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yrosinase

검색결과 1,530건 처리시간 0.038초

효모에서 분리한 멜라닌 생성 억제 물질의 작용 기전 (Mechanism of Melanogenesis Inhibition by Melanoston Isolated from Yeast)

  • 이승선;정호권;오철;최태부
    • KSBB Journal
    • /
    • 제19권2호
    • /
    • pp.118-12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효모에서 분리한 melanoston이라고 명명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의 작용 기전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alpha$-MSH를 처리한 B16 melanoma 세포에서 melanoston은 tyrosinase mRNA 발현양을 10% 정도 저해되는데 그쳤으며 western blotting을 이용한 단백질 측정에서도 이와 비슷한 정도의 단백질 생성 억제를 보였다. 그러나 B16 세포 배양액에 melanoston을 첨가할 경우 세포내 tyrosinase 활성이 33% 까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 metanoston이 tyrosinase inhibitor는 아니지만 세포내 tyrosinase 활성화 (activation) 과정을 억제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또한 광학 현미경을 이용한 morphology 관찰에서 $\alpha$-MSH를 처리한 세포에서는 많은 dentrite가 형성되면서 세포분화가 일어나는 반면 melanoston를 처리한 경우에는 dendrite가 감소하면서 세포형태가 대조군과 비슷하게 회복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FITC-anti-tyrosinase-Ab를 이용한 형광 염색을 통해서는 $\alpha$-MSH만 처리한 세포에서는 tyrosinase의 분포가 dendrite를 포함한 세포 전체로 퍼져나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alpha$-MSH와 melanoston을 동시에 처리한 세포에서는 대조군과 비슷하게 tyrosinase가 핵 주변에서만 관찰되어 melanoston이 B16 melanoma 세포의 분화과정에서 이를 억제하는 효과를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melanoston은 $\alpha$-MSH에 진행되는 B16 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이 과정에서 멜라닌 생성의 주된 효소인 tyrosinase의 활성화를 억제하며 결과적으로는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효모에서 분리한 멜라닌 생성 억제 물질의 세포분화 억제 (Inhibition of Melanoma Differentiation by Melanogenesis Inhibitor Isolated from Yeast)

  • 최태부;이승선;정호권;오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5-3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효모에서 분리한 melanoston이라고 명명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의 작용 기전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alpha$-MSH를 처리한 B16 melanoma 세포에서 melanoston은 tyrosinase mRNA 발현양을 $10\%$ 정도 저해되는데 그쳤으며 western blotting을 이용한 단백질 측정에서도 이와 비슷한 정도의 단백질 생성 억제를 보였다. 그러나 B16 세포 배양액에 melanoston을 첨가할 경우 세포내 tyrosinase 활성이 $30\%$까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 melanoston이 tyrosinase inhibitor는 아니지만 세포내 tyrosinase 활성화(activation) 과정을 억제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또한 광학 현미경을 이용한 morphology 관찰에서 $\alpha$-MSH를 처리한 세포에서는 많은 dentrite가 형성되면서 세포분화가 일어나는 반면 melanoston를 처리한 경우에는 dendrite가 감소하면서 세포형태가 대조군과 비슷하게 회복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FITC-anti-tyrosinase-Ab를 이용한 형광염색을 통해서는 $\alpha$-MSH만 처리한 세포에서는 tyrosinase의 분포가 dendrite를 포함한 세포 전체로 퍼져나가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고 $\alpha$-MSH와 melanoston을 동시에 처리한 세포에서는 대조군과 비슷하게 tyrosinase가 핵 주변에서만 관찰되어 melanoston이 B16 melanoma 세포의 분화과정에서 이를 억제하는 효과를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melanoston은 $\alpha$-MSH에 의해 진행되는 B16 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이 과정에서 멜라닌 생성의 주된 효소인 tyrosinase의 활성화를 억제하며 결과적으로는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해녀콩(Canavalia lineata THUNB. DC.)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Anti-melanogenesis Effect of Canavalia lineata Extract)

  • 부희정;류기중;이선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85-489
    • /
    • 2004
  • 피부에서 melanin은 자외선 차단의 주요한 역할을 한다. Tyrosinase는 멜라닌 생합성과정에서 초기 단계에 관여하는 중요한 효소로서 이것의 조절을 통한 피부 멜라닌화 억제에 관해 많은 연구가 되어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해녀콩 추출물에서 mushroom tyrosinase 활성억제, B16F10 melanoma 세포를 이용한 dopa oxidase 활성억제 및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Tyrosinase mRNA 발현에서의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RT-PCR을 이용하였으며, $CHCI_3$ 층에서 분리해낸 A 분획에서 tyrosinase mRNA 발현을 억제시킴을 확인하였다.

