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uth

검색결과 1,000건 처리시간 0.031초

피노키오 역설에 대하여 (On the Pinocchio Paradox)

  • 송하석
    • 논리연구
    • /
    • 제17권2호
    • /
    • pp.233-253
    • /
    • 2014
  • 엘드리지-스미스가 제시한 피노키오 역설은 거짓말쟁이 역설과 같은 의미론적 역설의 변형이지만, 의미론적인 술어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언어의 위계를 이용하여 의미론적 역설을 해결하려는 타르스키의 해결책이나, 진리 술어를 부분적으로 정의되는 것으로 보고 거짓말쟁이 문장에 대해서 진리 틈새를 인정하는 크립케의 초완전성 견해는 피노키오 역설에 대한 적절한 해결 방안이 아니다. 피노키오 역설을 통해서 양진주의에 대해서 비판하는 엘드리지-스미스의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음과 함께 이 역설의 중요한 함축은 진리 술어에 관한 규칙이 비일관적이라는 것을 논증한다. 이 역설에 대한 적절한 진단은 이 역설을 낳는 피노키오 원리가 잠재적으로 비일관적임을 인정하는 것이고, 이 점은 거짓말쟁이 역설과 같은 의미론적 역설이 발생하는 이유는 진리 술어에 대한 규칙이 비일관적이기 때문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피노키오 역설을 통해서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의미론적 역설에 대한 진리 일관성주의적 해결책은 성공할 수 없고 진리 비일관성주의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다.

  • PDF

실체적 속성으로서의 진리의 개념과 역할 (The Concept and Role of Truth as Inflationary Property)

  • 김동현
    • 논리연구
    • /
    • 제15권1호
    • /
    • pp.53-85
    • /
    • 2012
  • 본 논문은 진리의 본성과 역할 등을 바라보는 시각에서 다양하게 엇갈리고 있는 축소주의적 견해를 아우르는 핵심을 어떻게 특징지을 것인가의 이슈를 논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축소주의와 팽창주의가 각각 옹호 및 반대하는 핵심 논지가 무엇인지에 대한 몇 가지 해설들을 아머-갑과 빌의 문헌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그것이 어떤 면에서 불만족스러운가를 살펴볼 것이다. 이로부터 축소주의의 핵심은 개념적 기초성과 설명소진성에 있으며, 대안적으로 이해된 형태의 개별성 논제는 축소주의의 핵심이 될 수 없다는 점, 그리고 축소주의의 또 다른 중요한 주장인 표현 논제는 개념적 기초성과 설명소진성으로부터 도출됨을 주장할 것이다. 하지만 표현 논제에서 거부되는 진리의 비-언어적인 설명적 역할이 무엇인가는 여전히 불분명하므로, 그것의 명료화를 위해 시도될 수 있는 몇 가지 가능한 명료화들을 살펴보고 그것들이 왜 거부되어야 하는가를 논의할 것이다. 그리고 진리 조건이 수행하는 설명적 역할에 대한 덤밋의 의견을 요약하고, 만약 덤밋이 옳다면 진리의 설명적 역할은 어떤 점에서 팽창적일 수밖에 없는가를 정리할 것이다. 그리고 이로부터 얻어지는 두 진영에 대한 이해는 두 진영 모두를 아우르는 연결된 고찰을 통해서 더욱 넓어진다는 추가적인 함의를 결론을 대신하여 덧붙일 것이다.

