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ekking experienc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1초

하천 트레킹 체험의 환경교육적 의미 (Meaning of Stream Trekking Experience from the Viewpoi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 최수경;이재영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4권4호
    • /
    • pp.94-110
    • /
    • 2011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participant's recognition about and meaning of stream trekking activities by analyzing their reports after visiting Gumgang, which was a kind of field experience combined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this work suggested a few points that might help improve trekking programs, trail establishment and the overall field activities along the river. Eighty reports were collected from the participants who had joined in the Gumgang trekking programs organized by both Green Korea United in Daejeon and Gumgang Basin Environmental Office of Korean EPA. A database of texts in the reports was created for the preliminary analysis and then the results were further examined in a qualitative methodology. The results of qualitative analysis demonstrated that before experiencing the trekking activities in the Gumgang, many participants seemed uninterested in a river itself, objectified it, or simply recognized functional roles. It is found that most participants preferred crossing rapids to other activities. Crossing rapids has the eleven positive aspects as follows. First of all, crossing rapids is fun and scary experience at the same time. Secondly, it is painful, but makes people feel happy ironically. Third, rapids themselves make people reminisce about their childhood and feel freedom. Fourth, they make people feel comfortable. Fifth, crossing rapids is addictive. Sixth, rapids have life. Seventh, people can learn how to adapt to nature through the experience in them. Eighth, they can make people cooperate. Ninth, they can make people recollect their old friends. Tenth, people can extend their experience near rapids to rivers. Eleventh, they can make people reflect themselves. There ere three remarkable findings about experience in rapids. Crossing rapids was an activity that most participants preferred and could make the goal of trekking in the Gumgang effectively achievable. By crossing rapids participants can understand both lively and painful parts of the river. Participants think tour guide was an essential part to trekking along the Gumgang.

  • PDF

백두대간에서의 반복적 산행경험이 청소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peated Trekking Experience on Adolescent Sociality at Baekdu-daegan)

  • 김주미;김재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2호
    • /
    • pp.240-248
    • /
    • 2017
  • 본 연구는 반복적 산행경험이 청소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을 위한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백두대간 산행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 58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는 2014년부터 2015년까지 40회 이상 참여한 대상자를 반복적 참여자로 선정하고, 2016년 3월부터 4월까지 5회 미만 참여한 대상자를 일시적 참여자로 선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특성은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변량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사회성의 5개 하위요인 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고, 독립표본t검정을 실시하여 사회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반복적으로 산행에 참여한 청소년의 사회성이 높게 나타났다. 사회성 하위요인인 자율성, 준법성, 근면성, 협동성, 대인관계 모든 척도에 대해서 반복적 참여자가 일시적 참여자 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반복적 산행경험이 청소년의 사회성에 긍정적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청소년문제 해결에 있어 근본적인 해결접근방법으로 청소년 대상 산림교육이 필요하다.

지리산국립공원 탐방객의 산행 안전 대응 프로그램 및 제도에 대한 인식 특성 (Characterizing visitors' awareness of trekking safety programs and regulations in the Jirisan National Park)

  • 조우;성찬용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88-596
    • /
    • 2014
  •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에서 시행 중인 탐방객 산행 안전 대응 프로그램에 대한 탐방객 인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들 관리 수단의 적정성, 효용성, 문제점을 파악하여 공원관리 정책에 반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는 성삼재, 중산리, 백무동, 쌍계사탐방로 입구에서 평일과 주말로 구분하여 실시하고 총 394매의 유효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에 활용 하였다. 현재 운영 중인 안전사고 예방 프로그램 참가 경험 응답률은 23.4%로써 이 프로그램이 탐방객에게 폭넓게 인식되고 있지 못하고 있었으나 안전사고 프로그램 참가 경험이 있는 응답자들 중 51.1%는 안전사고 프로그램이 산행시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여 적극적인 홍보와 참여 유도는 안전사고 예방에 긍정적이라 할 수 있다. 지리산국립공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입산시간지정제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조사대상 탐방객의 72.4%는 알고 있다고 응답하여 입산시간지정제에 대한 인식도는 높았다. 응답자의 72.2%가 이 제도의 다른 국립공원 확대 시행에 공감하고 있었다. 입산시간지정제 인식여부에 따른 탐방객 안전사고 취약성 분석 결과 입산시간지정제를 인지하고 있는 응답자가 그렇지 않은 응답자에 비해 평균적으로 산행 경력이 길고 산행 기술 수준이 높았으며 사고 대비 준비를 더 많이 하고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산행경력, 산행기술능력, 산행의 준비 정도는 안전시설 설치 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산행경력이 많고 산행기술이 높으며 안전사고에 대한 준비가 많이 된 탐방객일수록 현재 설치된 안전시설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산화의 종류와 보행동작에 따른 지면반력 및 족저압력 분석 (Analyses of GRF & Insole Foot-Pressure Distribution: Gait Patterns and Types of Trekking Boots)

