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ypes of illustrations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9초

현대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다중공간 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ulti-space Method in Fashion Illustration)

  • 이지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44-65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urrent fashion illustrations within the framework of Multi-space method. Multi-space means being piled up one moment & space on others, and being amassed in a scene. This method is related with Dadaism, Surrealism and Postmodernism, and also influences on the current fashion illustration. In this study, the types of Multi-space method could be classified into 4 types; Repetitive Time Mixture in Multi-space, Juxtaposed Time Mixture in Multi-space, Reiterated Space Mixture in Multi-space, Projected Space Mixture in Multi-space. The characteristics of Multi-space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ed. The distinctive methods for Time Mixture in Multi-space are repetition and juxtaposition in a scene. Time Mixture in Multi-space can make the nonlinear narration and unreal illusory space in fashion illustrations more effectively. Reiterated Space Mixture in Multi-space can be related with the heterogeneous, surrealistic illusions in current fashion illustrations. Projected Space Mixture in Multi-space can be characterized into inter-penetration. It can derive spectators to mix the projected & transparent images in a scene for their own imaginary stories. The final imagination can be mad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ersonal experiences of spectators.

디지털 세계의 관점에서 직업의 변화에 기초한 초등학교 교과서 삽화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 Illustrations Based on the Change of Occupations from a Perspective of Digital World)

  • 장미은;김자미;김현철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15-124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국정 교과서를 대상으로 삽화에 제시되어 있는 직업의 종류를 디지털 세계의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3~6학년 국어, 사회, 도덕 교과서에서 제시된 삽화를 분석하여 직업의 종류를 디지털 세계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고용의 미래: 우리의 직업은 컴퓨터화에 얼마나 민감한가?'라는 보고서에서 제시된 미래에 사라질 직업에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사회 교과서는 미래에 사라질 가능성이 높은 직업이 52.1%로, 가능성이 낮은 직업보다 더 높은 비율이었다. 둘째, 직업이 편향적으로 제시되어 있었다. 사라질 가능성이 낮은 직업 중에서 50% 정도는 농부, 교사, 경찰, 의사와 같은 직업이었다. 즉, 교과서에서 제시된 직업이 사회와 직업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SW가 강조되는 시대적 반영이 전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해 새로운 교과서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교과서의 집필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삽화 비교 연구: $3{\sim}6$학년 생명영역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Illustrations of Science Textbooks in Korean and American Elementary Schools -Focus on Biology Section of 3rd-6th Grades)

  • 정충덕;오홍식;최진석;강경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639-644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3-6학년 과학 교과서 삽화 분석을 통해 양국 교과서에 나타난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각 교과서에 제시되고 있는 삽화의 종류를 분석하고 각각의 삽화가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한국과 미국 교과서에서 모두 삽화의 종류로는 사진이 가장 많았고 그밖에 그림, 만화 등이 제시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사진 자료 다음으로 그림 삽화가 많았고, 만화를 중간에 삽입하여 아동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시키도록 하였다. 반면 미국 교과서에서는 사진 자료 다음으로 도해가 많아 한국에 비해 교과 내용에 대한 설명이 강조됨을 알 수 있었다. 삽화의 역할과 관련해서는 3-6학년 모두에서 자료 제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동기유발, 실험안내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할 때 사진 위주의 삽화 보다는 더 다양한 형태 삽화를 제시하는 것이 교수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삽화의 역할에 있어서도 자료 제공 뿐만이 아니라 동기 유발과 실험 안내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의 다양성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7차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삽화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분석 (An Analysis for Gender-Role Stereotyping of Illustration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7th Curriculum)