삼지구엽초의 멜라닌합성 촉진과 작용기전 (Melanogenic Effect and the Mechanism of Epimedium koreanum Nakai)

  • 차수빈;김단희;문연자;우원홍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26-232
    • /
    • 2017
  • In this study, ethanol extract of Epimedium koreanum Nakai(EEKN) enhanced melanogenesis by inducing expression of tyrosinase and tyrosinase-related protein-1 (TRP-1). But EEKN did not increase the protein expression of tyrosinase-related protein 2 (TRP-2). Moreover, EEKN enhanced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contents of B16F10 cells. EEKN raised the expression of CREB phosphorylation and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as a key transcription factor for tyrosinase expression regulating melanogenesis. And PKC inhibitor H89 supressed that EEKN induced tyrosinase activity, melanin contents, and expression of tyrosinase, TRP-1.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lanogenesis-promoting effect of EEKN was correlated with regulation of tyrosinase and TRP-1 protein through cAMP/PKC pathway.

Catechol생산을 위한 Tyrosinase의 안정화 (Stabilization of Tyrosinase for Catechol Production)

  • 박종현;김용환유영제이윤식
    • KSBB Journal
    • /
    • 제9권5호
    • /
    • pp.525-531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tyrosinase 효소반응시에 발생하는 반응 비활성화를 막아 조엽 얀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Quinone에 의해 친핵성 공격을 받는 lysine기를 bifunctional rea gent인 glutaraldehyde로 변형시켜 줌으로써 효소 의 비활성화를 줄일 수 있었다. 또한, 고정화된 효소 를 충진층 반응기에 충진시켜 비활생화를 열으키는 생산물을 연속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효소의 얀정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고정화 방법으로는 glass bead를 이용한 담체 가교법을 이용하였으며, 이때 glutaral­d dehyde와 효소의 lysine이 반응하게 되어 qumone 에 의한 친핵성 공격을 받지 않게 되어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 었다. 반응매 질로 borate buffer를 이용하 게되면 catechol과 borate의 복합체 형성으로 catechol에서 qumone으로의 전환이 줄어들게 되어 효소 비활성화가 감소하였다.

  • PDF

월견초 및 월견자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Herb and Seeds of Oenothera odorata on the Melanogenesis)

  • 최미은;우원홍;문연자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49-157
    • /
    • 2010
  • 목적 : 월견초는 다량의 불포화 지방산인 리놀렌산과 감마 리놀렌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천식성 기침이나 아토피피부염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월견초의 전초와 종자 추출물의 피부 멜라닌 합성에 대한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방법 : B16F10 멜라닌세포주를 이용하여 멜라닌, tyrosinase 활성 및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멜라닌 합성- 관련효소인 tyrosinase, TRP-1, TRP-2의 단백질발현과 $\alpha$-MSH를 처리하여 색소침착을 유도 한 뒤 단백질 발현을 조사하였다. 결과 : 월견자는 B16F10 세포의 멜라닌 합성을 $5\;{\mu}g/ml$$10\;{\mu}g/ml$ 농도에서 각각 대조군의 81.3%, 68.3%로 억제하였고 tyrosinase의 활성도 이와 유사하게 억제하였다. 멜라닌 합성-관련효소들의 단백질발현을 관찰한 결과 월견초와 월견자는 tyrosinase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TRP-1과 TRP-2의 발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특히 $\alpha$-MSH에 의한 과색소 유도 시 tyrosinase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월견자의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가 월견초 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이상의 연구 결과 월견자는 멜라닌세포의 tyrosinase 단백질 발현과 tyrosinase 활성을 억제하여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수종 생약의 티로시나제 억제효과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Some Herbal Drugs)

  • 박정일;신영근;신언경;백선경;이승기;정명희;박영인
    • 약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518-523
    • /
    • 1997
  • To isolate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which exhibit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and ultimately express skin whitening effect, 14 oriental herbal drugs were screened in ter ms of tyrosinase inhibition. For this purpose, in vitro enzyme assay system for tyrosinase, so called Pomerantz method with some modifications has been established. Crude methanolic extracts from 14 herbal drugs were made and examined for their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yrosinase. Those extracts from Cnidii Rhizoma, Arecae Semen, Caryophylli Flos, and Ephedrae Herba showed strong inhibitory activities on mushroom tyrosinase. Therefore, crude methanolic extracts from those 4 herbal drugs were further fractionated using ether, butanol and water. respectively. The ether and n-butanol extracts from Arecae Semen and the n-butanol and water extracts from Caryophylli Flos, respectively, showed relatively strong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compared to arbutin.

