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s

검색결과 712건 처리시간 0.025초

곶감과 동충하초 첨가에 따른 청주(삼백주)의 발효 특성 변화 (Chang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in Brewing of Chungju(Sambaekju) Supplemented with Dried Persimmon and Cordyceps sinensis)

  • 이원영;이창호;우철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40-24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곶감과 동충하초의 첨가에 따른 청주(삼백주)의 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환원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발효가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알코올 함량의 변화 발효가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각 담금 후의 최종 알코올의 함량은 각각 5.8%, 11.4% 및 16.5%를 나타내었다. 총산의 함량과 아미노산도는 발효 과정에 따라 증가 추세를 보였다. 유기산 함량은 젖산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타의 유기산은 초산, 사과산, 호박산등은 검출되었으나 구연산과 주석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은 L- proline의 함량이 1151.7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총 유리 아미노산과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은 각각 1.19%와 217.70 ppm이었다.

잇바디돌김의 함질소 엑스성분조성 및 월별변동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and Their Monthly Variation of Fresh Laver Porphyra dentata)

  • 박춘규;박철훈;박정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79-588
    • /
    • 2001
  • 한국 남해안에서 양식생산되고 있는 김류의 함질소엑스성분 조성 및 월별 변동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8년 1월부터 4월까지 월별로 전남 장흥군에서 양식된 잇바디돌김, Porphyra dentata 생엽을 매월 1회씩 채취하여 맛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함질소엑스성분 즉, 엑스분질소, 유리아미노산, 결합아미노산, ATP관련화합물, 4급암모늄염기 등을 분석하여 방사무늬김, P. yezoensis와 비교하였다. 엑스분질소함량은 760~872 mg/100 g(건물)이었다. 유리아미노산은 27~31종이 분석되었으며, 그 총량은 2,404~3,966 mg/100 g(건물)이었다. 함량이 많은 유리아미노산으로서는 alanine, taurine, glutam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등이었다. 결합아미노산은 가수분해 후 16~23종에서 증가하였으며, 유리아미노산 총량의 36.0~112.0% 수준이었다. ATP관련화합물 총량은 73.3~94.4 mg/100 g(2.04~4.43 $\mu$mol/g, 건물)이었다. Be-taine류로서는 homarine과 trigonelline이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었고, $\beta$-alaninebetain과 ${\gamma}$-butyrobetaine은 일부시료에서 검출되었다. TMA는 모든 시료에서 확인되었으며, TMAO는 일부시료에서 분리되었다. 잇바디돌김 생엽의 함질소엑스성분 특징은 방사무늬김에서 처럼 유리아미노산과 결합아미노산 함량이 풍부하여 질소분포의 약 90%에 달하는 중요한 맛성분이었으나 그 성분조성의 월별 변동에는 다소 차이를 보여 대부분의 성분들이 1, 3월에 높고 2, 4월에 낮았다. 잇바디돌김은 방사무늬김에 비해 전반적으로 함질소엑스성분 함량이 약간 낮은 수준이었다.

  • PDF

산지, 성장조건 및 계절별 미꾸라지의 정미성분 비교 (Comparison of the Taste Compounds of Loach Differing in the Local, Growing Condition and Season)

