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ee ring analysis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2초

핵시설로부터 발생되는 방사성탄소 분석기술 및 감시 (Monitoring and Analytical Techniques for the Discharged Radiocarbon from Nuclear Facility)

  • 천상기;김낙배;김건한;조수영;박찬조;이종대;신장식
    • 분석과학
    • /
    • 제13권6호
    • /
    • pp.693-698
    • /
    • 2000
  • 본 일련의 실험은 가동중인 핵시설 주위의 자연환경내 방사성탄소 농도준위 변화의 간접적인 추적을 통하여 체계적이고 장기간에 걸친 환경감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나무 나이테 분석을 이용한 방사성탄소 농도 측정 결과는 핵시설 가동 후 농도 준위가 증가한 것을 나타내었으며, 그 변화는 발전량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섬유소 처리를 통한 안정 동위원소비, ${\delta}^{13}C$을 측정한 결과는 -30‰을 나타내었으며, 이 값은 수동법 및 능동법으로 채취한 대기 시료중의 $^{13}C$값 -17‰ 및 -8‰과는 매우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런 차이는 광합성에 의한 동위원소 분별효과라고 가정할 수 있으나, 이 문제는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울진 소광리 금강소나무림의 송이발생지와 능이발생지의 토양환경 비교 (Comparison to Soil Environment of Tricholoma matsutake and Sarcodon aspratus at Uljin Sokwang-ri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Forest)

  • 허태철;주성현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0권
    • /
    • pp.77-82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produce useful material for the forest multiple use and forest protection by physico-chemical soil analysis of studied area in Sokwang-ri Forest Genetic Resource Protection Forest which was divided into in standard plots include Tricholoma matsutake and Sarcodon aspratus production forest. The result of physico-chemical soil analysis represented as following. The soil type of T. matsutake production forest was Dry brown forest soil(B1), while on the other hand the soil type of S. aspratus production forest was Moderately moist brown forest soil(B3). Between T. matsutake and S. aspratus production forest did not result in significant changes in soil pH(5.22-5.60) and soil depth(47cm), but available phosphorus, carbon, and nitrogen contents were different results. CN ratio of the fairy ring of T. matsutake was quite lower than that in S. aspratus production forests, which indicated that T. matsutake production forest was built up in the relatively immature soils which contain little organic matter. Generally, it was predicted that Pinus densiflora for. erecta forest succeeded to deciduous tree forest in stable soil environments. To conserve these T. matsutake and S. aspratus production forest, the contents of available phosphorous and exchangeable cation should be increased by continuous soil environment management and it should be established the secondary growth forests of old aged Pinus densiflora for. erecta trees as soon as possible.

  • PDF

경산 임당 유적 출토 목제유물의 연대분석 및 수종분석에 따른 고기후환경 해석 (Dating Wooden Artifacts Excavated at Imdang-dong Site, Gyeongsan, Korea and Interpreting the Paleoenvironment according to the Wood Identification)

  • 이광희;서정욱;한규성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3호
    • /
    • pp.241-252
    • /
    • 2018
  • 경산 임당 유적은 발굴된 층위와 출토된 유물을 근거로 2-4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는 유적지에서 출토된 목주 6점에 대해 추정된 연대를 확인하기 위하여 연륜연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륜연대분석 결과, 6점의 목주는 서로 일치하지 않아 각각 다른 시기에 벌채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6점의 목주 중 2점에 대해 위글매치법(wiggle matching)으로 방사성탄소연대를 측정한 결과에서도 각각 A.D. 94-135년과 A.D. 224-289년으로 재확인되었으며, 이는 전술의 추정연대와 일치하였다. 또한 목제유물의 수종 결과, 비교적 서늘한 환경에서 생장하는 수종(헛개나무, 피나무, 느릅나무 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당시의 기후가 현재보다 서늘했다고 판단하였다.

