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nable LD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6초

Tunable Photonic Microwave Delay Line Filter Based on Fabry-Perot Laser Diode

  • Heo, Sang-Hu;Kim, Junsu;Lee, Chung Ghiu;Park, Chang-Soo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2권1호
    • /
    • pp.27-33
    • /
    • 2018
  • We report the physical implementation of a tunable photonic microwave delay line filter based on injection locking of a single Fabry-Perot laser diode (FP-LD) to a reflective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 (RSOA). The laser generates equally spaced multiple wavelengths and a single tapped-delay line can be obtained with a dispersive single mode fiber. The filter frequency response depends on the wavelength spacing and can be tuned by the temperature of the FP-LD varying lasing wavelength. For amplitude control of the wavelengths, we use gain saturation of the RSOA and the offset between the peak wavelengths of the FP-LD and the RSOA to decrease the amplitude difference in the wavelengths. From the temperature change of total $15^{\circ}C$, the filter, consisting of four flat wavelengths and two wavelengths with slightly lower amplitudes on both sides, has shown tunability of about 390 MHz.

FSK/Heterodyne 변복조 방식에 의한 코히런트 광송수신 실험 (Coherent optical transmission experiment using FSK modulation and heterodyne detection scheme)

  • 박희갑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1991년도 제6회 파동 및 레이저 학술발표회 Prodeedings of 6th Conference on Waves and Lasers
    • /
    • pp.121-125
    • /
    • 1991
  • A basic coherent optical transmission was demonstrated using FSK modulation and heterodyne detection scheme. Optical frequency of DFB LD light source at the transmitter side was stabilized with Fabry Perot etalon and bias feedback circuit. A tunable external cavity LD was used as a local oscillator at the receiver. Heterodyned output signal at IF frequency of 2GHz was measured and discussed.

  • PDF

External Optical Modulator Using a Low-cost Fabry-Perot LD for Multicasting in a WDM-PON

  • Lee, Hyuek-Jae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5권3호
    • /
    • pp.227-231
    • /
    • 2011
  • An external optical modulation using absorption s in a Fabry-Perot laser diode (FP-LD), has been proposed and experimentally demonstrated for multicasting in a WDM-PON. The center wavelengths of absorption s in an FP-LD move to short-wavelength rapidly by only a small current (~1 mA) injection. If the current injection is stopped, the s move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Such a movement of the s can make the FP-LD act as an external optical modulator, which is found to modulate at a maximum modulation speed of 800 Mbps or more. For a multicasting transmitter in a WDM-PON, the proposed modulator can be cost-effectively applied to a multi-wavelength laser source with the same periodicity of the longitudinal mode. Instead of the multi-wavelength laser source, tunable-LDs are used for experiments. The 32 channel multicasting system with the proposed modulator has been demonstrated, showing power penalties of 1.53~4.15 dB at a bit error rate of $10^{-9}$ with extinction ratios better than 14.5 dB at 622 Mbps.

Experimental demonstration of uncompressed 4K video transmission over directly modulated distributed feedback laser-based terahertz wireless link

  • Eon-Sang Kim;Sang-Rok Moon;Minkyu Sung;Joon Ki Lee;Seung-Hyun Cho
    • ETRI Journal
    • /
    • 제45권2호
    • /
    • pp.193-202
    • /
    • 2023
  • We demonstrate the transmission of uncompressed 4K videos over the photonics-based terahertz (THz) wireless link using a directly modulated distributed feedback laser diode (DFB-LD). For optical heterodyne mixing and data modulation, a DFB-LD was employed and directly modulated with a 5.94-Gb/s non-return-to-zero signal, which is related to a 6G-serial digital interface standard to support ultra-high-definition video resolution. We derived the optimal frequency of the THz carrier by varying the wavelength difference between DFB-LD output and Tunable LD output in the THz signal transmitter to obtain the best transmission performances of the uncompressed 4K video signals. Furthermore, we exploited the negative laser-to-filter detuning for the adiabatic chirp management of the DFB-LD by the intentional discrepancy between the center wavelength of the optical band-pass filter and the output wavelength of the DFB-LD. With the help of the abovementioned methods, we successfully transmitted uncompressed 4K video signals over the 2.3-m wireless transmission distance without black frames induced by time synchronization error.

각도 다중 기록 홀로그래픽 데이터 스토리지 시스템 (Angle Multiplexing Holographic data storage system)

  • 최종철;정택성;정영민;박현수
    • 정보저장시스템학회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23-27
    • /
    • 2007
  • Blu-ray disc 이후의 차세대 고밀도 광 기록 기술로 주목받는 홀로그래픽 데이터 스토리지 시스템을 설계, 제작하고 기록 재생 test 를 수행하였다. 시스템은 각도 다중화법을 채택하였고, 파장 405nm, NA 0.55 신호광 Fourier 변환 렌즈로 미디어에 defocus 하여 기록하였다. 1 page 용량은 raw bit 로 0.74Mbit 이고, SLM 과 CCD 의 over-sampling 비율은 1:1.5 가 되도록 구성하였다. 얻어진 raw 이미지는 위치 및 distortion 보상등의 신호처리 후, 70page 다중화 조건에서 bER $1{\times}10-2$ 수준으로 재생해 낼 수 있었다. 온도 변화에 의한 신호 열화를 보상하기 위해 External Cavity Tunable Blue LD 를 개발하여 온도 변화 $10^{\circ}C$까지 보상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DWDM 광통신용 50GHz 내장형 파장안정화 모듈 제작 (Fabrication of 50GHz internal wavelength locker module for DWDM applications)

  • 최광성;박흥우;박준희;최병석;이종현;윤호경;엄용성;문종태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디스플레이 광소자분야
    • /
    • pp.198-202
    • /
    • 2003
  • Tunable laser diode module with 50GHz-spacing internal wavelength locker was developed. Angle tilting dependency on FSR and peak wavelength shift and the proper initial tilting angle was calculated. By tilting the etalon, the response of the internal wavelength locker module was tuned. As a result, the fabricated internal wavelength locker module showed good performance over 62 channels.

