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teaching

검색결과 727건 처리시간 0.026초

과목변경수학교사의 신념에 따른 교수 실제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Practices of Teachers Who Changed the Subject to Mathematics Based on Their Belief)

  • 김수선;고상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3호
    • /
    • pp.373-389
    • /
    • 2015
  • 본 연구는 2009개정교육과정의 현장적용에서 교사수급 조절로 인해 원래 수학이 아닌 다른 과목을 가르치던 교사가 과목을 변경하여 수학을 가르치게 된, 과목변경수학교사의 교수 실제를 조사하였다. 과목변경수학교사 중 설문지를 통하여 전통적인 신념과 비전통적인 신념이 강하게 나타난 두 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수업 관찰 및 면담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수업실제에서 전통적인 신념을 가진 교사 A는 교사 위주의 설명식 수업이, 비전통적인 신념이 강한 교사 B는 약간의 시도는 있었으나 비전통적인 수업을 했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둘째, 과목변경수학 교사가 겪는 어려움에 대해 교사 A는 수학교수 자체보다는 학생부장으로서 겪는 업무의 어려움과 지나치게 많은 수업시수에 대한 고충을 토로했으며 비전통적인 신념을 지닌 교사 B는 학습자중심의 활동 수업을 하고 싶으나 방법을 알지 못하여 자신의 신념이 반영된 수업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현실이 힘들다고 하였다. 그리고 두 교사가 공통적으로 수업의 전문성을 더욱 신장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주어야 한다는 것을 거듭 강조하였다. 외부지원으로는 지속적인 연수 및 선배 교사와의 멘토링, 그리고 수업 연구에만 전념할 수 있는 시간 확보 등을 언급하였다.

학습 동기에 따른 학습자의 개념 변화 효과 (Effects of Students' Learning Motivations on Concept Change)

  • 백성혜;김혜경;채우기;권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1-99
    • /
    • 1999
  • 화학 변화에 대한 학습자의 선개념과 이를 근거로 개발한 개념변화 수업 지도안을 학생들에게 투입하였을 때, 학습자의 학습 동기에 따라 개념변화 수업 모형의 효과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학습자의 흥미나 태도, 동기 등 정의적인 측면을 고려하지 않고 단지 학습자의 인 지구조에만 초점을 맞춘 기존의 개념변화 수업 모형들을 재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 전 학습동기가 높았던 학생들의 경우에는 교과서 중심의 전통적인 수업을 받은 학생들보다, 개념변화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화학 변화' 개념을 이해하는 정도가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업 전 학습 동기가 낮았던 학생들의 경우에는 개념변화 수업을 받은 학생들과 전통적인 수업을 받은 학생들의 '화학 변화' 개념에 대한 이해도에는 별다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전 학습동기와 사후 학습동기, 그리고 개념 이해도 사이의 상관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사전, 사후 학습동기와 개념이해도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수업을 통해 유발된 사후 학습동기는 개념 이해도를 23.30% 정도 설명하였으며, 특히 사후 학습동기의 하위 요소 중에서 '자신감' 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념변화 이론에서는 잠정적으로 전제하고 있는 학습자의 학습동기가 실제로 개념변화 수업이 이루어져 개념 획득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것이다. 특히 학습 동기의 여러 하위 요소 중에서 '수업을 통한 학습자의 자신감 획득'은 '개념 획득'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사후 학습동기 검사를 통하여 전통적인 수업과 개념변화 수업이 학습자의 학습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교과서 중심의 전통적인 수업과 개념변화 수업은 모두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유발하는데 효율적이지 못함이 밝혀졌다.