보길도(甫吉島) 붉가시나무림(林)의 군락생태학적(群落生態學的) 연구(硏究) (Community Ecological Study on the Quercus acuta Forests in Bogildo-Island)

  • 김종영;이정석;오광인;장석기;박진홍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5호
    • /
    • pp.618-629
    • /
    • 2000
  • 난대림(暖帶林) 육림(育林)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提供)하고자 붉가시나무군락(群落)이 가장 발달되어 있는 보길도(甫吉島)에서 1998년 7월부터 1998년 10월에 걸쳐 붉가시나무가 우점(擾古)하는 임분(林分)을 대상으로 군락생태(群落生態)를 조사하였으며, 본 연구(硏究)에 의해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붉가시나무군락지(群落地)의 종구성(種構成)은 54과(科) 91속(屬) 113종(種) 9변종(變種) 1품종(品種) 등 모두 123종류(種類)가 출현(出現)하였고, 이중 상록성(常綠性) 식물종(植物種)은 모두 45종(種)이었으며, 모든 조사구(調査區)에서 공통(共通)으로 출현(出現)한 종(種)으로는 동백나무, 광나무, 사스레피나무, 청미래덩굴, 마삭줄 및 그늘사초의 6종(種)이었고, 생달나무, 자금우, 보춘화, 족제비고사리, 덜꿩나무 등 5종(種)의 출현빈도(出現頻度)가 80% 이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임관(林冠) 상층(上層)의 교목층(喬木層) 식피율(植被率)은 85% 이상으로 붉가시나무, 잣밤나무류(類), 참가시나무, 곰솔, 산벚나무의 순(順)으로, 아교목층(亞喬木層)에서는 동백나무, 광나무, 붉가시나무, 사스레피나무, 잣밤나무류(類)의 순(順)으로, 하층(下層)의 관목층(灌木層) 식피율(植被率)은 20% 내외로 동백나무, 광나무, 청미래덩굴, 생달나무, 덜꿩나무의 순(順)으로, 초본층(草本層)에서는 마삭줄, 자금우, 그늘사초, 동백나무(치수(稚樹)), 붉가시나무(치수(稚樹))의 순(順)으로 각각 중요치(重要値)가 높게 나타났다. 3. 붉가시나무군락(群落)은 평균(平均) 토양산도(土壤酸度)(pH) 5.00, 평균(平均)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 6.42%인 토양환경에서 군락이 발달하고 있었으며, 본(本) 도(島)의 남사면(南斜面), 서사면(西斜面), 북사면(北斜面) 및 동사면(東斜面)의 분포(分布) 순(順)으로 생장(生長)이 양호하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양수(陽樹)의 특성(特性)을 갖고있는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4. 임내(林內)의 평균(平均) 상대조도(相對照度)(RI)는 0.89%로서 미명(未明)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붉가시나무의 엽면적(葉面積)이 다른 상록활엽수(常綠闊葉樹)들에 비해 크고, 분지(分技)된 맹아(萌芽)의 발달로 임관(林冠) 상층(上層)의 피복율(被覆率) 높아짐에 따라 임내(林內) 수광량(受光量)이 현저히 낮아져 나타난 결과이며, 지표층(地表層) 식생(植生)의 분포(分布)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要因)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5. 군락(群落) 내(內) 붉가시나무의 흉고직경(胸高直徑) 분포(分布)를 분석한 결과 교목층(喬木層), 아교목층(亞喬木層)모두 역J자형(逆J字形)의 분포(分布)를 보이고 있어 군락의 유지가능성(維持可能性)이 불투명(不透明)한 것으로 판단(判斷)된다. 6. 붉가시나무의 연륜폭(年輪幅)을 분석한 결과 년평균(年平均) 직경생장량(直徑生長量)은 2.44mm로, 맹아지(萌芽枝)의 발생초기(發生初期)인 1~12년 사이에는 완만하게 생장(2.04mm)하다 맹아지가 임관(林冠) 상층(上層)에 도달하는 13년 이후부터 22년까지 가장 높은 생장량(2.95mm)을 기록하였고, 이후부터는 생장량이 완만하게 감소(減少)하거나 정체(停滯)되는 경향(2.41mm)을 나타냈다.

  • PDF

국내 양양 송이 자생지 내 균환 유래 토양미생물과 송이균사체 생장촉진 효과 (Growth-promoting effect of microorganisms from a fairy ring in Yangyang, Korea on Tricholoma matsutake mycelium)

