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it network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27초

Proposed Message Transit Buffer Management Model for Nodes in Vehicular Delay-Tolerant Network

  • Gballou Yao, Theophile;Kimou Kouadio, Prosper;Tiecoura, Yves;Toure Kidjegbo, Augusti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1호
    • /
    • pp.153-163
    • /
    • 2023
  • This study is situated in the context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where in-vehicle devices assist drivers to avoid accidents and therefore improve road safety. The vehicles present in a given area form an ad' hoc network of vehicles called vehicular ad' hoc network. In this type of network, the nodes are mobile vehicles and the messages exchanged are messages to warn about obstacles that may hinder the correct driving. Node mobilities make it impossible for inter-node communication to be end-to-end. Recognizing this characteristic has led to delay-tolerant vehicular networks. Embedded devices have small buffers (memory) to hold messages that a node needs to transmit when no other node is within its visibility range for transmission. The performance of a vehicular delay-tolerant network is closely tied to the successful management of the nodes' transit buffer.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ssage transit buffer management model for nodes in vehicular delay tolerant networks. This model consists in setting up, on the one hand, a policy of dropping messages from the buffer when the buffer is full and must receive a new message. This drop policy is based on the concept of intermediate node to destination, queues and priority class of service. It is also based on the properties of the message (size, weight, number of hops, number of replications, remaining time-to-live, etc.). On the other hand, the model defines the policy for selecting the message to be transmitted. The proposed model was evaluated with the ONE opportunistic network simulator based on a 4000m x 4000m area of downtown Bouaké in Côte d'Ivoire. The map data were imported using the Open Street Map tool. The results obtained show that our model improves the delivery ratio of security alert messages, reduces their delivery delay and network overload compared to the existing model. This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within a network of vehicles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road safety.

통합거리비례요금제와 차내혼잡을 반영하는 통합대중교통망 통행배정 모형 구축 (Development of Transit Assignment Model Considering an Integrated Distance-Based Fare System and In-Vehicle Congestion)

  • 박준환;신성일;임용택;임강원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3-143
    • /
    • 2007
  • 대중교통 통행배정과 관련하여 현재까지 제시된 연구들은 버스, 지하철 등 다양한 수단별 특성을 함께 고려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통합거리비례요금제도의 요금에 대한 연구는 필요성에 비해 그 성과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노선별 용량에 대한 고려도 미흡하다. 이외에 과거 대중교통 용량에 대한 연구가 존재하긴 하였으나 용량에 접근하면서 느끼는 혼잡도를 함께 고려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현재의 대중교통 통행배정을 이용한 대중교통 정책 분석이나 노선평가는 한계를 지닌다. 본 연구는 대중교통 노선에 대한 선택 및 통행배정에 관한 기존 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앞서 언급한 여러 문제점을 고려하는 대중교통 통행배정 모형의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이렇게 구축된 모형을 해석하기 위해 Column Generation을 기반으로 한 heuristic한 기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통행시간 뿐 아니라 요금, 용량 등을 반영할 수 있는 보다 개선된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을 제시하였다.

제약조건을 고려한 통합대중교통망의 대안경로탐색 (Finding Alternative Routes in Inter Modal Transit Networks Considering Constraints)

  • 이미영;백남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1-13
    • /
    • 2005
  • 다양한 대중교통수단이 함께 구축되어 있는 통합대중교통망(Integrated Transit Network)에 대하여, 최적통행시간 경로정보뿐만 아니라 다수의 최적통행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안에 대한 기초연구는 그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다수의 대중교통경로를 탐색하기 위하여, 버스와 지하철의 두 수단이 함께 존재하는 복합교통망에서 K개의 최소통행시간을 갖는 경로를 탐색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안은 통행정보에서 대중교통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필요로 하는 다음의 3가지 제약조건 (1) 수단의 서비스시간제약, (2) 통합거리비례제 요금제약, 3) 환승회수제약을 고려한다. 사례연구를 통해 K개의 최소통행시간 경로정보뿐만 아니라 위의 제약조건을 조합적으로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경로정보의 질적 향상 및 다양화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한다.