  • PDF

양상 논리에 대한 구성주의적 해석 (Constructivist interpretation on the modal logic)

  • 은은숙
    • 철학연구
    • /
    • 제116권
    • /
    • pp.257-280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우선 일차적으로 양상논리학체계를 국어의 통사론적 구조 하에서 재구성하는 것이고, 둘째로 이를 구성주의 인식론의 관점에서 해석하는 것이다. 말하자면, 본 연구는 논리학에 대한 인식론적 해석, 즉 일종의 메타-논리학적 연구이다. 본 연구는 논리(규칙) 및 논리학적 체계는 선험적으로 우리 정신에 주어진 원리가 아니라, 인식 주관이 외적 대상들을 조작하는 행동들 중에서 반복적으로 작용하는 메커니즘들을 형식적으로 구조화하는 데서 성립한다는 것을 정당화하고자 한다. 말하자면, 논리규칙의 후험적 구성주의 논제를 정당화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체의 논리적 구조들을 심리학적 구조들에로 환원을 시도하는 일종의 환원주의이다. 필자가 강조하는 논리적 구성의 두 계기는 체계의 닫힘과 새로운 모순의 발견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명제계산체계 내에 있는 모순을 지적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양상논리가 출현하게 되었다는 것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체계 역시 새로운 모순을 만난다는 것을 증명하고자 한다. 결국 논리의 구성주의의 논제는 상위의 체계는 하위의 체계에 없던 새로운 제한적 속성이 등장한다는 것을 해명하는 것이 될 것이다.

예상치 못한 질문이 진술의 세부정보와 확인 가능한 사실의 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sking unexpected questions on general details and verifiable details)

  • 문혜민;조은경
    • 한국심리학회지:법
    • /
    • 제11권3호
    • /
    • pp.349-370
    • /
    • 2020
  • 예상치 못한 질문을 통해 효과적인 거짓말 탐지가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 거짓말 판별에 사용되고 있는 확인 가능한 사실(verifiable details)에 있어 예상치 못한 질문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상치 못한 질문이 진실 진술자와 거짓 진술자가 언급하는 세부정보의 양과 확인 가능한 사실의 수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진실 조건의 참가자(40명)는 교내의 카페에 다녀왔고, 거짓 조건의 참가자(40명)는 정해진 장소에서 준비된 과제를 수행한 뒤 카페에 다녀왔다고 거짓말을 하였다. 모든 참가자는 면담에서 2개의 예상한 질문('자세히 말하기', '장소 묘사')과 2개의 예상치 못한 질문('거꾸로 말하기', '증명 요구')에 답하였다. 종속변인은 세부정보의 양과 확인 가능한 사실의 개수였다. 그 결과, 질문 유형과는 관계없이 진실 진술자가 거짓 진술자보다 유의미하게 더 많은 세부정보를 말하였다. 확인 가능한 사실의 개수에 있어서는 진실 진술자와 거짓 진술자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리고 세부정보의 양(71.3%)이 확인 가능한 사실의 수(53.8%)보다 더 정확하게 진실 진술자와 거짓 진술자를 판별하였다. 또한, 거짓 진술자들은 '자세히 말하기' 질문에 비해 '증명 요구' 질문을 받았을 때 더 많은 단어를 말하였으나 세부정보는 더 많이 언급하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 PDF

Construction of a Video Dataset for Face Tracking Benchmarking Using a Ground Truth Generation Tool

  • Do, Luu Ngoc;Yang, Hyung Jeong;Kim, Soo Hyung;Lee, Guee Sang;Na, In Seop;Kim, Sun 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0권1호
    • /
    • pp.1-11
    • /
    • 2014
  • In the current generation of smart mobile devices, object track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earch topics for computer vision. Because human face tracking can be widely used for many applications, collecting a dataset of face videos is necessary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a tracker and for comparing different approaches. Unfortunately, the well-known benchmark datasets of face videos are not sufficiently diverse.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compare the accuracy between different tracking algorithms in various conditions, namely illumination, background complexity, and subject move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dataset that includes 91 face video clips that were recorded in different conditions. We also provide a semi-automatic ground-truth generation tool that can easily be us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face tracking systems. This tool helps to maintain the consistency of the definitions for the ground-truth in each frame. The resulting video data set is used to evaluate well-known approaches and test their efficiency.

