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planting time

검색결과 412건 처리시간 0.037초

정식시기가 큰꽃 삽주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ransplanting Time on Growth and Yield of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

  • 류태석;조지형;김수용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76-281
    • /
    • 1999
  • 경북 북부지역에서 큰삽주의 1년생 종근 정식적기를 구명하고자 1996년부터 1998년까지 3개년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식시기별 출현일수는 만식할수록 단축되는 경향이었고 정식시기별 지상부 생육은 3월 20일 정식시 초장이 가장 크고, 주당 지상부 생체중 및 건괴근중은 4월 5일 정식이 각각 51.9, 11.5g으로 가장 양호하였다. 2. 10g당 최대 건괴근수량을 보이는 생육일수는 209일이었으며 경북 북부지역의 큰삽주 1년생 종근 정식 적기는 4월 5일부터 4월 10일 사이로 판단되었다. 3. 생육초기 적산온도가 267$^{\circ}C$일 때 출현일수가 14.4일로 가장 짧았으며 전 생육기간 동안의 적산온도는 3$600^{\circ}C$일 때 10a당 건괴근수량이 233kg으로 가장 많았다.

  • PDF

버어리종담배 이식시기에 관한 연구 (Effect of Different Transplanting Date on Yield Quality of Burley Tobacco)

  • 김상범;한철수;이규상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1-32
    • /
    • 1979
  • 현재 全南北을 중심으로 한 버어리種담배産地는 4월 상순이 이식하는 改良말칭作에서부터 6월 하순에 이식하는 麥後作에 이르기 까지 移植時期가 매우 다양하다. 全州試驗場圃地에서 移植時期를 4월 10일부터 6월 20일까지 7時期로 區分하여 收量과 品質을 調査한 결과, 말칭作, 裸地作 모두 품질은 4월 10일에서 5월 10일까지 대등하게 나타났으며, 10a 收量 및 代金은 5월10일 移植區가 가장 양호하였다. 그러나 回歸上의 推定値로는 試驗結果보다 약간 빠른 5월 1 일 ∼ 5 日頃이 버어리種의 移植適期로 나타났다.

  • PDF

황금 파종기에 따른 주요형질 및 수량 (Effects of Planting Dates on Major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Sculellaria baicalensis George)

  • 이종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25-430
    • /
    • 1987
  • 남부지방에서 황금의 직파재배와 육묘이직 재배시 적정 파종기와 정식기를 구명하고자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현은 황금의 파종기나 정식기가 빠를수록 늦어지고 늦어질수록 단축되는 경향으로 출현일수와 파종기 및 정식기간에는 고도의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2. 생육은 직파재배에 있어서 4월 15 일의 파종이 초장과 경태가 크고 분지수가 많아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육묘이식재배는 4월 1일 정식이 가장 좋은 경향이었다. 3 수량은 직파담배에서는 4월 15일 파종, 육묘 이식재배는 4월 1일 정식에서 근장이 가장 크고, 건근중이 무거워 수량이 증수되었다. 4 주요 형질간 상관을 보면 수량은 초장과 분지수, 그리고 근장과 정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고, 근장은 건근중과 건경중에 고도의 정의 상관 관계가 인정되었다.

  • PDF

혼합유박비료 시비시기가 유기농경지 토양과 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Application Time of Mixed Expeller Cake fertilizer in Organic Farming Soil and Rice Yield)

  • 문영훈;안병구;이공준;서경원;고도영;최선우;김진호;최인영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475-487
    • /
    • 2017
  • 친환경 벼 재배농가에서 혼합유박비료를 관행적으로 이앙 3일 전에 사용함에 따라 분얼기 이후에 비료효과가 나타나므로 수량이 감소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내에서 조사한 혼합유박비료의 무기화는 담수조건에서 7주까지 $NH_4-N$가 증가하였고, 비담수 조건에서 5주까지 $NO_3-N$가 증가하였다. 벼 이앙 20일에 논토양의 질소무기화는 이앙 20일 전 처리구가 0.85%로 가장 높았다. 수확기 토양특성은 혼합유박비료 시비시기에 따라 토양유기물함량을 제외하고 차이가 없었다. 이앙 60일에 초장, 간장, 수장은 이앙 20일 전 처리구가 가장 길었다. 또한 이앙 20일 전 처리구에서 수수, 등숙비율, 천립중이 높게 나타나 백미수량이 관행처리(이앙 3일 전)에 비해 9% 증가하였다. 백미의 백도와 amylose는 차이가 없었지만, 단백질 함량과 식미치는 이앙 20일과 30일전 처리에서 같은 수준이었다. 쌀 수량과 품질 등을 혼합유박비료 시용시기와 관계식으로 산출하면 혼합유박비료의 적정 사용 시기는 이앙 21.3일 전으로 나타났다.