  • 김희연;신재욱;심규창;박희옥;장영미;김현숙;허종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72-787
    • /
    • 2000
  • In this study, evaluation on the loaches from the various sources was carried out in respect of their taste compounds. The samples were classified by local, season and growing condition and evaluated in terms of composition, the refuse, contents of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total and free amino acid, organic acid and fatty acid. Evaluation on the compositions revealed the fact that, in terms of the local, the imported loach contain a low level of fat and high level of ash, in comparison with Korean loach; in terms of growing condition, cultured loach contains a high level of fat and low level of moisture, in comparison with wild loach; and in terms of the season, the summer loach contains less moisture than the fall loath; but as for the contents of other component, the summer loach was superior. As for the refuse, the imported loach had a greater refuse than the Korean loach. In the growing condition, the wild loach had lower value than the cultured loach. There was no substantial difference in each season. Also nucleotide and these related compounds were detected in all of the samples, while ATP was not found. The content levels of such detected compound did not show a substantial difference in each condition. However, generally, the imported loach was poor in such compound and all of the samples were high in IMP. The samples were high in total amino acids. The local and growing conditions showed no substantial difference, while in the season, the summer loach had a higher content of total and essential amino acid than the fall loach. As for the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similar distribution of the composition was shown in each sample, even though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ir constituents. Also, total content of free amino acid varied with the conditions of the samples. As for total content of organic acid and the distribution of the composition,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between each condition. In the season and growing condition, the summer loach was high in organic acid. As for the distribution of the fatty acid compositions, there was no substantial difference between each condition and each sample. In the case of the wild loach, the summer loach was high in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 and the fall loach was high in essential fatty acid. Similarly, in the case of the imported loach, the summer loach was high in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 and the fall loach was high in essential fatty acid.

  • PDF

칡뿌리의 유리당 및 아미노산 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ree Sugar and Amino Acids in Korean Arrowroot)

  • 신수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
    • /
    • 1997
  • 칡뿌리를 이용하여 가공식품의 개발에 필요한 과학적 자료를 얻기 위하여 시료를 시기별(7월, 11월, 2월), 형태별로 나누어 재료의 화학적 성질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채취시기에 의한 일반성분의 조성은 비슷하였으며 수분의 함량은 $60\sim70%$의 범위로 암칡에 많이 함유되었다. 유리당의 조성은 설탕이 주요 유리당이었으며 그 외에 과당, 포도당, ribose로 함유되어 있고 시기별로는 11월과 2월 칡시료에 많고 암칡에 더 많이 함유되었다. 총아미노산의 조성은 prol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가 높게 나타났다. cysteine과 methionine이 미량 함유되었다. 유황을 함유한 아미노산이 제한 아미노산이었다. 유리아미노산은 2월 암칡을 제외하면 모든 재료에서 약 50mg%이상 함유되었으며 histidine, alanine, serine, glutamic acid가 소량이었고 다른 유리아미노산들은 함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하급 잎담배의 열처리에 의한 성분변화 연구 (CHANCES IN THE SOME INGREDIENTS OF LOW GRADE TOBACCO LEAVES BY HEAT TREATMENT)

  • 김영회;장희진;박준영;김용태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9-55
    • /
    • 1985
  • low grade leaves of flue-cured (N.C. 2326) and air-cured (Br 21) have been heated at $140^{\circ}C$ for 10 and 20 minutes, respectively. As heating duration increased, each contents of nicotine, total nitrogen, total sugar and free amino acid decreased in both leaves. The result obtained from this experiment are as following 1. Nicotine content decreased in both leaves. Heating for 10 and 20 minutes showed respectively nicotine decrease of 13.2% and 21.6% for Br 21 and 8.2% and 13.2% for N.C.2326. Decrease of total nitrogen and total sugar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heating duration. N.C. 2326 in the decrease out numbered Br.21 by the ratio 2: 1 for 10min.-heating, and 5:4 for 20 min.-heating. 3. Total free amino acid was decrease by 17.1% and 13.85 for N.C. 2326 and Br 21, respectively when heated for 10 min., and 25.6% and 26.5% respectively when heated for 20 min. When sucrose was added to Br 21, th decrease ratio of total free amino acid of Br.21 was increased. It is suggested that the addition of sucrose could promote the browning reaction in Br 21 leaves.