  • PDF

금잔화 추출물의 미백활성 및 항균 효과 (Effect of Calendula arvensis extract on anti-melanogenesis and antimicrobial activity)

  • 김현수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2호
    • /
    • pp.137-141
    • /
    • 2019
  • 본 연구에서 금잔화(Calendula arvensis)에 대한 다양한 생리, 화학적 활성을 시험하여 기능성소재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금잔화 추출물은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세포독성이 거의 없는 농도에서 금잔화 추출물 처리 시, 산화방지 활성, tyrosinase 활성저해 및 멜라닌 함량 저하를 보여주었다. 금잔화 추출물 농도에 따라 tyrosinase 단백질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이는 금잔화 추출물이 tyrosinase의 활성 및 단백질 발현을 억제시키거나 혹은 멜라노좀 수송 저해 등 다른 요인에 의해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금잔화 추출물 처리 시, 항균활성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금잔화 추출물은 향후 기능성 소재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물질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A Study on the Tyrosinase Inhibitory and Antioxidant Effect of Microalgae Extracts

  • Ji, Keunho;Kim, Yeeun;Kim, Young Tae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67-173
    • /
    • 2021
  • Reactive oxygen species (ROS) disrupt the cellular redox balance, exert cytotoxic effects, and consequently promote the development of various diseases in humans.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antioxidants counteract the adverse effects of ROS. Several studies examine the whitening effects of various agents based on their ability to inhibit tyrosinase activity. Tyrosinase is a critical enzyme involved in the synthesis of melanin, which protects the skin against radiation. Various agents exhibiting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have been synthesized. However, these synthetic drugs are associated with toxicity, decreased safety, and poor skin penetration in vivo, which has limited the clinical application of synthetic drugs. This study examined the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some microalgae. The methanol, dichloromethane, and ethyl acetate extracts of four microalgal species (Tetraselmis tetrathele, Dunaliella tertiolecta, Platymonas sp., and Chaetoceros simplex) were prepared. The physiological and whitening effects of microalgal extracts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The ethyl acetate extract of D. tertiolecta exhibited the highest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Future studies must focus on examining the whitening effects of microalgae on cell lines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microalga-based therapeutics for skin diseases, functional health foods, and whitening agents. Thus, microalgae have potential applications in the pharmaceutical, food, and cosmetic industries.

Cellular activities and docking studies of eckol isolated from Ecklonia cava (Laminariales, Phaeophyceae) as potential tyrosinase inhibitor

  • Lee, Seung-Hong;Kang, Sung-Myung;Sok, Chang Hyun;Hong, Jin Tae;Oh, Jae-Young;Jeon, You-Jin
    • ALGAE
    • /
    • 제30권2호
    • /
    • pp.163-170
    • /
    • 2015
  • Tyrosinase inhibitors are an important component of cosmetic products. Our previous studies have proposed that eckol isolated from the brown alga Ecklonia cava, can be explored as a tyrosinase inhibitor. However, cellular activities and mechanism of action of eckol remain unknown. Therefore, the current study analyzed the eckol binding modes using the crystal structure of Bacillus megaterium tyrosinase. The effects of eckol on melanin synthesis induced by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in B16F10 melanoma cells were also investigated. We predicted the 3D structure of tyrosinase and used a docking algorithm to simulate binding between tyrosinase and eckol. These molecular modeling studies were successful (calculated binding energy value, $-115.84kcal\;mol^{-1}$) and indicated that eckol interacts with Asn205, His208, and Arg209. Furthermore, eckol markedly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synthesis in B16F10 melanoma cells. We also found that eckol decreased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 (TRP) 1, and TRP2.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ckol is a potent inhibitor of melanogenesis, and this finding may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novel pharmaceutical and cosmetic ag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