  • PDF

지역간 철도의 결정적 통행배정모형 구축 연구 (A Deterministic Transit Assignment Model for Intercity Rail Network)

  • 김경태;이성모;권용석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1권6호
    • /
    • pp.550-56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도시권역의 대중교통수단과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차별화 되는 지역 간 철도의 특징을 반영한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을 제시하였다. 경로구간 기반으로 대중교통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경로구간을 운행하는 노선의 선택확률을 통행배정모형 내에서 결정하는 것이 아닌 외부적으로 결정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직접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방법보다 네트워크 확장 규모를 줄일 수 있었다. 지역간 철도의 특징을 반영할 수 있도록 적정한 가정을 통해서 경로구간 기반의 결정적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과 해법을 제시하였다. 현실을 최대한 반영한 소규모 네트워크에서 기존의 대표적인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과 비교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의 예측력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차량용량을 고려한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구축에 관한 연구 (A User Equilibrium Transit Assignment Model with Vehicle Capacity Constraint)

  • 이성모;유경상;전경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7-44
    • /
    • 1996
  •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providing a new formulation for the transit assignment problem. The existing models dealing with the transit assignment problem don't consider the congestion effects due to the insufficient capacity of transit vehicles. Besides, these models don't provide solutions satisfying the Wardrop's user equilibrium conditions. The congestion effects are considered to be concentrated at the transit stops. For the transit lines, the waiting times at the transit stops are dependent on the passenger flows. The new model suggests the route section cost function analogous to the link performance function of the auto assignment to reflect the congestion effects in congested transit network. With the asymmetric cost function, the variational inequality programming is used to obtain the solutions satisfying Wardrop's condition. The diagonalization algorithm is introduced to solve this model. Finally,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of EMME/2.

  • PDF

복합수단 대중교통 네트워크의 연계성 평가 모형 (A Model for Evaluating the Connectivity of Multimodal Transit Networks)

  • 박준식;강성철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85-98
    • /
    • 2010
  • 대중교통 네트워크가 점점 더 복합수단화됨에 따라 네트워크의 연계성이 중요한 개념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수단 대중교통 네트워크의 연계성을 평가하는 계량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대중교통 노선의 평가지표로 노선연장, 수송용량, 통행속도를 선정하고 이들의 곱을 노선의 연계강도로 정의하였다. 또한 사회 네트워크 분석에서 사용되는 노드의 중심성 지표 중 하나인 degree centrality 개념을 대중교통 네트워크에 적합하게 수정하였다. 노선의 연계강도와 그 노선이 서비스하는 정류장의 degree centrality를 접목하여 정류장의 연계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를 개발하였다. 이를 토대로 복합수단 대중교통 네트워크 내의 노선 및 지역의 연계성 지수도 도출하였다. 또한 정류장의 연계성 지수와 이용자수용비율 함수를 이용하여 환승센터의 연계성을 평가하는 방법도 제시하였다. 사례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연계성 평가 모형은 복합수단 대중교통 네트워크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으며, 대중교통 네트워크 내의 정류장, 노선, 지역의 연계성을 적절하게 평가할 수 있고, 또한 환승센터의 서비스수준 산정에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시철도용 차량간 통신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ProfiBus 적용 연구 (A Study on Train Communication Network for EMU using ProfiBus)

  • 이수길;한성호;김원경;이관섭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기기 및 에너지변환시스템부문
    • /
    • pp.366-368
    • /
    • 2001
  • ProfiBus provides real-time data communication among field devices in the EMU(Electrical Multiple Unit) and TCMS(Train Control Monitoring System). This paper presents an adapt to Train Communication Network for EMU using ProfiBus DP(Decentralized Periphery) method, which is the layer 2 DDLM (Direct Data Link Mapper) protocol of ProfiBus.