발전전략으로서의 과거청산 - 엘살바도르 이행기 정의의 특수성 사례 분석 - (The Study of Transitional Justice in El Salvador)

  • 노용석
    • 이베로아메리카
    • /
    • 제13권1호
    • /
    • pp.41-67
    • /
    • 2011
  • El Salvador had suffered some 75,000 casualties, mostly civilian, from violent civil conflict(1980-92). In 1992, after negotiations, the government and FMLN signed a historic comprehensive peace accord which brought an end to the war and instituted wide-reaching political and social reforms. Many scholars call it as Transitional Justice in El Salvador. Transitional Justice in El salvador has had two identifiable stages. In the First stage, institutional reforms, such as DDR(disarmament, demobilization, reintegration), and a truth commission were implemented. The second phase corresponds to the period subsequent to the truth commission report, with the failure to implement the commission's recommendations, including those related to reparations and justice. This essay explain how was transitional justice in El salvador different from the other cases, and what was the purpose of extraordinary transitional justice in El Salvador. In detail, the first section of this essay examines the history of the civil war and peace process in El Salvador, and then explores the relationships between cold war and transitional justice in El Salvador. Finally, this essay suggests that truth commission's mandate which investigate 'serious acts of violence that have occurred since 1980' was very important role to accomplish peace and transitional justice in El Salvador.

진실과 거짓 사이에서 이야기하기: 영화적 재현의 한계에 대한 인식론적 고찰 (The Story between Truth and Fiction: Epistemological Approach to Possibility & Limitation of the Re-presentation cinematographic)

  • 이성욱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2호
    • /
    • pp.221-244
    • /
    • 2013
  • 본 논문은 "재현"의 문제를 인식론적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실제 사건'에 대한 영화적 재현이 관념적으로 어떻게 받아들여질 수 있는지 인식론적 고찰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영화이미지가 대상을 반영함에 있어 비가시적인 요소들까지 형상화한다는 특성을 감안할 때, 실제 사건에 대한 재현 문제는 늘 논란을 야기할 수밖에 없다. 주체적인 건 비주체적인 건 개인의 경험과 감각적 인식이 유사할 수 있으나 일치할 수 없으므로 '영화가 재현하는 진실'은 '진실' 그 자체로 성립하기 어려운 난점을 내포하고 있다. 대상은 현존하는 그 자체 그대로 반영되는 것이 아니라 카메라의 시선을 통해 축소되거나 확장될 수 있기 때문에 실제현실과 작가의 현실인식, 수용자인식 간의 차이가 발생한다. 그것은 수용자가 얼마나 작품의 진실성을 분리해서 볼 수 있는가 와는 별도로 수용자의 실제적인 관심이나 욕망 혹은 물리적 프레임에 밀착해 산출되는 매우 불안정한 간극이다. 이러한 간극은 실제 사건에 대한 재현의 한계를 부각시킨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한계를 선명히 하는 데 그 목표가 있다.

예술 작품의 진리문제에 대한 존재론적 이해 - H. G. Gadamer의 철학적 해석학을 중심으로 - (The ontological understanding in the matter of truth in a work of art -on the subject of philosophical hermeneutics of H. G. Gadamer)

  • 김진엽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8권
    • /
    • pp.95-127
    • /
    • 2005
  • It's a matter of ontology rather than that of cognition and methodology to discuss a work of art in Gadamer's philosophy. In addition, he emphasizes the cognitive aspect of a work of art instead of comparing forms and contents of them. For that reason, he excludes aesthetic consciousness derived from Kant first and then makes away with Schiller's theory of aesthetic education. For Gadamer, the concept of truth does not mean accord or correspondence. It would rather be an encounter. This encounter is not axed on a specific time, but a continuous and historical one. Basically. a work of art guarantees this kind of an encounter. This encounter is not based on mutual agreement through an objective standard but on recognition with mutual understanding. Therefore, prejudice or tradition should be acknowledged and respected instead of being excluded. We have only to minimize difference between them through conversation. Gadamer's ontology of a work of art is based on such a ground. The function of a work of art is not only simple satisfaction of aesthetic senses but an object of interpretation, that is, a text by presenting a ground of truth through an agreement of situation. This text reveals its meaning in the situation of author-text-reader. The appearance of this meaning is nothing but the birth of truth. Symbol-allegory and classicism show how to express this kind of truth in a work of art. It is true that Gadamer's philosophical hermeneutics cannot be easily applied to interpret a concrete work of art because it just lays emphasis o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instead of a detailed analysis on an individual work. For that reason, he was criticized by some people because of this subjectivity of understanding. However, it's meaning c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viewpoint on a work of art. There appears various structural approaches on a work of art in contemporary theory of art. Gadamer just asks the basis of such approaches instead of criticizing a specific one Therefore, a practical approach on individual work should be made separately and hermeneutics enriches the meaning of open-ending of each work of art.