  • 박승범;이중숙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91-20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oot-pressure distribution of trekking boots for assessing their functionality.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cluded 10 university male students who had no injury experience in lower limbs and a normal gait pattern. The size of all subjects was 270mm. Five models of trekking boots, most popular in Korea (A, B, C, D & E company), were selected for the test. Using the PEDAR-X system and PEDAR-X insoles, 5 different walking stages were analyzed for the foot-pressure distribution: (a) straight gait; (b) $45^{\circ}$ turn gait; (c) $25^{\circ}$ uphill gait; and (d) $25^{\circ}$ downhill gait. Results of the foot-pressure distribution and functionality on each stage were as follow; 1. Straight gait - In case of Max ground reaction force, mean plantar pressure and Max plantar pressure, there was not a distinct tendency; however, products manufactured by E and A company showed relatively lower pressure distribution. 2. $45^{\circ}$ turn gait - In Max ground reaction force, mean plantar pressure and Max plantar pressure, there wasn't a distinct tendency; however, products manufactured by E and A company showed relatively lower pressure distribution. Results also revealed that the products manufactured by E and A company were superior to those by other companies in terms of functionality. 3. $25^{\circ}$ uphill gait - In Max ground reaction force, mean plantar pressure and Max plantar pressure, there wasn't a distinct tendency; however, products manufactured by E and C company showed relatively lower pressure distribution. Results also revealed that the products manufactured by E and C company were superior to those by other companies in terms of functionality. 4. $25^{\circ}$ downhill gait - In Max ground reaction force, Mean plantar pressure and Max plantar pressure, there wasn't a distinct tendency; however, products manufactured by E company showed relatively lower pressure distribution. Results also revealed that the products manufactured by E company were superior to those by other companies in terms of functionality. Overall, five pairs of trekking shoes selected in this study showed the excellent performance in several conditions. The findings above may provide us with the important criteria for choosing trekking boots.

강도에 따른 산림 걷기 운동 시 회복방법이 심박수, 혈중젖산농도, 혈중글루코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covery method after forest walking exercise by intensity on heart rate, blood lactic acid and blood glucose)

  • 김기홍;민준원;유정빈;김조은;손재헌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401-409
    • /
    • 2021
  • 이 연구는 천안시 태조산의 산림 경사 트레킹 시 80bpm 및 130+30bpm의 속도로 걷기 운동 후 정적회복 및 동적회복방법이 회복 중 심박수, 혈중젖산농도, 혈중글루코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산림환경의 경사 트레킹 후 효율적인 회복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걷기 운동을 하는데 이상이 없는 20-30대 남자 9명을 대상으로 80bpm 속도와 130+30bpm 속도로 트레킹 후 정적회복방법과 동적회복방법에 따라 얻은 결과를 이원 반복측정 분산분석(Two-way repeated ANOVA)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는 경우 contrast의 repeated 방법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80bpm 조건에서의 심박수는 방법(p=.008)과 시기(p=.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혈중젖산농도는 회복방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401), 시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 혈중글루코스는 회복방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p=.093), 정적회복방법의 시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2). 130bpm+30bpm 조건에서의 심박수는 방법(p=.002)과 시기(p=.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혈중젖산농도는 방법(p=.001)과 시기(p=.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혈중글루코스농도는 방법(p=.721)과 시기(p=090)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생태민감지역 트레일 방문동기별 지각된 제약요인과 충성도 차이 - DMZ평화누리길 방문객을 대상으로 - (Disparities in Perceived Constraints and Loyalty Based on Motivation to Visit Ecologically Sensitive Area(ESA) - Visitors to DMZ Pyeonghwa Nuri-gil -)