  • PDF

저 전류 및 고 효율로 동작하는 양자 우물 매립형 butt-coupled sampled grating distributed bragg reflector laser diode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butt-coupled(BT) sampled grating(SG) distributed bragg reflector(DBR) laser diode(LD) using planar buried heterosture(PBH))

  • 오수환;이철욱;김기수;고현성;박상기;박문호;이지면
    • 한국광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469-47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저 전류 및 고 효율로 동작하는 planar buried heterostructure(PBH) 구조로 sampled grating(SG) distributed bragg reflector(DBR) laser diode(LD)를 처음으로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특히 활성층과 도파로층의 높은 결합 효율을 얻기 위해 건식 식각과 습식 식각을 같이 사용하여 결함이 거의 없는 butt-coupling(BT) 계면을 형성하였다. 제작된 파장 가변레이저의 평균 발진 임계전류는 약 12 mA로 ridged waveguide(RWG)와 buried ridge stripe(BRS) 구조로 제작된 결과 보다 두 배 정도 낮게 나타났으며, 광 출력은 200 mA에서 약 20 mW 정도로 RWG 와 BRS 보다 각각 9 mW, 13 mW 더 우수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파장 가변 영역을 측정한 결과 44 nm로 설계결과와 일치하였으며, 최대 파장 가변 영역 안에서 출력 변화 폭이 5 dB 이내로서 RWG 구조의 9 dB보다 출력변화 폭이 4 dB 적게 나타났다. 전체 파장 가변 영역에서 SMSR이 35 dB 이상으로 나타났다.

1.55 μm 연속 가변 외부 공진기형 레이저 (1.55 μm continuous tuning external cavity laser)

  • 김강호;권오기;심은덕;이동훈;김종회;김현수;오광룡;김동유
    • 한국광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21-326
    • /
    • 2003
  • WDM광통신의 핵심 소자 중 하나인 파장 가변 레이저를 넓은 파장 영역에서 회절 격자에 대한 입사각의 변화에 따라 연속 가변되는 Littman형과 Littrow 형의 외부 공진기로 구현하였다 회절 격자에 대한 입사각과 회절각이 동일하며 구조가 간단한 Littrow형의 파장 가변 레이저에서, 입사각 49$^{\circ}$를 중심으로 격자를 $\pm$1$^{\circ}$정도 회전시켜 C-밴드 및 L-밴드 영역을 대부분 포함하는 약 80 nm 정도의 가변 범위(1510 nm-1590 nm)를 얻었으며, 특히, 60 nm 범위에서는 주입 전류의 조절 없이 1.5㏈ 미만의 출력 변화를 보임으로써, 광대역 파장 가변 광원으로 적합한 구조임을 확인하였다.

결합 링 반사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대역 파장 가변 및 변조 특성 해석 (Wide Tuning and Modulation Characteristics Analysis of Coupled-Ring Reflector Laser Diode)

  • 윤필환;김수현;정영철
    • 한국광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44-547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DBR 격자 기반의 파장선택성 반사기를 대체시킬 수 있는 결합 링 반사기가 집적된 레이저 다이오드를 연산자 분리 시 영역 모델을 통해서 분석한다. 결합 링 반사기는 브래그 격자(Bragg grating) 필요로 하지 않는 평판 도파로 형태의 반사기이다. 결합 링 반사기는 하나의 직선 도파로와 두 개의 결합된 형태의 링 공진기가 하나의 직선 도파로에 결합되어 있다. 위상 조절 전류의 조절에 따른 파장 가변 범위는 수십 nm 정도가 되고, 파장 가변 과정에서 부모드 억압비도 35 dB 이상이 됨을 수치 해석을 통해 확인했다. 또한 결합 링 반사기 레이저 다이오드는 종래의 레이저 다이오드에 비해서 유효 공진기 길이(Effective Cavity Length)가 매우 길기 때문에 진폭 변조 시 20-30 GHz 주파수 영역에서 추가적인 공진 특성을 보이고, 이 특성으로 인해 진폭 변조 대역폭이 상당히 향상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DWDM용 다채널 파장 가변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을 위한 다수개의 광 수신 소자를 갖는 50 GHz 내장형 파장 안정화 모듈의 파장 미세 조정 (Fine tuning of wavelength for the intenrnal wavelength locker module at 50 GHz composed of the photo-diode array black with the multi-channel tunable laser diodes in DWDM application)

  • 박흥우;윤호경;최병석;이종현;최광성;엄용성;문종태
    • 한국광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384-389
    • /
    • 2002
  • 본 논문은 DWDM 응용을 위한 새로운 개념의 파장안정화 모듈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내장형/외장형 파장안정화기에서는 LD의 파워를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 PD 이외에 파장을 모니터링하는 하나의 에탈론 PD가 사용된다. 50 GHz응용에서 에탈론의 각도를 미세 조정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에탈론의 미세 각도 튜닝으로 인한 파장안정화기 성능에 미치는 영향은 대단히 크며 미세 각도로 정렬하는 공정은 매우 어렵다. 에탈론 PD 배열 블록을 사용함으로써 파장안정화 모듈의 기계적인 에탈론 정렬 오차를 낮출 수 있으며 미세 파장 조정이 가능하다. 파장안정화 모듈의 에탈론 각도 조정에 따른 FSR과 최대 투과 파장의 위치 변화 정도를 계산하였으며 본 실험에 사용된 파장안정화 모듈의 최적화된 초기 에탈론 회전 각도를 보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