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erstanding-oriented teaching mathematics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2초

"이해만 됐다면 수학은..." -어느 초등 교사의 이해 중심의 수학지도- ("Once Mathematics is Understood, Then..." -An Elementary Teacher′s Teaching of Mathematics with Understanding-)

  • 조정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1권2호
    • /
    • pp.173-187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ough ethnographic inquiry is to describe how an elementary teacher teaches mathematics with understanding. The ways that teachers'beliefs affect instructional activities, what means understanding from the view of cognitive psychology, and ethnographic research tradition were reviewed to anchor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A third-grade teacher and his 45 students were selected in order to capture vivid and thick description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of mathematics. Three major sources of data, that is, participant-observation with video taping, formal and informal interviews with the teacher and his students, and a variety of official documents were collected. Thes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wo phases: data analysis in the field and after the fieldwork. According to data analysis, ‘teaching mathematics with understanding’ was identified as the teachers central belief of teaching mathematics. In order to implement his belief in teaching practices, the teacher made use of three strategies: ⑴ valuing individual student's own way of understanding, ⑵ bring students' everyday experiences into mathematics classroom, and ⑶ lesson objectivies stated by students. It is suggested for future research that concrete and specific norms of mathematics classroom for the improvement of mathematics understanding are needed to be identified and that experienced and skillful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should be incorporated with theories of teaching mathematics and necessarily paid more attention by mathematics educators.

  • PDF

초등교사의 수학과 수업 개선 의지의 예측과 이해 (Understanding and predicting elementary teachers' intention to change in mathematics instruction)

  • 오영열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3권3호
    • /
    • pp.267-286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 방식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신념의 구조를 이해하고, 이들 신념과 관련된 요인들이 수업 개선 의지에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고 예측함으로써 교사들의 수업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는데 있다. Fishbein과 Ajzen이 개발한 Theory of Planned Behavior 이론은 본 연구에서 교사들의 수업개선 의지, 신념, 태도, 주관적 규범 및 통제요인의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조사하는데 개념적 틀을 제공하고 있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281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기술적 통계 분석과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업 관행의 변화는 우선적으로 수학을 학습자 중심으로 가르칠 때 예상되는 결과들의 가능성에 대한 주관적 판단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학습자 중심 수학 학습에 대한 교사 주변인들의 요구 또한 교사들의 수업 개선 의지에 약간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업에 대한 통제요인 등은 수업 개선 의지를 예측하는데 크게 영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7-가] 단계의 변수 개념 지도에 관한 교수학적 논의 (A Didactical Discussion on the teaching of variable concept in the [7-first] stage of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 김남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67-87
    • /
    • 2001
  • Variable concept plays a crucial role in understanding not only algebra itself but also school mathematics which is algebra-oriented. It solves as an essential means in applying mathematics to the real world because il enables us to describe varying phenomena in the real world. In this study, we examined some matters related to the learning of variable concept in school mathematics. In Particular, we discussed on the teaching of variable concept in the [7-first] stage of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We analysed the textbooks in the [7-first] stage and attempted to explain concretely the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of variable concept which be taught in school mathematics. After reconsidering the practices on variable concept teaching, we pointed out the problems of formalistic teaching method and then proposed the direction in which variable concept teaching should go.

  • PDF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 나타난 초임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 분석 (An Analysis of Novi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Elementary Mathematics Teaching)

  • 김유경;방정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27-51
    • /
    • 2012
  • 본 논문은 세 명의 초임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나타난 교수학적 내용 지식을 수학내용지식, 학생이해지식, 교수법에 대한 지식이라는 측면에서 상세히 분석하였다. A교사는 부진아였던 학생 시절의 영향을 받아 구체물을 통한 개념 중심의 수업을 구현하고자 하였고, B교사는 수학자처럼 자신만의 사다리꼴의 넓이를 구해보는 탐구 중심의 수업을 구현하였으며, C교사는 실생활 중심 수업을 하였다. 세 명 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나타난 교수학적 내용 지식은 구현하려고 하는 수업의 형태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본 논문은 세 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초임교사의 수학과 수업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탐구 지향 미분방정식의 개발 실제: 교수실험을 통한 접근 (An Inquiry-Oriented Approach to Differential Equations: Contributions to Teaching University Mathematics through Teaching Experiment Methodology)

  • 권오남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733-767
    • /
    • 2005
  • During the past decades, there has been a fundamental change in the objectives and nature of mathematics education, as well as a shift in research paradigms. The changes in mathematics education emphasize learning mathematics from realistic situations, students' invention or construction solution procedures, and interaction with other students of the teacher. This shifted perspective has many similarities with the theoretical . perspective of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RME) developed by Freudental. The RME theory focused the guide reinvention through mathematizing and takes into account students' informal solution strategies and interpretation through experientially real context problems. The heart of this reinvention process involves mathematizing activities in problem situations that are experientially real to student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reinvention in a collective, as well as individual activity, in which whole-class discussions centering on conjecture, explanation, and justification play a crucial role. The overal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research efforts to adpat the instructional design perspective of RME to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differential equation is collegiate mathematics education. Informed by the instructional design theory of RME and capitalizes on the potential technology to incorporate qualitative and numerical approaches, this study offers as approach for conceptualizing the learning and teaching of differential equa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approa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in a differential equations course at a university through a fall semester in 2003. All class sessions were video recorded and transcribed for later detailed analysis. Interviews were conducted systematically to probe the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problem solving of differential equations. All the interviews were video recorded. In addition, students' works such as exams, journals and worksheets were collected for supplement the analysis of data from class observation and interview. Informed by the instructional design theory of RME, theoretical perspectives on emerging analyses of student thinking, this paper outlines an approach for conceptualizing inquiry-oriented differential equations that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approaches and current reform efforts. One way of the wars in which thus approach complements current reform-oriented approaches 10 differential equations centers on a particular principled approach to mathematizati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ill provide insights into the role of the mathematics teacher,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echnology, which will provide mathematics educators and instructional designers with new ways of thinking about their educational practice and new ways to foster students' mathematical justifications and ultimately improvement of educational practice in mathematics classes.