영남평야지에서 벼 이앙시기에 따른 도정특성 변화와 도정특성 유망 유전자원 탐색 (Changes of Milling Quality of Rice Varieties According to the Transplanting Time and Good Resources with High Milling Quality in Yeongnam Plain Paddy)

  • 김춘송;이종희;곽도연;전명기;강종래;여운상;신문식;오병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spc호
    • /
    • pp.1-8
    • /
    • 2008
  • 본 연구는 30개의 고품질 벼 품종을 공시하여 영남 남부 평야지에서 이앙시기의 차이가 도정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고품질 벼 품종 중에서 도정특성이 우수한 유전자원을 탐색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만기(6월 20일) 이앙시 보통기 이앙에 비하여(6월 5일) 출수가 6일 늦어지면서 등숙율과 백미 완전립비율, 완전미 도정수율이 증가하여 수당립수의 감소에 따른 쌀수량의 차이가 컸음에도 불구하고 완전미 쌀수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2. 현미 선별체를 이용한 현미립의 두께에 따른 분포특성은 보통기 이앙에 비하여 만기 이앙에서 $1.6{\sim}1.9\;mm$ 두께의 현미립이 줄고, 1.9 mm 이상 두께의 현미립이 증가하여 균일도가 향상되었다. 3. 보통기와 만기 이앙간에 도정 손실율의 차이는 없었으나, 도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만기 이앙에서 증가하였다. 4. 도정특성이 우수한 유망유전자원으로 남평벼, 일미벼, 추청벼, 동진벼, 호평, 말그미, 칠보, 히노히까리, 청무 등 9품종을 선정하였다. 5. 등숙율은 추청벼, 동진벼, 밀양 205호가 90% 이상으로 가장 양호 하였으며, 백미 완전립비율은 남평벼가 95%로서 가장 좋았고, 완전미 쌀수량은 남평벼와 일미벼가 500 kg/10a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Effects of Transplanting Time and Vinyl-film Mulching Treatment on the Biomass Production of Artemisia annua L. in the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s in Korea

  • Song, Jae-Do;Sohn, Yong-Man;Lee, Myung-Hi;Jeon, Geon-Yeong;Kim, Doo-Hwan;Park, Moo-E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9-37
    • /
    • 2011
  •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find the effects of transplanting time and vinyl-film mulching treatment on the growth of artemisia by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The experiment site ($100{\times}130$ m) was temporally established in the south-eastern part of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near Gwanghwal myun, Gimjae-gun, Jellabukdo). Artemisia plants had been partly suffered from salt injury, because soil salinities in some area during growing period had been measured higher than 10 dS $m^{-1}$. Growth of plant height and survival ratio of transplanted plants had been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oil salinity and then the regression equations between plant height (y) and soil EC (x) and between survival ratio (y) and soil EC (x) were expressed as y=-16.59ln(x)+43.852 and $y=0.6453x^2-17.566x+103.99$, respectively. It was concluded that early transplanting and vinyl mulching was more beneficial for biomass production of artemisia, because biomass was 6.41 times more in the early transplanting than in the late transplanting, and 2.63 times more in the vinyl-film mulching than in the no mulching treatment.

간척지 고품질 품종의 품질 향상을 위한 적정 이앙시기 구명 (Proper Transplanting Time for Considering Rice Quality at Reclaimed Saline Land in Gyehwado)

  • 김영두;백만기;이준희;고종철;최민규;박홍규;최원영;김보경;김정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39-345
    • /
    • 2009
  • 서남부 간척지에서의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생태형별 적정 이앙시기를 구명하고자 2002년부터 2004년까지 호남농업연구소 계화도출장소 시험포장 문포통(세사양토, 토양 염농도 0.1%)에서 운광벼, 고품벼, 삼광벼, 신동진벼, 청호벼, 호평벼를 공시하여 이앙시기별 벼 생육, 수량구성요소, 수량 및 품질 관련형질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위면적당 영화수는 생태형에 관계없이 5월 20일 이앙에서 가장 적고 그 이후 이앙에서는 일반적으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2. 중만생인 호평벼는 등숙비율이 5월 20일 이앙에서 높았으나, 기타 품종들은 6월 1일 이후 이앙에서 높았다. 3. 완전미 비율은 이앙시기간에 일반적으로 이앙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단백질함량은 운광벼 및 삼광벼는 조기 이앙에서, 고품벼, 신동진벼 및 청호벼는 만기 이앙에서 높은 경향이었으나 호평벼는 이앙기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완전미 수량은 운광벼, 신동진벼, 호평벼는 6월 10일과 6월 20일 이앙에서 높고 삼광벼 및 청호벼는 6월 1일과 6월 20일 이앙에서 높았다. 5. 따라서 완전미 수량, 등숙비율, 미질 등을 고려한 이앙적기는 중만생종인 삼광벼, 청호벼, 호평벼는 6월 1일, 조생종인 운광벼와 중만생종인 신동진벼은 6월 10일로 판단된다.