  • PDF

늙은 호박의 부위별 화학성분 (Chemical Components in Different Parts of Pumpkin)

  • 박용곤;차환수;박미원;강윤한;석호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39-646
    • /
    • 1997
  • 늙은 호박의 부위별 이화학적 특성 연구로서 호박의 유리당, 유기산, 아미노산, 카로데노이드 및 펙틴물 질의 함량과 특성을 조사하였다. 호박의 중량에 대해 과육부위가 84%로 가장 높은 함유율을 나타내었고, 껍질이 10%, 내부 섬유상물질이 3.5%를 차지하였다. 호박의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과육부는 fructose와 glucose가 전체 유리당의 87%를 차지한 반면 내부 섬유상물질은 sucrose의 함량이 높았고, 총 유리당 함량은 과육부가 섬유상부위 보다 3배 높았다. 유리아미노산의 경우 과육부는 serine이 102.0mg%로 전체 유리아미노산의 45%, 섬유상부위는 aspartic acid가 241.3mg%로 70%를 차지하였으며, 총 아미노산은 호박의 부위에 관계없이 aspartic, glu-tamic acid의 순으로 함량이 높았다. 유기산은 malic, cit-ric, succinic, fumaric acid로 구성 되어 있었으나 malic acid가 과육의 경우 85.2mg%, 섬유상 부위의 경우 226.5mg%로서 전체 유기산의 63~70%를 나타내었다 총 카로테노이드의 함량은 내부 섬유상물질이 65.3mg%로 호박 총 카로테노이드의 87%를 차지하였고, 과육, 껍질은 각각 6.6, 3.3mg%였다. 호박의 가용성 펙틴 함량은 수용성 펙틴이 총가용성 펙틴의 58%를 차지하였고, 섬유상부위가 과육부에 비해 그들의 총 함량이 높았다. 가용성 펙틴의 분자량 분포를 조사한 결과 과육부의 펙틴이 섬유상에 비해 다소 분자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호박펙틴의 중성당은 rhamnose, arabinose, galactose, glucose로 분리되었고, 이중 과육은 galactose가 45%, 섬유상은 glucose가 36.5%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해안식물의 유리아미노산과 질소함량 (Free Amino Acid and Nitrogen Contents of the Coastal Plants in Korea)

  • 추연식;도정화;송승달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3호
    • /
    • pp.109-117
    • /
    • 1999
  • 32종의 해안식물(주로 염생식물)에 대한 유리아미노산 및 총질소함량을 조사하였다. 몇몇 종(참골무꽃과 해란초)을 제외한 모든 식물체는 Pro을 함유하였으나, 번행초, 등골나물아재비 및 갯무에서만, 높은 함량을 나타내어, 이들 식물에서 Pro은 세포질성 삼투물질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등대풀, 갯무, 갯방풍, 갯기름나물, 통보리사초, 왕잔디, 갯잔디 등의 식물은 Pro 보다는 hydroxylproline (OH-Pro)을 상당량 축적하였다. 총 아미노산은 갯개미취, 갯질경, 해란초, 순비기나무 및 특히 명아주과와 돌나물과 식물에서 낮은 값을 보였다. 또한 번행초, 등대풀, 갯무, 명아주과 및 콩과 식물은 보편적으로 총 질소 및 수용성 질소함량이 높았으나, 참골무꽃, 해란초, 순비기나무, 통보리사초 및 벼과 식물은 낮은 수준의 질소함량을 보였다. 대부분의 해안식물에서 유리아미노산은 총질소함량에 차지하는 비율이 낮았지만, 등대풀, 모래지치 및 둥근바위솔의 경우 아미노산 질소가 총질소함량의 25∼30%를 차지하였다. 결론적으로, 몇몇 예외는 있지만 세포질성 삼투물질로 널리 알려진 Pro은 조사된 해안식물의 유리아미노산 풀(pool)에서 유의한 몫을 차지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

  • PDF

메주의 발효기간에 따른 재래식 고추장 숙성 중 품질 특성의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a Meju of Different Fermentation Period during Aging)