  • 노태희;차정호;왕혜남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1호
    • /
    • pp.85-91
    • /
    • 2004
  • 이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기의 과학 교과서와 실험관찰 교과서에 제시된 삽화를 성역할 고정관념 측면에서 분석하고 6차 교육과정기의 과학 교과서와 비교하였다. 교재에 나타난 삽화에서 성별에 따른 등장인물의 빈도를 세고, 활동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과학 교과서의 전체 삽화 수는 6차에 비해 7차에서 2배정도 증가하였다. 2) 아동의 경우 학습활동에서는 성에 관계없이 등장 빈도가 대체적으로 균형을 이루었지만, 학습 외 활동에서는 남학생의 등장 빈도가 여학생보다 더 높았다. 3) 행동 특성에서는 남녀 학생 모두 적극적으로 묘사되었고, 소극적으로 묘사되는 여학생의 비율은 6차 과학 교과서에 비해 감소하였다. 4) 성인의 경우에는 남성의 등장 빈도가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5) 가사 활동을 하는 모습에서는 여성의 등장 빈도가 40%로 높게 나타난 반면, 남성은 드물게 나타났다.

  • PDF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글과 삽화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실태 분석 (An Analysis for Gender-Role Stereotyping of Texts and Illustration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강훈식;이재원;김현호;노태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5권4호
    • /
    • pp.454-468
    • /
    • 2016
  • In this study, the gender-role stereotyping of the texts and the illustrations in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as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the tex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the frequencies of texts, two types of learning activities such as scientific inquiry and emotional expression, and housekeeping activity. Women outnumbered men in housekeeping activity, but they were much less than men to perform outdoor and professional activities. In the illustrations,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in pupils, and these results are desirable in terms of achieving balance between boys and girls. However, the textbooks were found to favor the illustrations of men especially in outdoor and professional activities. Women also performed more in housekeeping activity. Compared with the adult results of previous curriculum, these results were not improved at all.

인포그래픽을 중심으로 살펴본 초등 과학교과서 시각화 자료의 유형과 역할 (Types and Roles of Visualization Material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 focusing on Infographics)

  • 정해용;임희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7권1호
    • /
    • pp.80-91
    • /
    • 2018
  • The visualization materials in science textbooks are very important in students' learning. Recent visualizations are increasingl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infographic visualiz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isualization materials in $5^{th}$ and $6^{th}$ elementary science textbook focusing on infographics. Visualization materials were classified into infographic and simple illustration. Infographics were classified into 8 sub-type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fographics were 19.0%, and simple illustrations were 81.0% among elementary textbooks' visualization materials. The portion of infographic varied by content areas. In Biology and Earth Science area, the portions of infographic were high. Second, several types of infographics were used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Timeline infographic were the most frequent, and emphasis infographic, concept mapping infographic, comparison infographic were used frequently. The most frequent types of infographic were different by content area. Third, infographics used more than simple illustrations in the role of concept explanation. Educational implications on science textbook's infographics were discussed.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삽화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분석 (An Analysis of Gender-Role Stereotyping in the Illustrations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유지연;이지현;조준모;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509-517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과학 교과서 27권의 삽화를 성역할 고정관념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그 결과를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과학 교과서와 비교하였다. 삽화의 유형을 분류한 후, 삽화에 등장하는 학생과 성인의 성별 등장 빈도, 활동 유형 및 행동 특성의 성별 빈도를 분석하였다. 7차 교육과정기에 비해 모든 분석 항목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감소하였으나, 학생의 학습 활동과 학생 및 성인의 행동 특성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여전히 성역할 고정관념이 나타났다. 남학생의 등장 빈도는 여학생보다 많았는데, 학생의 학습 활동에서는 성별 빈도가 균형을 이루고 있었으나 학습외 활동은 남학생을 중심으로 묘사되어 있었다. 성인의 경우에는 남성이 여성보다 많이 등장하였고, 가정 활동에서는 여성의 비율이, 가정외 활동에서는 남성의 비율이 우세하였다. 직업 활동에는 남성이 주로 묘사되어 있었다. 학생과 성인은 대부분 적극적 행동 특성을 보였고, 학생과 성인 모두 각 성별 내에서 행동 특성의 비율이 비교적 유사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3~4학년 과학 국정교과서와 검정교과서 시각화 자료의 유형과 역할 비교 분석 (Types and Roles of Visualization Materials in National Compared with Authorized Textbooks for Third- and Fourth-Grade Science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고미정;신동훈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2권1호
    • /
    • pp.93-108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하여 2021학년도까지 사용한 초등 3~4학년 과학 국정교과서와 2022학년도부터 사용하고 있는 7종의 검정교과서의 시각화 자료 유형과 역할이 다양성 측면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초등 3~4학년 과학 교과서의 운동과 에너지, 물질, 생명, 지구와 우주, 통합 영역 모든 단원으로 총 17단원이다. 시각화 자료의 유형과 역할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틀을 개발하여 8종의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정교과서와 검정교과서 7종의 시각화 자료 총량과 일반삽화 총량에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영역별로 일반삽화와 인포그래픽을 사용하는 양에 차이가 없었다. 인포그래픽을 많이 사용하는 영역이 생명, 지구와 우주 순서로 같았다. 둘째, 시각화 자료 유형에 따른 역할 측면에서 일반삽화는 차이가 있었으나 인포그래픽은 차이가 없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모든 검정교과서의 일반삽화에서 동기유발 역할이 증가하였다. 탐구과정 안내의 역할이 줄어든 검정교과서가 3종 있었고, 2종의 검정교과서에서 적용 및 예시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셋째, 인포그래픽 하위유형별 빈도수를 살펴보면 프로세스형, 구조형, 비교분석형, 타임라인형이 전체의 86%를 차지하고 있으나 교과서별로 하위 유형에 다소 차이가 있다. 이 연구로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 내용 선정 시 탐구활동 유형, 탐구과정, 탐구기능, 소재의 변화가 선행되어야 시각화 자료의 유형이나 역할 측면에서 차별화가 이루어질 것이다. 둘째, 교과서 단원이나 차시 내 구성의 틀이 변화되어야 시각화 자료의 양이나 유형에서 다양성과 창의성이 발휘될 것이다. 셋째, 검정교과서 심사 기준 및 방식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논의가 필요하다.

