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yrosinase-related protein (TRP)-1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26초

마우스 흑색종세포에서 Purpurogallin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Antimelanogenic Effect of Purpurogallin in Murine Melanoma Cells)

  • 김한혁;김태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905-1911
    • /
    • 2015
  • 천연 미백소재 개발과 관련하여 많은 연구들이 멜라닌 합성저해 및 활성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으며, 이러한 이유로 tyrosinase 저해제 개발이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배 유래의 polyphenol oxidase를 이용하여 천연에 존재하는 단순 폴리페놀인 pyrogallol의 산화 축합반응을 유도하여 purpurogallin을 효율적으로 생합성하였으며, 본 화합물에 대해서 미백 활성을 평가하였다. 먼저 MTT assay를 통해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구간을 설정하였으며, purpurogallin은 $25{\mu}M$ 농도의 melanoma 세포 내에서 tyrosinase 활성을 20% 이상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25{\mu}M$의 시험 농도에서 purpurogallin은 약 20% 이상의 melanin 생합성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미백 관련 전사인자인 MITF, TRP-1, TRP-2, tyrosinase의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본 화합물은 B16F10 melanoma 세포에서 tyrosinase, TRP-1과 TRP-2의 단백질 생합성을 두 추출물 모두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yrosinase, TRP-1과 TRP-2의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인자로는 MITF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실제로 MITF는 melanin 생성과 관련된 여러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다. 따라서 purpurogallin은 melanin 생성과 관련된 중요한 세 가지 단백질의 생합성을 전사단계에서 조절 전사인자인 MITF의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멜라닌 생합성에 있어서 상위 신호단계에 있는 전사인자 MITF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하위 신호전달 과정을 억제하는 것임을 시사하며, 향후 추가적인 검증작업을 통해 화장품 소재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Hexane Extract of Kaempferia galanga L. Suppresses Melanogenesis via p38, JNK and Akt

  • In, Myung-Hee;Jeon, Byoung Kook;Mun, Yeun-Ja;Woo, Won-Hong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7-53
    • /
    • 2016
  • Kaempferia galanga L. is one of the plants in Zingiberaceae family. It is used by people in many regions of Asia and Africa for relieving toothache, abdominal pain, muscular swelling and rheumatism. Tyrosinase is a key enzyme for melanogenesis, and hyperpigmentation is associated with abnomal accumulation of melanin pigmen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hibition of melanogenesis by hexane extract of Kaempferia galanga L. (HKG) in B16F10 melanoma cells. Cell-free tyrosinase, melanin contents, intracellular tyrosinase activity and western blot analysis were performed to elucidate the effects on anti-melanogenesis. Cytotoxicity of the extracts was measured using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and determined the concentration of 12.5, 25 μg/ml. HKG significantly inhibited to activities of intracellular tyrosinase and melanin synthesis in the absence or presence of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α-MSH) with dose-dependent manner. And HKG inhibited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RP-1) and tyrosinase-related protein 2 (TRP-2),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α-MSH. HKG also down-regulated phosphorylation of p38 and JNK, and up-regulated phosphorylation of Akt. These effects were not related to its cytotoxicity a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KG has the potential to be a useful therapeutic agent for treating hyperpigmentation disorders and as a beneficial additive in whitening agents in cosmetics industry.

남극 지의류 Ramalina terebrata로부터 분리된 라말린의 미백효과 (Inhibition of Melanogenesis by Ramalin from the Antarctic Lichen Ramalina terebrata)

  • 장윤희;류종성;이상화;박선규;하리 다타 바타라이;임정한;진무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47-254
    • /
    • 2012
  • 남극 지의류인 Ramalina terebrata에서 분리 정제된 라말린(${\gamma}$-glutamyl-N'-(2-hydroxyphenyl)hydrazide)은 이전 연구에서 강력한 항산화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라말린의 추가적인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비암세포 세포주인 멜란에이 세포를 이용하여 라말린의 멜라닌 합성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라말린은 세포 독성이 없는 농도에서, 멜란에이 세포에서 멜라닌 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효과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미백제인 알부틴보다 우수하였다. 라말린은 무세포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을 직접 저해했을 뿐만 아니라, 세포 내의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도 저해하는 효과를 보였다. 라말린의 이러한 멜라닌 합성 저해의 기전 연구를 위하여, 멜라닌 합성에 중요한 단백질인 타이로시네이즈, TRP-1, TRP-2의 mRNA와 단백질 발현을 조사한 결과, mRNA양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단백질의 발현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0.2 % 라말린을 포함한 제형을 사람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3주 후에 피부 밝기가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라말린은 타이로시네이즈의 직접적인 저해뿐만 아니라 멜라닌 합성과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을 저해함으로써 미백효과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효과를 인체시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라말린은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미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Melanogenesis 양성적 조절 에 관여하는 최근 천연물의 동향 (Recent Natural Products Involved in the Positive Modulation of Melanogenesis)