수도(水稻)의 이앙시기(移秧時機)와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이 잡초(雜草)의 발생(發生)과 수도(水稻)의 생장(生長)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mergence, Growth of Weeds and Growth, Yields of Rice as Affected by Rice Transplanting Time and Nitrogen Levels)

  • 변종영;심이성;안수봉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9-25
    • /
    • 1984
  • 수도(水稻)의 이앙시기(移秧時期)와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을 달리하였을 때 발생되는 잡초의 발생량(發生量)과 수도(水稻)의 생육(生育) 및 수량(數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하여 잡초방제(雜草防除) 기술확립(技術確立)에 필요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提供)하고자 포장실험(圃場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우점잡초(優點雜草)는 알방동산이, 마디꽃, 물달개비, 너도방동산이, 올미, 올챙고랭이와 바람하늘지기였다. 2. 잡초(雜草)의 발생본수(放生本數)는 이앙기가 빠를수록 많았고 질소시비량이 증가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3. 잡초(雜草)의 건물중(乾物重) 5월 26일에 조기이앙(早期移秧)하였을 때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이 증가됨에 따라 감소되었으나 6월 10일 이후에 이앙하면 질소(窒素) 8 혹은 16kg/10a에서 건물중(乾物重)이 증가되었고 그 이상에서는 감소되었다. 4. 벼의 초장(草長), 건물중(乾物重), 엽면적지수(葉面積指數)와 수량(收量)은 이앙기(移秧期)가 늦을수록 적었으며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이 증가됨에 따라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5. 잡초(雜草)에 의한 벼의 감수율(減收率)은 이앙기(移秧期)가 빠르고 질소시비수준(窒素施肥水準)이 낮은 조건(條件)에서 높았다.

  • PDF

이앙시기가 중산간지 고품질 쌀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ansplanting Times on Rice Quality in Mid-mountainous Area)

  • 강종래;김정태;백인열;김정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33-36
    • /
    • 2005
  • 재배시기가 중산간지에서 생산된 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중산간지에 추천된 품종(삼천벼, 상미벼, 화영벼, 주남벼)을 대상으로 5월 10일부터 6월 9일까지 10일 간격으로 4회에 걸쳐 이앙${\cdot}$재배한 3년간의 결과를 분석한 쌀품질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식미치 분석결과 재배시기와 품종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어, 5월 10일 이앙재배에서는 상미벼, 화영벼, 주남벼가 삼천벼에 비해, 5월 20일 이앙재배에서는 상미벼와 주남벼가 삼천벼에 비해, 5월 30일 이앙재배에서는 상미벼와 화영벼가 삼천벼와 주남벼에 비해, 6월 9일 이앙재배에서는 상미벼와 삼천벼가 화영벼와 주남벼에 비해 식미치가 높았다. 따라서 상미벼가 4처리의 모든 이앙기에서 식미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아미로스 함량도 재배시기와 품종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인정된바, 5월 10일과 5월 30일 이앙재배에서는 품종간의 아미로스함량에 유의차가 없었고, 5월 20일 이앙재배에서는 상미벼와 삼천벼가 주남벼보다, 6월 9일 이앙재배에서는 상미벼와 삼천벼가 화영벼와 주남벼 보다 아미로스 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3. 단백질 함량은 이앙시기 중 6월 9일 이앙이, 품종 중에서는 주남벼가 가장 낮았다. 4. 완전미의 수량은 이앙시기 및 품종간의 유의차가 없었다. 5. 백미의 수량은 5월 20일 이앙이 5월 30일과 6월 9일 이앙재배보다 높았고, 품종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6. 본 실험 처리 중 중산간지 고품질 쌀 생산에 가장 유리한 이앙기는 5월 20일, 품종은 상미벼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Changes in Amylopectin Structure and Pasting Properties of Starch as Affected by Different Transplanting Dates in Rice

  • Kim, Sang-Kuk;Shin, Jong-Hee;Ahn, Deuk-Jong;Kim, Se-J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235-241
    • /
    • 2016
  • Three different transplanting dates for two rice cultivars grown in Daegu, Republic of Korea, were examined to identify the changes in growth, rice quality, and characteristics of amylopectin. An early transplanting date caused a reduction in the number of panicles in both rice cultivars compared to that in the optimal and late transplanting dates. The 1000-grain weight in the two rice cultivar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late transplanting date. The rice cultivar tolerant to high temperatures, Donganbyeo, exhibited the lowest milky grain rate in the late transplanting date. The highest rate of head grain was observed in the late transplanting date in both rice cultivars. Regarding the pattern of pasting properties, peak viscosity increased with delayed transplanting dates. With respect to changes in the amylopectin branch-chain length distribution, the amylopectin structure of the translucent Dongan rice cultivar transplanted on April 25 was characterized by a significant increase in A chains with DP > 12, and a decrease in long chains $DP{\geq}37$ compared to that transplanted on June 25. In contrast, the amylopectin structure of the chalky Dongan rice cultivar transplanted on April 25 exhibited further decrease in 13 < DP < 19 than that transplanted on June 25. In the Ungwang rice cultivar, the amylopectin structure of the translucent Ungwang rice cultivar transplanted on April 25 and June 25 was characterized by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engths of total amylopectin chains. Furthermore, the amylopectin structure of the chalky Ungwangbyeo rice cultivar transplanted on April 25 was characterized by a significant increase in 7 < DP < 30, while a significant decrease was observed in that transplanted on June 2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mylopectin structure is altered by different transplanting dat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ice cultiv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