  • PDF

진리담지자와 사실 사이의 동일성에 대하여 (On Identity Between Truth Bearer and Fact)

  • 김동현
    • 논리연구
    • /
    • 제21권2호
    • /
    • pp.207-231
    • /
    • 2018
  • 진리 동일론자들은 진리담지자와 사실 사이의 동일성을 주장한다. 우선, 본고는 그들의 주장을 어떻게 이해해야 적절할지를 검토한다. 필자는 진리 동일론자들이 주장하는 동일성 관계를 사소한 관계와 사소하지 않은 관계로 분류한 다음, 사소한 동일성 관계로 이해한 동일론 논제가 왜 진리 동일론자들의 주장이 될 수 없는지를 논변할 것이다. 이어서, 사소하지 않은 동일성에 따른 견해를 줄리언 도드의 분류를 따라 다시 강경한 동일론과 온건한 동일론으로 구분한 후, 전자의 동일론이 그 자체로 비일관적인 견해가 됨을 보일 것이다. 그리고 동일론자들에게 남겨진 대안인 온건한 동일론을 진리 축소주의와 비교해야 하는 이유를 해명하고, 그 비교로부터 온건한 동일론자들 앞에 놓인 두 가지 선택지를 귀결로서 이끌어 낼 것이다. 동일론자들이 그 중 한 쪽을 택하면 축소주의보다 온건한 동일론을 더 선호해야 할 정당성은 얻어지지 않는 반면에, 다른 한 쪽의 선택지를 택하는 경우에는 그들에게 어떤 새로운 문제가 해결 과제로 남겨지는지를 서술할 것이다. 끝으로 결론에서는 이 남겨진 과제가 지닌 한계와 전망을 평가할 것이다.

상호주관적 정당화와 객관적 정당화 (Intersubjective Justification and Objective Justification)

  • 이병덕
    • 논리연구
    • /
    • 제22권1호
    • /
    • pp.125-150
    • /
    • 2019
  • 정합성 이론이 정당화 이론으로서 적절하기 위해서는 그 이론에 의해 이해된 정당화가 진리개연적이어야 한다. 그러나 정합적 정당화가 어떻게 진리개연적인지 분명치 않다. 이것이 정합성 이론이 직면하는 이른바 진리개연성 문제이다. 필자는 2017년 논문에서 셀라시언 정합성 이론과 진리의 축소주의를 결합함으로써 진리개연성 문제를 성공적으로 처리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에 대해 석기용 교수는 그의 최근 논문에서 상호주관적 정당화와 객관적 정당화를 나눌 실질적인 방법이 없기 때문에 필자의 제안이 진리개연성 문제를 해결하는 데 실패함을 주장한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석 교수의 비판이 왜 옳지 않은지를 밝힘으로써 필자의 견해를 좀 더 명료하게 설명한다. 특히 그의 비판이 어떤 믿음이 객관적으로 정당화되기 위해서 단지 상호주관적 정당화의 단계에 머물러서는 안 되고, 객관적 정당화의 단계로의 질적 전환이 필요하다는 잘못된 가정에 기반을 둔 것임을 밝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