  • 최두호;이은지;이강효;안기홍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2-26
    • /
    • 2024
  • 본 실험은 송이버섯의 인공재배에 있어 기주식물에 대한 의존성을 줄이기 위한 일환으로 송이 균환의 토양 미생물을 활용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송이 자실체가 발달하는 9월을 대상으로 송이 자생지 내 균환으로부터 토양 내 균주들을 분리하였으며, 1점의 세균과 2점의 진균을 대상으로 대조구 대비 생장한 송이 균사체의 크기 퍼센트를 이용한 생장 촉진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확보된 균주들에 대한 동정을 위해 NCBI blast 과정과 phylogenetic tree 제작 과정을 거쳤다. 다만 본 실험에서 확보한 미생물과 동일한 동정명의 균을 이용한 동일 조건의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본 실험에서 확보한 미생물에 의한 송이 균사에 대한 생장촉진 정도가 다소 낮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실제 자연계에서 송이와 같은 외근균성 버섯과 작용하는 미생물의 사례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송이에 대해 균사 생장을 촉진시키는 미생물 데이터베이스 축적에 있어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축적된 미생물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송이 균사의 생장촉진 나아가 송이 자실체의 발달촉진에 공통적으로 작용하는 미생물 유래 분비물질 고찰에 있어서도 본 실험의 결과가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더해 미생물 군집 내 촉진균 우점도 및 송이 발생지와 미발생지 사이에 있는 미생물 우점도 차이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을 통해 향후 송이 발생에 활용할 수 있는 생태모방에 활용할 가능성 또한 존재한다. 추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균환 유래 토양 미생물에 의한 송이 작용에 대한 실험이 계속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Efficient Peer-to-Peer Lookup in Multi-hop Wireless Networks

  • Shin, Min-Ho;Arbaugh, William A.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3권1호
    • /
    • pp.5-25
    • /
    • 2009
  • In recent years the popularity of multi-hop wireless networks has been growing. Its flexible topology and abundant routing path enables many types of applications. However, the lack of a centralized controller often makes it difficult to design a reliable service in multi-hop wireless networks. While packet routing has been the center of attention for decades, recent research focuses on data discovery such as file sharing in multi-hop wireless networks. Although there are many peer-to-peer lookup (P2P-lookup) schemes for wired networks, they have inherent limitations for multi-hop wireless networks. First, a wired P2P-lookup builds a search structure on the overlay network and disregards the underlying topology. Second, the performance guarantee often relies on specific topology models such as random graphs, which do not apply to multi-hop wireless networks. Past studies on wireless P2P-lookup either combined existing solutions with known routing algorithms or proposed tree-based routing, which is prone to traffic congestion. In this paper, we present two wireless P2P-lookup schemes that strictly build a topology-dependent structure. We first propose the Ring Interval Graph Search (RIGS) that constructs a DHT only through direct connections between the nodes. We then propose the ValleyWalk, a loosely-structured scheme that requires simple local hints for query routing. Packet-level simulations showed that RIGS can find the target with near-shortest search length and ValleyWalk can find the target with near-shortest search length when there is at least 5% object replication. We also provide an analytic bound on the search length of ValleyWalk.

평택 현화리 청동기시대 집터 출토 숯의 수종과 재질 분석 (Species and Macroscopic Analysis of the Charcoals Excavated From Dwelling Sites of the Bronze Age at Hyeonwhari, Pyungteak)

  • 박원규;김수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6-22
    • /
    • 1999
  • 평택 현화리 청동기 시대 (약 2500-3100 B.P.)집터들 에서 발굴된 숯 741점에 대하여 수종을 식별하고 이중 크기가 큰 9점에 대해서는 나이테의 수와 너비 조사를 병행하였다. 수종은 대부분$(97.7\%)$ 참나무속 상수리나무류로 밝혀졌으며 나머지 수종은 오리나무속 오리나무류$(1.6\%)$, 오리나무속 두메오리나무류$(0.3\%)$, 소나무속 잣나무류$(0.4\%)$이었다. 나이테의 수는 $8\~36$개에 이르렀으며 나이테의 평균너비는 $0.65\~1.82mm$이었다. 나이테 분석 대상 숯시료는 모두 상수리나무류로 대부분 수(髓)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심재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타이로시스도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지름이 $10\~15cm$ 이상인 임목이 특별한 가공없이 수간 형태로 주거지 기둥재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나이테자료와 가뭄지수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with Drought Indices and Tree-ring Data)