성역할 고정관념의 측면에서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 과학 교과서의 삽화 분석 (An Analysis of Illustrations from Secondary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Aspect of Gender-Role Stereotyping)

  • 차정호;김소연;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181-1188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 과학 교과서 25권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을 분석하였다. 전체 19810개의 삽화 중 인물을 포함하는 3549개(17.9%)의 삽화를 선택하였다. 각 삽화에 등장한 남성과 여성의 빈도를 조사한 후, 각 인물의 활동 유형과 적극성 여부를 분석하였다. 교과서에는 남학생과 남성이 여학생 또는 여성에 비하여 더 많이 등장하였는데, 특히 남성과 여성의 차이가 매우 컸다. 반면에 대부분의 학생과 성인이 나이나 성별에 관계없이 적극적으로 묘사되었다. 남성의 직업 유형은 여성에 비하여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교과서에 등장하는 과학자는 대부분 남성이었다.

글로벌 패션광고의 표준화 분석 (Analysis of the Standardization of Global Fashion Advertizing)

  • 조은영;홍병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882-891
    • /
    • 1998
  • This study purported to analyze the condition of the degree standardization and types of global ads. in the multinational fashion brand corporations. The analyzed ads. were sampled from monthly magazines on same seasons in 1997. This study was done by means of checklists were modified other researcher's research measurments. Researcher counted of advertising message. Zero point meant perfect stan-dardization and 13 points meant perfect non-standardization. The types of advertising appeal were analyzed according to constituent unit's expression types.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ed that the degree of standardization was considerably high, which means that the multinational fashion brand corporations used the standardization strategy. In particular, the degree of standardization in sports wear and casual wear ads. was low compared with the degree of standardization in the other ads. Most of the global fashion ads. were composed of illustrations only. Besides, emotional appeal type was usually used in glabal fashion a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