  • 오훈일;박종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166-1174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고추장의 품질향상과 전통 고추장과 유사한 관능적 요인을 갖는 고추장을 제조하기 위해 고추장으로 유명한 전라북도 순창지방의 고추장을 모델로 설정하여 순창 현지의 미생물, 기후 등의 자연환경을 반영한 메주를 0, 20, 40, 60일 발효시켜 고추장을 제조하여 발효기간을 달리한 메주가 고추장 숙성 중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40일 발효 메주 고추장의 경우 숙성 90일 경과 후 총유기산의 함량이 다른 시험구에 비해 $1.14{\sim}2.54$배 높은 함량인 584.23 mg%를 나타났으며, 특히 lactic acid, succinic acid, citric acid의 함량이 다른 시험구에 비해 높았고, 바람직하지 못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pyroglutamic acid의 함량은 적었다. 고추장 숙성기간 중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가 검출되었으며 숙성이 진행되면서 이당류인 maltose와 sucrose는 감소하여 검출되지 않았으나 glucose와 fructose는 전체 유리당에 $82.27{\sim}100%$를 차지하는 것을 볼 때 고추장의 주요한 유리당으로 생각된다. 유리아미노산은 Asp를 포함한 17종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 Glu의 경우 0, 20일 발효 메주 고추장과 40, 60일 발효 메주 고추장간에 큰 함량차이를 보여 Glu가 고추장에 있어 구수한 맛의 주체 일 것으로 사료된다. 관능검사결과 고추장 품질에 바람직한 특성으로 생각되는 단맛, 구수한 맛, 알코올냄새 등은 숙성기간이 증가하면서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바람직하지 못한 특성인 쓴맛은 감소하였고 매운맛과 퀘퀘한 냄새는 불규칙한 증감현상을 보였다. 분산분석 실시 결과 고추장 숙성 30일부터 시료간의 유의성을 인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맛보다는 냄새의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호도 측면에서 볼 때 모든 시험구에서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냄새, 맛 모두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40일 발효 메주를 이용한 고추장의 경우 숙성 30일부터는 다른 고추장에 비해 냄새, 맛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표고버섯의 생육시기별 성분분석 - 표고버섯의 활용방안 연구 I - (Chemical compositions of Lentinula in growth stage - A study on application plan of Lentinula I -)

  • 조덕봉;현규환;나광출;최지호;서재신;강성구;김용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8-134
    • /
    • 2002
  • 1. 조단백질 함량은 갓과 대부위 모두 생육시기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다가 과숙기에서는 감소하였으며 조지방은 생육시기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회분과 환원당은 모두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2. 표고버섯에서 17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총 아미노산 함량은 버섯이 생육함에 따라 증가한 후에 과숙이 되면서 감소하였고, 다량 함유된 아미노산은 Glu, His, Gly 및 Gly 등이었다. 유리 아미노산의 경우도 총 아미노산과 유사한 경향이었다. 3. 무기질은 생육시기가 증가할수록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K는 감소하였으며, K와 P의 함량이 다른 무기성분보다 매우 높았다. 4. 표고버섯에 주로 함유되어 있는 지방산은 linole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였다. 5. 주로 함유되 있는 향기성분은 1-octen-3-ol이 가장 많아 향기의 본체로 추측되며 그 외에 ethyl acetate, 3-octanone, ethanol, (E)-2-octenal, 4-octen-3-one, acetaldehyde, ethyl formate도 다량 함유되어 있었으며 , 갓 부위와 대 부위의 함량을 비교해 본 결과 갓 부위에 다량함유되어 있었다.

재래식, 개량식 된장과 시판된장의 유리아미노산, 핵산과 그 관련 물질 함량 (The Compents of Free Amino Acids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in Soypaste made from Native and Improved Meju and Soypaste Product)

  • 김미정;이혜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9-72
    • /
    • 1988
  • 재래식, 개량식으로 만든 된장과 시판되는 된장의 맛성분중 유리아미노산과 핵산관련물질을 분석해 본 결과 지미성분으로 알려진 glutamic acid 함량은 개량메주로 담근 된장에서 월등히 많았고 총유리아미노산 함량도 역시 개량메주로 담근된장에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가지 시료에서 핵산관련물질의 총함량은 시판된장이 가장 높았고, 지미성분으로 알려진 GMP의 양은 개량메주에서 제일 많았으며, 시판된장, 재래식메주 된장의 순서였다. 발효기간이 많이 경과된 상태의 된장에서는 ATP, ADP, AMP 의 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