  • PDF

초등 교사의 과학학습에 대한 신념과 수업 내용, 방법, 환경 측면에서의 교수 실제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elementary teachers' beliefs of science learning and their teaching practices in the aspects of teaching contents, methods, and learning environments)

  • 안영돈;임희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3호
    • /
    • pp.555-568
    • /
    • 2014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의 과학학습에 대한 신념이 교수 실제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 4명을 대상으로 리커트식 설문 조사와 면담을 통하여 교사의 과학학습에 대한 신념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각 교사당 2차시의 수업에 대하여 실제 수업 관찰 및 수업 후 면담을 통하여 수업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학습에 대한 신념에서 전통적 관점을 보인 A교사와 B교사는 교수 실제에서도 교사 중심의 설명식 수업을 진행하였다. 반면에 상대적으로 구성주의적인 신념을 보인 C교사와 D교사는 교수 실제에서 교과서 내용을 재구성하고 다양한 교수 방법과 전략을 활용하는 수업을 진행하였다. 초등 교사의 과학학습에 대한 신념에는 교사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신념의 차이는 대체적으로 과학 수업의 실제와도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초등 과학수업에서 교사의 과학학습에 대한 신념의 중요성에 대하여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PDF

감즙염색을 이용한 학습자료와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및 적용이 전통 의생활문화 교육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Plan using Persimmon juice Dyeing on the Traditional Clothing Life-Culture Education)

  • 박순자;유지연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9-9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전통 의생활문화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키고자 우리나라의 대표적 전통 천연염색 중 하나인 감즙염색을 이용한 학습자료를 제작하고 전통 의생활문화 체험이 가능한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연구방법에 있어서 교육적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수업 실시 전과 후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t-test, Kruscal-Wallis 검정 및 상관분석을 행하였다. 이를 고등학교 기술 가정과에 '감즙염색 직물을 이용한 생활소품 만들기' 주제로 수업에 적용하여 전통 이미지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학습에 대한 흥미도 및 태도 변화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즙염색에 관해 연구해온 축적물로 독창적인 학습자료를 개발하여 감즙염색과 전통 의생활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협동학습을 실시한 결과, 현대 감각을 살린 아이디어 소품이 창출되었다. 둘째, '청소년의 전통 의생활문화와 교육에 대한 인식'에 있어, 수업 전과 후의 차이를 나타내어 수업 후에 인식의 향상을 보였다. 나아가 조사대상을 상/중/하위 그룹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긍정적인 변화에 있어서도 그룹 간 차이를 보였는데, 사전 점수가 가장 낮았던 하위 그룹에서 가장 높은 향상을 나타내었다. 셋째, '감즙염색 직물을 이용한 생활소품 만들기' 수업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모든 문항에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나, 학생들은 감즙염색 직물로 생활소품 만들기 체험을 통하여 전통 의생활문화에 대한 관심과 흥미도가 높아졌고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음이 확인되었다. 넷째, 전통 의생활문화 인식과 그 교육에 대한 인식 간에는 문화에 대한 인식이 높은 학습자일수록 그 교육에 대한 인식도 높아 정적인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개발된 학습자료와 교수-학습과정안을 통한 전통 의생활문화 수업은 전통적인 천연염색과 의생활문화에 대한 가치와 의미를 이해하는 인식에서 향상된 변화를 가져왔고,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교육적 효과를 가져왔다. 전통 의생활 문화 교육은 지속적이고 다면적인 심화된 연구와 현장교육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때 교육적 시너지효과가 더 발현될 것이다.

  • PDF

학생의 과학 오개념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의 지식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of Students' Misconceptions about Science Topics)

  • 한수진;강석진;노태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4호
    • /
    • pp.474-483
    • /
    • 2010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of students' misconceptions about several science topics, and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ir awareness. Seniors (N=106) from an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asked to predict elementary school students' misconceptions on science topics such as phase changes and dissolution. Their conception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were also measur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predictions about the kinds and/or the ratios of students' misconceptions were different from those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The low level preservice teachers in terms of the degrees of possessing traditional conception about teaching and learning predicted more students' common misconceptions. The degrees of preservice teachers' constructivist conception about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ir major, however,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numbers of common misconceptions predicted.

  • PDF

Offer Calculus to High School Students: The Use of Technologies Can Clear up People's Doubts

  • Wang, Gaoxia;Zhu, Ya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6권2호
    • /
    • pp.117-122
    • /
    • 2002
  • From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calculus is gradually offered to high school students in many countries. However, in Chinese high school, the instruction on calculus is nearly an untouched field. Many people don't believe that high school students can study calculus well. They think calculus knowledge in students' brains is likely to become the “half-cooked food”, and this can produce a bad effect on the study of formal calculus at university. The authors consider that the emphasis of calculus in high school should be the intuitive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calculus concepts, and it is also the basis of the understanding of formal concepts. Traditional mathematics course with chalk can't meet the needs of calculus teaching. The use of technologies can enhance the calculus teaching, especially the informal and visual calculus teaching,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underlying concepts. The authors describe how the use of technologies can improve the calculus teaching and learning, and point out that the use of technologies can clear up people's doubts.

