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phenol contents

검색결과 484건 처리시간 0.026초

땅콩껍질 추출물의 항산화능에 대한 원적외선과 열처리 효과 (Effect of Far-Infrared Irradiation and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Peanut (Arachis hypogaea) Shell)

  • 임아람;정은실;조성춘;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114-1117
    • /
    • 2005
  • 원적외선 조사 및 일반 열처리가 땅콩껍질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150^{\circ}C$에서 각각 5, 10, 15, 20, 40 그리고 60분간 처리한 후, 메탄을 추출물을 제조하여 총 페놀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그리고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이 들 측정 결과, 무처리구 40.17mg/mL, $67.7\%$, 0.569에 비해 원적외선을 $150^{\circ}C$에서 5분간 조사한 처리구는 각각 42.30mg/mL, $76.3\%$, 0.639로 증가하였다. 한편, $150^{\circ}C$에서 5분간 일반 열처리 한 시료의 경우는 각각 43.52mg/mL, $79.3\%$, 0.623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원적외선 조사 및 일반 열처리를 60분간 행하였을 경우에는 모두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땅콩 껍질에 대한 적절한 원적외선 조사 및 열처리는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채취시기에 따른 고들빼기의 성분 조성과 산화방지활성 (Effect of collection time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levels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of Godulbaegi (Youngia sonchifolia M.))

  • 황태연;허창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86-79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식품으로서 활용범위가 점차 증가되고 있는 고들빼기 식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화학 성분과 기호성에 관계되는 특수성분을 조사하기 위하여 10월(A)과 12월(B) 2회에 걸쳐 채취시기별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고들빼기에 함유된 항산화물질을 분석하여 가공식품으로 정착시키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고들빼기의 채취 시기별 일반성분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잎과 뿌리에서 채취 시기가 경과할수록 수분 함량과 조지방 함량은 공통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섬유질, 단백질, 가용성무질소물 및 회분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무기질은 채취 시기가 경과할수록 잎의 Mg과 Na를 제외하고는 모든 시료에서 공통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Vit. C와 Niacin은 채취 시기가 경과할수록 잎과 뿌리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Vit. $B_1$, $B_2$는 소량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들빼기 잎과 뿌리의 주된 유기산은 구연산, 사과산 및 주석산이 검출되었고, 시기별로 성분함량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주요 구성아미노산은 잎과 뿌리 모두에서 isoleucine과 leucine이었고,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구성아미노산 함량은 증가하였다. 고들빼기의 잎과 뿌리에 함유된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 등 4개의 당이 확인되었고 총 유리당 함량은 채취 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였다. Phenol화합물은 arbutin, catechin, chlorogenic acid, p-coumaric acid 등 4개의 성분이 확인 되었으며, 잎보다 뿌리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그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들빼기 항산화력은 잎보다 뿌리의 항산화력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채취 시기가 늦을 수 록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각자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Stings of Gleditsia sinensis Extracts)

  • 이정민;박재희;추원미;윤이묵;박은주;박해룡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2-67
    • /
    • 2011
  • 본 연구는 항산화 활성 및 항당뇨 효과가 있는 조각자 추출물인 GSM (methanol 추출물)과 GSE (ethanol 추출물)에 대한 연구이다. 추출 용매에 대한 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100 g 당 GSM에서는 1.12 g이며, GSE에서는 0.6 g으로 GSM에서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최대 농도 1,000 ${\mu}g$/ml에서 확인한 결과 GSM에서는 68.8% 그리고 GSE에서는 70.4%로 두 종류 추출물에서 높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DNA 손상 정도를 확인한 comet assay에서도 200 ${\mu}M$ $H_2O_2$에 의해 나타나는 DNA 손상에 대하여 GSM과 GSE는 DNA를 보호하는 활성이 있었다. 항당뇨 효과를 알아보는 $\alpha$-glucosidase 억제 실험에서 GSM은 17.9%, GSE는 10.3%이었으며, 처리시간을 증가하였을 경우에는 그 억제 정도가 GSM의 경우 25%이며, GSE의 경우 20%로 증가하여 항당뇨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당뇨병 치료에 대한 새로운 소재로써 조각자 추출물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콩나물 당 침지액의 항산화 효능 및 알코올 분해 효소 활성 연구 (Study of the Antioxidant and Alcohol-degrading Enzyme Activities of Soybean Sprout Sugar Solutions)