  • 문장원;이동률;김중훈;유철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425-425
    • /
    • 2011
  • 가뭄은 짧게는 한 계절에서 1년, 길게는 10년 이상 지속되는 등 시간 규모가 다양하며, 그 시작과 끝을 명확하게 정의하기 힘든 특성이 있다. 이와 같이 나타나는 가뭄의 장기적 발생 특성으로 인해 지역의 가뭄 특성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자료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근대적인 관측은 1900년대 초반에 시작되었으며, 현재 운영 중인 대부분의 관측 시설은 1970년대부터 이용 가능한 자료가 존재하는 상황이다. 미국의 경우에도 1800년대 후반부터 관측된 자료를 이용하여 가뭄 및 홍수 분석을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보다 장기간의 가뭄 특성 관련 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많은 연구자들을 통해 지속되어 왔다. 강수량이나 유출량 등 근대 관측 이후 이용이 가능한 자료를 통해서도 가뭄과 관련된 유용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나 보다 장기간의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나이테 등 다양한 기후 지표를 이용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특히 과거 가뭄 특성에 대한 복원을 위해 나이테자료를 이용하는 연구는 미국을 중심으로 매우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몽골이나 티베트, 중국 등과 같이 근대 기상 관측 자료가 매우 부족한 지역을 대상으로 가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해당 지역에서 확보된 나이테 자료를 이용하는 연구가 매우 활발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나이테자료와 가뭄 특성 간 관계를 검토하고 나이테자료에 근거하여 과거 가뭄 특성을 복원하려는 노력이 거의 전무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근대 관측 이전에 대한 가뭄 특성을 복원함에 있어 나이테자료의 활용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가뭄 특성을 나타내는 가뭄지수와 나이테자료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및 주변 국가에서 확보된 나이테자료를 이용하였으며, PDSI, SPI 등 기존 가뭄지수를 분석에 함께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결과는 향후 나이테자료를 기반으로 근대 관측 이전에 대한 가뭄 특성을 복원하는데 있어 유용한 기반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나이테자료 등 기후지표를 이용한 가뭄 관련 연구의 기초 정보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댐 건설에 의한 유황 변화에 따른 하류 하도에서 하천지형학적 변화 및 식생피복의 변화: 황강 합천댐 사례 (Effect of Flow-Regime Change due to Damming on the River Morphology and Vegetation Cover in the Downstream River Reach: A case of Hapchon Dam on the Hwang River)

  • 최성욱;윤병만;우효섭;조강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1호
    • /
    • pp.55-66
    • /
    • 2004
  • 황강 상류에 위치한 합천댐은 1988년 12월에 완공되었다. 완공 이후 댐의 저수량 부족으로 10여년간 수문을 통한 방류가 없었기 때문에, 댐 하류부에 새로운 생태계가 조성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국내 다른 지역에서 찾아보기 힘든 매우 특이한 사항이다. 본 연구에서는 댐 건설로 인한 유황변화에 따른 하천의 지형학적 변화와 식생 피복상태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하상고 및 하천수로단면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나이테 분석을 포함한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댐 건설 전ㆍ후 대상유역의 항공사진을 비교하여 댐 건설 후 식생피복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솔잎흑파리 피해림의 소나무 생장에 관하여 (On the Growth of Pine Tree in the Damaged Forest by the Needle Gall Midge)

  • 임경빈;임웅규;황종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권2호
    • /
    • pp.66-71
    • /
    • 1977
  • The growth of red and black pines in Muan, Seochen, Gapyeong and Kochang areas was compared by means of the growth of annual ring width and stem analysis to study the process of damages caused by pine needle gall midge. Red pine forest of Seocheon area began to suffer by pine needle gall midge from 1961 and the damage was to becoming severe from 1967. The damage became so intense tha tmany forests are withering to death from spring of 1975. Black pine forest also began to suffer from 1973. Red pine forest of Muan area was supposed to be suffered from 1973. Red pine forest of Kochang area suffered by pine needle gall midge from 1967. It seems that the damage became severe from 1973 and that black pine forest was also badly damaged from that time. Red pine forest of the control plot, Gapyeong area, began to suffer from 1967 and it also became intense from 1973. Although the areas of Seocheon, Muan, Kochang, and Gapyeong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erms of locality and the infitration period of pine needle gall equally from 1967 due to mass development of population or other factors and the damage became more intense from 1973. Black pine forest was also badly damaged from that time. Black pine seems to be stronger in insect resistant than red pine. This can be justified by the fact that it began to suffer belatedly in each area and the degree of damage is moderate. The damage of Seocheon area is the severest following Kochang. Muan area is relatively moderate but the forest becoming decrease in growt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