  • PDF

초등수학교실문화의 개선 : 사회수학적 규범과 수학적 관행 (Changing the Culture of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 : Sociomathematical Norms and Mathematical Practices)

  • 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4권3호
    • /
    • pp.283-304
    • /
    • 2004
  • 본 논문은 1년 동안 학생중심 수학교실문화를 구현하려고 노력하는 3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6개의 수학교실문화를 분석함으로써 교사중심에서 학생중심의 문화로 바꿔나가는 과정을 상세하게 탐색한다. 연구대상 교실 모두에서 일반적인 사회적 규범과 관련하여 학생중심 교수법의 전형적인 양상이 구현된 반면에, 사회수학적 규범과 수학적 관행 측면에서는 학생들의 아이디어가 수학적 담화와 활동의 중심이 되는 정도에 따라서 유사성보다는 차이점이 부각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교실문화 개선의 난제, 사회수학적 규범과 수학적 관행의 중요성, 교사의 역할 등에 관해 논의한다.

  • PDF

Examination of Prospective Teachers' Perceptions on Mathematical Concepts and Their Potential Teaching Strategies

  • Lee, Ji-Eu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8권1호
    • /
    • pp.55-74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the potential teaching strategies of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procedural/conceptual nature of examples. Fifty-four prospectiv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ngaging in two-phase tasks. Analysis of data indicated that: (a) Overall,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were geared toward putting emphasis on conceptual understanding rather than procedural understanding; but (b) Generally, procedure-oriented strategies were more frequently incorporated in participants' potential teaching plans. This implied that participants' preconceived ideas regarding math examples were not always reliable indicators of their potential teaching strategie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mathematics teacher preparation are discussed.

비와 비율 지도에 대한 교사의 PCK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Teaching Ratio and Rate)

  • 박슬아;오영열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15-24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비와 비율을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이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비와 비율 지도에 대한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을 질문지와 면담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PCK의 내용 측면에 있어서 교사는 비와 비율의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실생활 맥락과 연계해서 비와 비율을 지도할 필요가 있으며, PCK의 교수 방법 및 평가에 대한 지식의 관점에서 비와 비율에 대한 교수 목표를 강화하고 교수 방법에 있어서도 활동 중심으로 바뀔 수 있도록 교사들의 PCK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학생 이해 지식의 관점에서 교사의 PCK는 교사의 설명 이외에 오류 지도 방법을 다양화하고 정의적 측면을 수업에 연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수업 상황에 대한 지식의 관점에서 교사는 주체적 관점에서 교과서 활동을 재구성하고, 활동의 특성에 맞게 수업 집단을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설문과 면담을 통한 비와 비율에 대한 교사의 PCK가 실제 수업과 어떠한 연관성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추후 연구를 제안한다.

  • PDF

수업개선 관행공동체를 통한 교사의 변화 탐색: 수학 수업관행을 중심으로 (Exploring Teacher Change Through the Community of Practice Focused on Improving Mathematics Teaching)

  • 오영열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251-272
    • /
    • 2006
  • 이 연구는 수학 수업개선에 초점을 맞춘 관행공동체의 형성과 참여를 통해서 교사들의 변화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수업개선 관행공동체를 통해서 교사들은 수학 수업에 관한 다양한 담론과 지식을 공유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수학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다양한 기회를 갖게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변화를 신념과 수업관행의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그 결과 아동들의 수학 학습방법에 대한 교사들의 신념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수학 수업개선의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또한, 수업관행의 변화 측면에서 교사들의 수학 수업이 학습자 중심 경향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변화는 설문분석에서뿐만 아니라 실제 수업분석 결과에서도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 결국 성공적이고 지속가능한 수학 수업의 변화를 위해서는 수업의 변화에 대한 가치 및 수학 교과와 관련된 전문적인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함을 본 연구는 시사한다.

  • PDF

수학 수업에서 교사의 의사결정 행동 분석 - 과학영재학교의 미적분학 수업 사례연구 - (An Analysis of a Teacher's Decision Making in Mathematics Lesson: Focused on Calculus Class in Science Academy)

  • 오택근;김지애;이경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3호
    • /
    • pp.585-611
    • /
    • 2014
  • 본 연구는 목표 지향적 의사결정 이론의 수업 분석틀을 적용하여 우리나라의 과학영재학교에서 수학 수업을 수행하는 한 교사의 의사결정 행동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도권의 과학영재학교에서 미적분학 수업을 담당하는 한 수학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수업을 관찰하였고, 선행연구로부터 도출한 설문지를 토대로 참여교사의 수학수업에 대한 목표, 지향, 자원 및 수업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교사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의 수업 행동에서 일정한 지도 루틴이 있음을 파악하였으며, 수학 수업에 관한 교사의 목표, 지향, 자원을 통해 교사의 지도 루틴을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Schoenfeld의 연구에서 제시된 교사의 지도 루틴과 유사하면서도 부분적으로 다른 루틴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목표 지향적 의사결정 이론이 학생들과의 생산적인 상호작용을 추구하는 우리나라 교사의 수학 수업에서 교사의 의사결정 행동을 이해하기 위한 분석 도구로서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