  • 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45-752
    • /
    • 2018
  • 멜라닌 생성은 생체 내에서 모발, 눈 및 피부의 색소 침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자외선 뿐만아니라 ${\alpha}-MSH$, SCF/c-Kit, $Wnt/{\beta}-catenin$ 및 산화 질소 신호 전달 경로와 같은 다양한 외부 인자가 멜라닌 세포를 자극하여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에 의하여 발현되는 tyrosinase, tyrosinase 관련 단백질 (TRP)-1 및 TRP-2에 의하여 멜라닌이 생성된다. 그러나 멜라닌 생성의 비정상적인 조절은 모발 백발화와 백반증과 같은 피부병 문제를 유발한다. 따라서, 멜라닌 생성을 촉진하는 활성제는 모발 백발화의 예방 및 저 색소증 치료에 매우 중요하다. 많은 멜라닌 생성 자극제가 합성 화합물 및 천연물질로부터 유래한 신규 약물의 개발을 위해 연구되어 왔다. 여기서는, 새로운 항 백발화제의 개발을 위한 백발화 및 백반증 과정의 melanogenesis에 공통적인 신호 경로에 대한 기술 뿐만 아니라 백반증의 치료를 위한 약제로 멜라닌합성을 촉진하는 천연 약초와 그 활성 성분에 대하여 기술한다. 특히, 약물의 부작용으로 melanogenesis에 자극 효과가 있는 Imatinib 및 Sugen와 같은 화합물에 대하여 소개한다. 뿐만 아니라, 민간의 전통약제로 널리 알려진 적하수오, 흑임자, 흑미, 서목태, 현미와 같은 천연 식물추출물에 대한 최근 연구에 대하여 기술한다.

한국 자생 석곡 메탄올 추출물의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of Korean Native Dendrobium moniliforme Methanol Extract)

  • 정호경;장지훈;고재형;강병만;여준환;조정희;조현우;빈철구;김성철;정원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31-338
    • /
    • 2014
  • Dendrobium moniliforme (DM) is a valuable and versatile herbal medicine with the anecdotal claims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whitening and anti-wrinkling effects of DM under various conditions with B16F10 melanoma cells and human dermal fibroblasts. The DM extract inhibited melanin contents and tyrosinase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compared with untreated group. Treatment of the DM extract effectively suppressed the ${\alpha}$-MSH-stimulated melanin formation, tyrosinase activity and dendrite outgrowth. Moreover, the ${\alpha}$-MSH-induced mRNA expressions of tyrosinase-related protein-1 (TRP-1) and tyrosinase-related protein-2 (TRP-2) and protein expression of tyrosinase were significantly attenuated by DM treatment. We also investigated the DM increased the production of type I procollagen and inhibited TNF-${\alpha}$-induced mRNA expressions of MMP-1, -3 in the human dermal fibroblas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M may be a great cosmeceutical ingredient for its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Tyrosinase 및 TRP-2의 발현 억제를 통한 황칠나무 잎 추출물의 Melanin 생성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Dendropanax Morbifera Leaf Extracts on Melanogenesis through Down-Regulation of Tyrosinase and TRP-2)

  • 박수아;이혜미;하지훈;전소하;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5권5호
    • /
    • pp.468-473
    • /
    • 2014
  • 황칠나무는 한국의 남부 해안 및 제주도 등에서 자생하는 식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황칠나무 잎 추출물의 미백 활성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alpha}$-MSH로 자극된 B16 melanoma 세포에 대한 추출물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은 25 및 $50{\mu}g/mL$ 농도에서 유의적으로 멜라닌 함량을 감소시켰으며, 세포 내의 tyrosinase 활성뿐만 아니라 tyrosinase와 TRP-2의 단백질 발현도 상당히 저해하였다. 결과적으로, 황칠나무 잎 추출물은 세포 내의 tyrosinase활성과 멜라닌 생합성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효소의 발현을 저해함으로써 미백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는 황칠나무 잎 추출물이 새로운 미백 화장품의 원료로써 이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환초석곡 메탄올 추출물의 흑색종세포주에서 멜라닌 생성 억제 효능 (Effect of Dendrobium loddigesii Rolfe Methanol Extract on Melanogenesis in α-MSH Stimulated B16F10 Cells)

  • 정호경;장지훈;심미옥;이기호;여준환;강병만;조정희;빈철구;김성철;정원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98-304
    • /
    • 2015
  • Dendrobium loddigesii (DL) is a valuable and versatile herbal medicine with the anecdotal claims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whitening effects of DL under various conditions with B16F10 melanoma cells. The DL extract inhibited melanin contents and tyrosinase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compared with untreated group. Treatment of the DL extract effectively suppressed the ${\alpha}$-MSH-stimulated melanin formation, tyrosinase activity and dendrite outgrowth. Moreover, the ${\alpha}$-MSH-induced mRNA expressions of tyrosinase-related protein-1 (TRP-1), tyrosinase-related protein-2 (TRP-2),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and protein expression of tyrosinase were significantly attenuated by DL treat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L may be a great cosmeceutical ingredient for its whitening effects.