  • 김경미;정현정;성혜미;위지향;김태용;김기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81-587
    • /
    • 2014
  • 콩나물은 숙취해소에 좋은 식품으로 잘 알려져 있으나 콩나물 특유의 비린 맛으로 인해 가공식품 원료로 이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숙취해소효과로 잘 알려진 설탕 및 올리고당과 같은 당을 이용하여 콩나물의 비린 맛을 없애고 섭취를 용이하게 하며 항산화 효과 증진 및 숙취해소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고 실험을 설계하였다. 콩나물에 설탕과 올리고당의 2종류 당액($50^{\circ}Bx$)을 25, 50, 75%(w/w) 비율로 첨가하여 1, 3, 6, 12, 24시간 침지하였으며, 침지한 콩나물의 여액을 여과하여 콩나물 당침용액을 샘플로 사용하였다. 세포내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효과를 제외한 모든 실험 결과에서 올리고당이 대조구나 설탕 침지보다 DPPH radical 소거능, 알코올 분해능이 좋은 것을 확인하였다. 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ADH ALDH 효소 활성 실험 결과, 당액 첨가비율 25%에 비해 50%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띄었고, 50%와 75%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추출시간에 따른 항산화능과 알코올 분해능은 시간 증가에 따른 일정한 증가 추세는 나타나지 않았다. 추출 시간만을 고려하였을 때, DPPH radical 소거능 및 총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알코올 분해능 실험에서 1-3시간 추출 시 대부분 대조구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고 추출 시간이 길어질수록 오히려 활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더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할 때 콩나물을 올리고당 당액($50^{\circ}Bx$) 50% (w/w) 비율 이상의 수준에서 단시간 침지하여 추출하는 것만으로도 항산화능과 알코올 분해능이 좋은 콩나물 추출액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콩나물을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과량의 당액을 사용함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비용적인 절감의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석류씨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omegranate Seed Extracts)

  • 고종호;황명오;문주수;황성연;손종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71-17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석류씨의 물 추출물, 에탄을 추출물 및 석류씨 기름의 항산화 및 항균효과에 대하여 비교, 조사하였다. 석류씨의 물 추출물, 에탄을 추출물 및 석류씨 기름의 추출수율은 각각 28.9, 13.0 및 4.9%이었고 건조물에 대한 총 페놀 함량은 물 추출물은 47 mg/g, 에탄을 추출물은 78 mg/g, 석류씨 기름은 40 mg/g이었다. 1000 ppm에서 이들 추출물들의 전자공여능은 각각 18.8, 28.5 및 $9.7\%$이었다. 리놀레인산 기질에서의 항산화효과는 에탄을 추출물 > $\alpha-tocopherol$ > 물 추출물 > 석류씨 기름의 순이었고 리놀레인산 에멀젼 기질에서의 항산화효과는 $\alpha-tocopherol$ > 에탄을 추출물> 물 추출물> 석류씨 기름 순이었다. 항균효과의 경우, 석류씨 기름은 Micrococcus luteus, Salmonella enteritidis에 대해서, 물추출물은 Bacillus cereus, Escherichia coli에 대해서만 항균효과를 보였을 뿐, 에탄을 추출물의 경우에는 모든 균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2,000 ppm 농도에서 물 추출물 $27.5\%$, 에탄올 추출물 $23.7\%$, 석류씨 기름 $39.6\%$이었고, SOD 유사활성은 1,000 ppm의 농도에서 물 추출물 $15.9\%$ 에탄을 추출물 $34.9\%$, 석류씨 기름 $0.10\%$이었다.

토마토 분말 첨가 베이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gel Added with Tomato Powder)

  • 김경희;김영식;홍민서;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60-365
    • /
    • 2016
  • 토마토 분말을 베이글에 밀가루 대비 0(control), 3, 6, 9%를 첨가하여 만든 후 품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토마토 베이글 반죽의 밀도는 토마토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pH는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굽기손실률은 토마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수분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토마토 베이글 색도의 L값(명도)은 토마토 분말을 첨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a값(적색도)과 b값(황색도)은 토마토 분말을 첨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물성 측정 결과 경도는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의 값이 감소했으며, 탄력성, 응집성, 점착성, 씹힘성은 토마토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2-Diphenyl-1-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토마토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총 페놀 함량은 대조구가 1.53 mg GAE/100 g으로 가장 낮았고 첨가구가 2.56~4.91 mg GAE/100 g으로 토마토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평가 결과 외관, 색, 맛,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3% 첨가군이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어 개발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생각한다.