  • 유미나;김형곤;이정아;전진형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7-68
    • /
    • 2012
  • 본 연구는 국내의 대표적인 생태민감지역인 DMZ에 위치한 평화누리길 트레일을 이용하는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방문동기에 따라 인식하는 제약요인과 충성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이해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실증적 분석을 위해 '2010 DMZ 접경 트레킹 대회'에 참가한 트레일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총 317개의 유효한 설문지가 회수되었다. 방문동기에 따라 3가지 군집유형(우발적, 활동형, 생태체험형 방문객)으로 응답자들을 분류하였으며 군집유형간 트레일 이용에 관한 제약요인과 충성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군집유형간 제약요인의 차이는 생태체험형 방문객들이 다른 두 군집유형에 비해 "심리적 제약" 요인에서 더 높은 제약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우발적 방문객들이 트레일에 대한 충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생태체험형 방문객들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두 가지 연구결과를 통해 살펴보면 방문동기가 전반적으로 가장 강하고 생태체험 및 교육에 대한 욕구가 상대적으로 높은 생태체험형 방문객들은 트레일 자체에 대한 우려를 가장 많이 나타내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가장 높은 충성도를 지닌 집단이기도 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트레일 개발에 있어 이용객들의 세분화된 요구와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 주고 있다.

어메니티자원 분석을 통한 비안도 어촌 마을 특화계획 (An Establishment Specialization the Planning of Fishing Villages in Biando via Analysing Amenity Resources)

  • 이찬;이두형;강현경;안경진
    • 농촌계획
    • /
    • 제19권1호
    • /
    • pp.209-220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planning of Biando fishing village where can be well-known fishing villages in Korea. In order to have highlighted a tourist attractions, the identities of Biando fishing village were investigated natural resources, amenity resources, ecological resources and so on. Based on these resources, the planning of Biando fishing village considers to between community facilities and community spaces. To create the attractive fishing village, the study was underwent 5 process. The 5 process is followed as; 1) Choose the planning site 2) Literature review 3) Fields survey 4) Site Analysis 5) Spatial Planning. Through those results, Biando fishing village were classified 4 spaces. Each 4 spaces have got their own theme. The main focus of 4 spaces was associated with communicating between space and space, connecting between space and space. The first space theme was "Meeting the geese" and the main focus of planning was entry space creating. The second space theme was "Walking in the heaven" and the main focus of planning was ecological resource exploring space and relaxing space. The third space theme was "Secret of shingle beach" and the main focus of planning was leisure and experience space. Last space theme was "Falling into the sea" and the main focus of planning was trekking and leisure space.

올레길 7구간의 이용객 만족도 및 이미지 분석 (The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Image of Passenger at Section Seven, in Olle-gil)

  • 강방훈;조승진;손진관;신지훈
    • 농촌계획
    • /
    • 제18권3호
    • /
    • pp.13-24
    • /
    • 2012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ages that affect general travel behavior and satisfaction of eco-tourists of Section seven of Jeju Olle-gil and to give eco-tourists preferred images to newly constructed eco-tour sections. Adjectives were selected to evaluate images, and for analysis, a survey was carried out with 132 persons who have toured 7 section of Jeju Olle-gil. On this survey, basic travel type, overall satisfaction, image before and after experience, age, gender, satisfaction level and accompanying type were inquired. 81(61.4%) knew section 7 of Jeju Olle-gil 'in advance', and 58(39.1%), which takes up the largest portion in this question, came to choose section 7 by a word of mouth. 95(71.9%) answered that they stayed 2 nights and 3 days, and 55(41.7%) answered that they stayed at a pension as accommodation. As for accompanying type, 34(25.7%) answered they accompanied family and relatives. As for the decision of visit, 60(45.5%) replied that they decided one month prior to the visit. And as for the purpose of visit, 63 (33.8%) replied they visited to appreciate nature. The adjectives that demonstrate overall satisfaction and significance level of the tourists were 'placid', 'refreshing', 'living', 'mountainous' and 'green'. As for the satisfaction level, people were satisfied with its environment, cleanliness level and direction boards. The types of section preferred by the tourists were clay pavements, followed by sand-masa soil mixture pavement and wooden deck pavement. 'Oidolgae' section was selected as the representative section, and 10:00a.m.~12:00p.m. was preferred as visiting time. And it is also proved that people were positive in appointing photo zones.