  • PDF

대수 교육과정의 변화에 관한 고찰 - 패턴에 기초한 대수 도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algebra curriculum - Focusing on the introduction of algebra based on patterns -)

  • 김성준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2권3호
    • /
    • pp.353-369
    • /
    • 2002
  • In this paper, we deal with the teaching of the approaching to algebra based on patterns. The change of algebra curriculum has been undergoing in many countries including USA, England, Australia. The traditional algebra curriculum starts with letters(variables), algebraic expressions, and equations. But these formal approaching method has many difficulties in teaching school algebra. Therefore the new algebra curriculum has to be needed, and the approaching to algebra based on patterns has been focused. In this paper, we compare this new approaching to algebra based on patterns to the traditional algebra curriculum. Next we consider the NCTM algebra curriculums based on Standards (1989) and Standards 2000(2000), Britannica textbook series(1998) based on RME. Also we investigate our pattern approaching in our curriculum and discuss some problem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pproaching to algebra based on patterns.

  • PDF

과학교육과정 및 과학 교수/학습의 이론적 배경과 미래의 과학교육에 대한 시사점 (Analysis of Theoretical Background for Current Research on Science Curriculum and Teaching/Learning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cience Education)

  • 조희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33-41
    • /
    • 1988
  • During the last decade researchers in science education and psychology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hildren's ideas, or "what they already know", which they bring to their related learning situations. Most research reports on the children's prior ideas reject both the traditional epistemologies and the conventional learning theories. Therefore, this study has its objective to analyze the traditional epistemologies as well as post-positivism contemporarily in vogue, to examine both the conventional learning theories and the constructivism of psychology, and then, based on the analyses, to draw th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cience education. The implications are described under such headings as the nature of science, the science curricula, and the science teaching/learning. The implications are drawn in logical relation to the post-positivism and constructivism, and some of which are empirically validated by the research on the children's conceptions.

  • PDF

미적분학 개혁운동과 미적분강좌의 방향 연구 (Calculus Reform Movement and A Study on the College Calculus)

  • 최은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8권1호
    • /
    • pp.47-59
    • /
    • 2009
  • Recently our society confronts with the concern over the college students' apparent lack of understanding and interesting of mathematics. In late 1980s the calculus reform movement in US was triggered to increase both passing rates and a general interest in the subje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eaching of college calculus and its curriculum in order to promote students' interesting and understanding. We deal with 4 questions. Firstly, we research the history and motivation of the calculus reform movement in US. Secondly, we do case study about the debate between reformed and traditional calculus. Then we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reformed calculus in comparison to traditional calculus. Finally we investigate possible ways to apply reformed calculus in our university mathematics education and suggest some points to improve teaching calculus.

  • PDF

집합교재의 체계적 분석연구

  • 이석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3권10호
    • /
    • pp.7-20
    • /
    • 1965
  • One of the prerequisit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teaching of mathematics in our country is an improved curriculum-one which takes account of the increasing use of mathematics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in other areas of knowledge and at the same time one which reflects recent advances in mathematics itself. In the new curriculum of mathematics, we have found the problems to teach the concept of sets at secondary level. The idea of a set is the most fundamental one in mathematics. So, this thesis contains the studies of the systematic analysis of sets in dealing with the traditional textbook. The scope of the work is limited to the fundamental ideas, and so it merely touches on the topics of the Concpets, Operations, Cardinal Numbers, Application of Logic, one-to-one Correspondence, Probability and so on. It provides only the essentials, definitions, proofs and some example which are already known and understood in their traditional context. It also presents at the appropriate stages the concepts required (illustrated by examples) in a much clearer fashion than classical teaching does. To compete a study of the sets covered in the textbook of each year, greater detail is needed at the appropriate lev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