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rigonometric functions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8초

고등학교 일반각의 삼각 함수값 구하기에 대한 교수법적 분석과 논의 (Pedagogical Analysis and Discussion about Finding Trigonometric Function Values of General Angles in High School Mathematics)

  • 조정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289-310
    • /
    • 2008
  • 본 연구는 고등학교 <10-나>의 삼각함수의 성질을 단위원이 아니라 삼각함수 sin(x), cos(x), tan(x)의 그래프 성질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여 삼각함수의 값을 구하는 학습활동과 삼각함수의 그래프에 대한 학습활동과의 연계성을 높이고, 이를 통하여 삼각함수의 성질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삼각함수 그래프 이용에 의한 삼각 함수값 구하기의 효율성 증대, 일반각에 대한 삼각 함수값 구하기의 정확한 용어 사용, 삼각 함수값 구하기와 삼각함수의 그래프 지도내용 사이의 연계성, 삼각함수의 그래프의 선행 지도 등이며 이에 대한 논의가 제시되어 있다.

  • PDF

GSP를 활용한 삼각함수에서 학습부진아의 수학화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Slow Learners' Mathematization of Trigonometric Functions, Using GSP)

  • 문혜령;고상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9권3호
    • /
    • pp.353-373
    • /
    • 2010
  • This research was to help slow learners to be motivated and to make their outcome productive, using GSP based on the mathematization theory for learning mathematics, as a way of encouraging the learner-centered approach. With 2 of the second graders in a high school, who had not yet understood trigonometric functions in their first grade period, 7 units of lesson plans were designed for the research.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understanding real life contexts and analyzing properties by observation, and experiment using GSP, to build the concept of trigonometric functions could be a foothold on which learner's organization and outcome from a horizontal mathematization led to vertical mathematization. Despite the delay during the level-up-stage for a while, the learners could attain the vertical mathematization stage and moreover the applicative mathematization through effective use of GSP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learners or a teacher and the learners. Second, using GSP was a vertical tool of connecting horizontal mathematization with vertical mathematization in forming the concept of trigonometric functions and its meaning could be understood by their verbalizing and presenting the outcomes through their active performance. Using GSP is helpful for slow learners to overcome learning difficulties, based on the instructional materials designed by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교수공학 친화적, 실용적, 교수학적 변환의 실제적 연구(10-나 삼각함수 단원을 중심으로) (A Practical Study on Didactical Transposition in the Highschool Trigonometric Function for Closer Use of Manipulative, and for More Real, Principle Based)

  • 이영하;신정은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1권1호
    • /
    • pp.111-129
    • /
    • 2009
  • 본 연구는 교육적 의도를 가지고 학문적인 지식을, 가르칠 지식으로 변형하는 일, 즉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didactical transposition)에 관한 것으로서,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라 개편된 13종의 10-나 수학 교과서에서 삼각함수 단원의 내용 배열순서 및 설명방식을 분석하고 그 결과, 교수법적 어려움과 서술의 논리성 및 학생의 이해를 함께 고려할 때, 나타나는 교수학적 변환의 어려움은 무엇이며 이를 위한 대안적 교수학적 변환의 방법이나 실제적인 어려움 해소 방안은 무엇인가를 생각해 보았다. 이를 위해 13종의 수학교과서 10-나 단계 삼각함수 단원의 설명방식의 차이를 위주로 비교 분석하고, 그 결과를 최근의 교수법 이론과 암묵적으로 비교하여 새 교수법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는데 개연적이나마 도움이 되리라고 예상되는 대안적 내용서술 지도방안(부채꼴, 삼각함수의 그래프, 성질, 주기, 사인법칙에 대한 내용을 위주로)을 제안하였다.

  • PDF

삼각함수의 Mathematization에 관한 연구

  • 김부윤;정영우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6권4호
    • /
    • pp.487-507
    • /
    • 2010
  • We study mathematization of natural thinking and some materials developed in geometric construction of regular n-polygons. This mathematization provides a nice model for illustrating interesting approaches to trigonometric functions and trigonometric ratios as well as their inter-connections. Thereby, results of this paper will provide the procedure of the development for these concepts in natural way, which will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background knowledges.

NORMAL FUZZY PROBABILITY FOR TRIGONOMETRIC FUZZY NUMBER

  • Yun, Yong-Sik;Song, Jae-Choong;Ryu, Sang-Uk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19권1_2호
    • /
    • pp.513-520
    • /
    • 2005
  • We calculate the normal fuzzy probability for trigonometric fuzzy numbers defined by trigonometric functions. And we study the normal probability for some operations of two trigonometric fuzzy numbers. Furthermore, we calculate the normal fuzzy probability for some fuzzy numbers generated by operations.

삼각함수의 극한을 활용한 Fix-to-Fix 항법 보완 (Fix-to-Fix Navigation Complement Using Limits of Trigonometric Functions)

  • 김범수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274-280
    • /
    • 2023
  • Fix-to-Fix 항법은 항공기 조종사가 항행 중 현재 지점에서 원하는 특정 지점으로 이동할 때 예상 Heading을 구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 항법은 경험에 의한 주먹구구식 방법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대략적인 방향만 알 수 있을 뿐 정확한 값을 알 수는 없다. 게다가 원하는 지점에 가까워져 Radial차가 작아져 HSI상의 Bearing Pointer와 Course Indicator가 인접하게 되면, 이 방법조차 사용하기 까다로워 예상 Heading은 더욱 구하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삼각함수의 극한을 Fix-to-Fix 항법에 도입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Fix-to-Fix 항법을 할 때 이러한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삼각함수의 극한을 활용한 두 가지 방법을 제시하고 그 오차를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