  • PDF

버스 동시환승체계의 적용과 효과분석 (Timed-Transfer System: its Application and Effects on Bus Transit System)

  • 신용은;남혜경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5D호
    • /
    • pp.617-625
    • /
    • 2008
  • 중소도시의 경우 저밀도 지역의 만연과 산재한 통행 기종점으로 인해 양질의 대중교통서비스 제공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동시환승체계는 이 같은 지역에 적절한 대중교통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운행계획이 수립된 노선망으로, 도입 시 서비스 제고와 운행효율성 증대 등 다양한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동시환승체계의 현실적 적용을 위한 접근방법론 제시와 도입 시 발생 가능한 기대효과의 파악과 분석을 목적으로, 동시환승체계의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고 구축의 방법론적 접근법을 제시하였고, 전형적인 저밀도 지역인 양산시의 기존 시내버스 노선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양산시의 양산시외버스터미널을 통과하는 11개 시내버스 노선을 양산터미널을 환승지점으로 동시환승체계를 구축하였다. 그 결과 노선 간 환승시간이 크게 감소하였고, 기존 차량대수를 유지함에도 불구하고 높은 빈도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지는 등 서비스 질이 개선 되었다. 또한 기존 노선망의 서비스 권역을 그대로 유지함에도 불구하고 노선단축 등으로 인한 총 운행거리와 요구차량대수가 감소하는 효과도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사한 문제에 처한 여타 도시에 적용이 가능하며, 계획가와 정책가에게는 노선 구축을 위한 지침과 정책결정의 근거를 제공할 것이다.

지방지하철의 개선방안 - 네트워크 강화를 중심으로 (Improving Methods of Country Metropolitan Subways - Focusing on tile improvement of Transit Network)

  • 한우진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10-515
    • /
    • 2005
  • Since 1974, the first subway is construc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from 1985 country metropolitan subways have been built. But most country metropolitan subways cannot reach the goal of transportation sharing ratio and show a loss. In this paper, I investigate the issues of country metropolitan subways and present the methods to improve them focusing on strengthening transit network. At first, it is introduced that the method can complement incomplete network from insufficient subway lines. And I propose the consolidation method using KORAIL railway lines. Finally, the connecting method into subway missing area is presented with various transit systems like BRT, Guideway Bus and single railway line extension.

  • PDF

버스 노선망 설계 문제(BTRNDP)의 고찰 (Reviews of Bus Transit Route Network Design Problem)

  • 한종학;이승재;임성수;김종형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5-47
    • /
    • 2005
  • 버스 대중교통은 정해진 노선, 운행시간표에 의해 정류장을 경유하여 운행하므로 버스 노선망 설계 문제(BTRNDP: Bus Transit Route Network Design Problem)는 승용차위주의 가로망 설계 문제와 다른 접근방법이 요구된다. 버스 노선망 설계 문제의 적용모형은 설계방법의 역사적발전과정에 따라 매뉴얼 및 지침, 시장분석기법, 시스템해석모형, 휴리스틱모형, 하이브리드모형, 경험기반모형, 시뮬레이션모형, 수리최적화모형 등 크게 8가지 분류할 수 있다. BTRNDP는 이용자비용과 운영자비용의 조합인 총비용을 최소화하는 목적함수를 획득하기 위한 일련의 현실적 제약조건하에서 버스노선집합과 배차횟수를 결정하는 문제이다. BTRNDP는 조합최적화문제로 일반적 수리최적화문제로 가능해 공간을 정의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모든 가능해로 구성된 큰 탐색공간으로부터 최적해를 탐색해야하는 NP-Hard라는 특성을 가진다. BTRNDP의 목적함수는 이용자와 운영자관점을 모두 고려한 다목적함수(Multi-Objective Function)를 이용하며 수요는 고정수요를 이용하였으나 최근에는 가변수요를 고려한 방법론이 연구되고 있다. 해알고리즘으로 최적 버스 노선망을 구성하게 될 모든 가능한 후보노선집합(Candidate Route Set)을 생성하고 노선집합의 최적조합을 찾는 메타휴리스틱(Meta-heuristic)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전역최적 노선집합을 찾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최적 버스 노선망의 배차횟수를 결정하기 위해서 대중교통 통행배분모형이 필요한데 BTRNDP에 적용되는 통행배분모형은 다중경로 통행배분모형이 주로 활용되었다. 국내외 BTRNDP를 고찰한 결과 주요 시사점으로는 BTRNDP에서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은 세분화된 버스정류장 기반 기종점통행량 구축, 버스 노선망 평가 모형 및 대중교통 통행 배분모형의 개발, 탐색 해알고리즘의 개발 등의 향후 연구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