachionus calyciflorus의 실외 시비 배양에서 $16m^2$의 콘크리이트 못에서 1ml당 약 100개체의 고밀도 배양이 가능하였으며, 발생 시작 후 $2\~3$일 째에 dipterex를 $0.16\~0.2ppm$유효 성분 농도로 살포하여 Daphnia등 다른 갑각류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약 2주일 동안 그 발생 상태를 유지할 수 있었다. 이 때 사용된 비료는 닭똥이 약 8kg이며, 수심은 30cm 전후로 하였다. 2. 수온 $20^{\circ}C$ 이하로 내려가면 그 발생이 극도로 저하한다. 3. Filinia longiseta등 소형 rotifer는 1ml당 약 1000개체의 고 밀도로 발생이 가능하나 dipterex에 대하여 대단히 약하며 앞으로 상세한 실험이 요청된다. 4. 실내에서 Brachionus calyciflorus를 배양할 때는 그 먹이인 녹조류를 실외의 못에서 배양하거나 또는 태양광선을 이용할 수 있는 장치를 실내에 하는 것이 좋다고 인정된다. 5. marble gourami의 어린 자어에 Brachionus calyciflorus를 먹이니 그 성장이 잘 되었다. 이 때 dipterex를 사용하여 다른 갑각류를 억제하면서 발생시킨 것을 바로 먹여서 자어에게 아무런 지장을 초래하지 않았다.

  • PDF

클로렐라의 항 피로 효과 연구 (Antifatigue Effect of Chlorella vulgaris in Mice)

  • 안효진;서상완;심경식;김정숙;김은희;이미옥;박형석;한재갑;이은희;엄재영;홍승헌;김형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9-175
    • /
    • 2006
  • 단세포 조류 생물인 Chlorella vulgaris(클로렐라)는 다양한 생리 활성을 가진 기능성 소재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제 수영 부하 실험과 혈액 생화학적 지표에 대한 클로렐라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혈액 생화학적 지표로는 Blood urea nitrogen(BUN), creatine kinase(CK), lactic dehydrogenase(LDH), glucose(Glc), total protein(TP), albumin을 혈액 생화학적 지표로 측정하였다. 매일 0.05, 0.1, 0.15 g/kg 농도의 클로렐라를 각각 실험 군별로 마우스에 구강 투여했다. 클로렐라를 투여한지 3일, 7일째 되는 날 강제 수영 부하 실험을 시행한 결과 0.15 g/kg 클로렐라를 투여한 그룹에서 유의적으로 부동시간을 감소시켰다. 또한 혈청 중 BUN 수치를 낮췄으며, CK, LDH 수치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클로렐라 투여 시 혈 중 Glc 수치는 높아졌으나, TP 와 albumin 수치는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클로렐라가 육체적 지구력 향상 효과가 있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