익산 무왕길 탐방프로그램 이용자의 인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of Visitors to King Mu Trekking Course Program of Iksan)

  • 박율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80-93
    • /
    • 2018
  • '무왕길을 찾아 떠나는 여행' 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탐방 인식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 동기는 대부분 자녀교육이 단초가 된 것으로 나타났다. 탐방시설 이용에 따른 지원 및 개선사항으로 걷는 길에 대한 안전성 확보와 안내시설물 보강 및 재정비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탐방로 프로그램 운영관리에 대한 항목에서는 프로그램 내용이 충실하게 된 점을 높이 샀다. 그러나 최근 발굴된 정원 유적 등의 결과를 담지 못한 점에 대해 아쉽다는 의견이 많았다. 따라서 백제 정원유적으로 확실히 되는 왕궁리 산 80-1번지를 중심으로 내부 프로그램을 보강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백제문화권이 보유하고 있는 역사문화 및 환경의 가치를 보존하여 지역역사와 정원문화를 체험하는 교육을 진행해야 한다. 일상에 지친 사람들에게 여유를 찾게 하는 무왕길 탐방 프로그램은 짧은 도보여행을 통해 자아성찰과 자연과의 접촉 그리고 건강관리 측면에 있어 그 중요성을 재인식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한 태안해안국립공원 방문객의 경관인식 파악 - 꽃지해수욕장·신두리해안사구·만리포해수욕장을 대상으로 - (Identifying Landscape Perceptions of Visitors' to the Taean Coast National Park Using Social Media Data - Focused on Kkotji Beach, Sinduri Coastal Sand Dune, and Manlipo Beach -)

  • 이성희;손용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10-21
    • /
    • 2018
  • 실제 이용자의 경험을 파악하는 것은 경관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관점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이점에서 착안하여 블로그 글을 대상으로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하여 이용자들이 자발적으로 올린 글을 바탕으로 그 안에 담긴 경관인식을 파악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태안해안국립공원으로 하였다. '태안 여행'으로 검색하여 나타난 장소는 대부분 태안해안국립공원에 해당되는 곳이었고, 도출된 장소 중 상위 세 곳을 대상으로 에고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고, 각 장소 명칭과 연결된 경관인식에 관련한 키워드(장소, 이미지, 활동, 경관대상물)를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중심성 분석과 응집성 분석을 통해 각 장소에 대한 사람들의 경관인식과 주요이슈를 도출하고 의미를 해석하였다. 연구결과로 태안 여행에서 인지되는 주요 장소, 그리고 구체적인 장소에서의 개별적인 경관체험과 경관인식을 파악할 수 있었다. 꽃지해수욕장은 장소 관련 키워드가, 신두리해안사구는 경관이미지에 대한 키워드가, 그리고 만리포해수욕장은 경관요소와 관련된 키워드가 주로 나타나고 있어, 방문객이 인식하는 세 장소의 경관 특성이 상이함을 유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꽃지해수욕장은 일몰경관 감상의 명소이자 태안해안국립공원 트래킹 코스의 거점으로서 인식되고 있으며, 신두리해안사구는 비일상적 경관을 보유한 곳이자 생태적으로 가치가 높은 공간으로 보존의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만리포해수욕장은 천리포수목원과 인접하고 있어 높은 방문이 이루어지며, 해변 자체의 모습이 인상적인 곳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소셜미디어 데이터는 이용자 관점에서의 분석자료이므로, 전문가의 관점에서 미처 보지 못했던 다양한 내용을 분석할 수 있어서 매우 유용한 자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관인식 연구에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하여 경관대상, 경관이미지, 활동 등의 여러 내용을 종합하여 사람들이 어떻게 경관을 인식하고 향유하는지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다만 소셜미디어 데이터는 작성자의 기억과 인식이 증폭되거나 왜곡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추후 현장에서 설문조사 등을 실시하여 본 연구의 결과와 비교, 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