Decaschistia intermedia Craib 추출물의 멜라닌 합성 억제 효능 (Inhibitory Effects of Decaschistia intermedia Craib Extract on Melanin Synthesis)

  • 임리진;추병삼;이상우;;송희상
    • 생약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71-177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melanogenic effects of the extracts from Decaschistia intermedia craib (EDI).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EDI on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in in vitro, melanin contents, and expression levels of mRNA and proteins of melanogenesis-related genes in B16F10 melanoma cells. The treatment of EDI significantly decreased both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contents in B16F10 cells with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expression of mRNA or proteins of melanogenic proteins, such as, a-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a-MSH)-induced microphthalmia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tyrosinase,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and TRP-2 was significantly downregulated with dose-dependent manner in the EDI-treated B16F10 cells compared to control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EDI inhibits cellular melanogenesis through downregulation of a-MSH-stimulated melanin synthesis. Thus EDI may potentially be an effective whitening agent.

Inhibitory Effect of Pinus rigida × Pinus taeda on Melanogenesis in B16 F10 Cells

  • Woo-Jin Oh;Seo-Yoon Park;Tae-Won Jang;So-Yeon Han;Da-Yoon Lee;Se Chul Hong;Jae-Ho Park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56-56
    • /
    • 2023
  • The cone of Pinus rigida × Pinus taeda (PRT), a plant in the Pinaceae family, has long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to treat hemostasis, bruises, and burns.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at regulating oxidation-reduction reactions in reactive oxygen species can help inhibit melanogenesis, the process of melanin synthesis, which is a common target for addressing hyperpigmentation. Inhibiting tyrosinase is also known to be effective in this regard. Based on these findings, we conducted an investigation into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PRT (ERT) on melanogenesis in B16 F10 cells. We know that the expression levels of melanin biosynthesis-related proteins, including tyrosinase, TRP-1, and TRP-2, are regulated by MIT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and cAMP, with cAMP affecting the activity of protein kinase A (PKA). PKA can reduce melanogenesis, and CREB reduces the phosphorylation of melanin-producing enzymes. In addition, the MAPK signaling pathway, composed of ERK, JNK, p38, and other factors, is also known to play a role in the inhibition of melanogenesis in melanocytes. Our immunoblotting results showed that ERT inhibited the expression of melanin production-related proteins (tyrosinase, TRP-1, TRP-2, and MITF) tha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a-MSH treatment to promote melanin production. Furthermore, the phosphorylation levels of factors related to cAMP/PKA/CREB and MAPK signaling pathways were significantly reduced without affecting the total form. In conclusion, we believe that treatment with ERT can inhibit melanin synthesis by modulating the phosphorylation of cAMP/PKA/CREB and MAPK signaling pathways at the cellular level. These findings suggest the potential of ERT as a raw material for functional cosmetics and pharmaceuticals, thanks to its antioxidant activity and ability to inhibit melanogenesis. We thought that these findings of ERT as a natural plant resource will inspire further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is area.

  • PDF

멜라노마 세포(B16F10)에서의 개망초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hitening Effect of Erigeron annuus (L.) Pers. Ethanol Extract on Melanoma Cell (B16F10))

  • 주다혜;유단희;이진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48-157
    • /
    • 2019
  • 개망초의 항산화능 측정으로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여 $500{\mu}g/ml$에서 82%의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500{\mu}g/ml$에서 87%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 활성 측정결과 개망초 에탄올 추출물이 $100{\mu}g/ml$에서 69%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억제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100{\mu}g/ml$에서 32.2%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개망초 추출물에 대한 수렴효과를 측정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100{\mu}g/ml$에서 80%이상의 우수한 수렴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 생존율을 MTT 분석법을 통해 확인한 결과 농도 구간이 $100{\mu}g/ml$ 일 때 96%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따라서 관련 실험을 세포생존율이 100%에 가까운 25, 50, $100{\mu}g/ml$에서 진행하였다. B16F10 세포에 개망초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MITF, TRP-2의 단백질 발현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TRP-1과 tyrosinase 발현양이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위 단계 유전자인 ERK와 CREB의 발현양은 미비했으나, 인산화된 ERK와 인산화된 CREB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단백질 발현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망초 에탄올 추출물을 25, 50, $100{\mu}g/ml$의 농도 별로 처리하였으며 MITF, TRP-1, TRP-2, tyrosinase의 mRNA 발현 측정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mRNA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항산화 및 멜라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그 하위 유전자 및 상위 유전자의 발현을 저해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그에 따라 우리나라 전역에서 재배가 가능하고 국화과에 속하는 신귀화식물 개망초를 기능성 천연 미백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