발효 흑대추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Fermented Black Jujube)

  • 홍주연;남학식;윤경영;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901-908
    • /
    • 2012
  • 본 연구는 건대추와 건대추를 이용하여 온도 $50^{\circ}C$, 습도 90%의 항온항습기에서 숙성시켜서 제조한 발효 흑대추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 항산화성을 평가함으로서 대추의 식품학적인 기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건대추와 발효 흑대추의 열수 및 70%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발효 흑대추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70%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에 비해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흑대추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열수 추출물이 70%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전자공여능은 건대추와 발효 흑대추의 추출물의 열수 및 에탄올 $1,000{\mu}g/mL$의 농도에서 각각 85.0% 이상의 전자공여능을 보였고, SOD 유사활성능은 발효 흑대추 추출물이 건대추 추출물에 비해 높았으며, 대체적으로 열수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pH 1.2에서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열수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발효 흑대추보다 건대추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건대추 및 흑대추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건대추에 비해 발효 흑대추 추출물의 저해활성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발효 흑대추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발효 흑대추는 우수한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흑마늘의 항산화 활성 최적화를 위한 추출조건 확립 (Establishment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the Optimization of the Black Garlic Antioxidant Activity Us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강재란;이수정;권효진;권민혜;성낙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77-585
    • /
    • 2012
  • 반응표면 분석에 의해 흑마늘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최적화할 수 있는 추출 조건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추출 조건은 중심합성계획(온도: 50~$90^{\circ}C$; 시간: 3~15 hrs; 용매의 에탄올 농도비: 0~100%)에 따라 15가지 조건으로 실험하였다. 흑마늘 추출물의 총 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thiosulfinate 함량과 항산화 활성은 J 조건($90^{\circ}C$, 9 hrs, 50%의 에탄올 농도비)에서 가장 높았다. 이때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66.10%,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75.02%, FRAP법에 의한 환원력은 375.4 ${\mu}M/mL$이었다. 반응표면분석 결과 흑마늘 추출물은 평균적으로 $89.68^{\circ}C$, 9.79 hrs 및 55.72% 에탄올 농도비에서 최적화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실측값은 예상값의 96.4~114.8%였다.

성숙도에 따른 대추(Ziziphus jujube Miller)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의 변화 (Changes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the Ziziphus jujube Miller Fruits During Maturation)

  • 홍주연;남학식;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712-719
    • /
    • 2010
  • 본 연구는 한방 약용자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추의 효능과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대추 열매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폴리페놀 화합물과 각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대추 추출물의 수율은 미숙 대추가 가장 낮은 11% 내외의 수율을 보였으며, 완숙 대추가 미숙 대추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율을 보였고, 건조 대추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55.67, 65.95%이었다. 대추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 모두 미숙 대추에서 가장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았고, 10.0 mg/mL의 농도에서는 천연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와 같이 90% 이상의 전자공여능을 보였다. SOD 유사활성능은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 하였으나, 미숙 대추의 열수 추출물에서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은 SOD 유사활성능을 나타내었다. 에탄올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능은 미숙 대추 추출물의 10 mg/mL의 농도에서는 39.92%의 SOD 유사활성능을 확인되었다. 대추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와 추출물의 1.0 mg/mL의 농도에서 50% 이상의 소거능을 보였으며, 미숙 대추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은 미숙 대추의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실험에 사용한 시료인 미숙 대추, 완숙대추, 건조 대추에는 항산화 물질의 대표적인 폴리페놀 물질도 다량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추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로서 항산화성도 우수한 것으로 보여 천연항산화제나 기능성 식품 및 다양한 식품개발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바네로 고추 초산발효물의 품질 특성 및 생리활성 분석 (Quality characteristics and bioactivity analysis of habanero red pepper (Capsicum chinense Jacq.) through ace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 박슬기;조승화;임은정;강현진;최동성;정도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768-774
    • /
    • 2021
  • Acetobacter pasteurianus SRCM101474로 발효한 하바네로 고추 발효액을 제조하고, 품질분석 및 생리활성 분석을 측정하였다. 발효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생균수가 증가하였고, pH는 감소, 산도는 0.34%에서 3.18%로 증가하였다. 하바네로 고추 초산 발효물의 유기산 함량은 acetic acid, citric acid, succinic acid, oxalic acid 순으로 확인되었고, 발효 종료 시 acetic acid 함량이 33413.54 ppm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매운맛 성분인 capsaicin과 dihydrocapsaicin 분석 결과 초산발효가 진행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보였다. 항산화 평가를 위해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발효 기간이 지날수록 총 페놀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하였고 항산화 활성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α-glucosidase 억제 및 pancreatic lipase 억제 활성도 발효 후에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보였다. 하바네로 고추의 초산 발효물의 항산화 활성 및 α-glucosidase, pancreatic lipase 억제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기능성 소재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발효 후 capsaicin이 증가함에 따라 매운맛 소재 및 이를 활용한 응용제품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