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in Brewing of Chungju(Sambaekju) Supplemented with Dried Persimmon and Cordyceps sinensis

곶감과 동충하초 첨가에 따른 청주(삼백주)의 발효 특성 변화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Chungju(Sambaekju) supplemented with dried persimmon and cordyceps sinensis was prepared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estimated during the brewing. Reducing sugar contents was decreased, ethanol contents was increased in the during fermentation, the final ethanol content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mash were 5.8%, 11.4% and 16.5%, respectively. Total acidity and amino acidity were increased in the during fermentation. The major organic acid was latic acid, acetic acid, malic acid and succinic acid were a little, and citric acid and tartaric acid were not detected. L-proline(1151.7 mg%) was major in free amino acid. the contents of total and essential amino acid were 11.19% and 217.70 ppm, respectively.

본 연구에서는 곶감과 동충하초의 첨가에 따른 청주(삼백주)의 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환원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발효가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알코올 함량의 변화 발효가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각 담금 후의 최종 알코올의 함량은 각각 5.8%, 11.4% 및 16.5%를 나타내었다. 총산의 함량과 아미노산도는 발효 과정에 따라 증가 추세를 보였다. 유기산 함량은 젖산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타의 유기산은 초산, 사과산, 호박산등은 검출되었으나 구연산과 주석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은 L- proline의 함량이 1151.7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총 유리 아미노산과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은 각각 1.19%와 217.70 ppm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성기욱 (1989) 탁. 약주의 제조와 판매현황. 한국식문화학지, 4, 287-292
  2. 문영근 (1993) 주세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생물산업, 6, 69-73
  3. 이철호 (1993) 한국 술의 역사. 생물 산업. 6, 66-68
  4. Shon, S.K., Rho, Y.H., Kim, H.J. and Bae, S.M. (1990) Takju Brewing of Uncooked Rice Starch Using Rhizopus Koji. Kor. J. Appl. Microbiol. Biotech., 18, 506-510
  5. Lee, C.H., Tae, W.T., Kim, K.M. and Lee, R.D. (1991) Studies on the Pasteurization Conditions of Takju. Kor. J. Food Sci. Technol., 23, 44-49
  6. O, P.S., Cha, D.J. and Sub, H.W. (1986) Alcohol Fermentration of Naked Barley without Cooking. Kor. J. Appl. Microbiol. Biotech., 14, 415-420
  7. 이철호 (1993) 한국술의 역사. 생물산업, 6, 58-65
  8. Choi, B.K. and Kim, Y.B. (1990) Ethanol Production by the Mixed Culture of Some Aspergilli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Kor. J. Food Sci. Technol., 22, 696-701
  9. Hong, S.W., Ha, Y.C. and Min, K.H. (1970) The biochemical constituents and their changes during the fermentation of Takju mashes and Takju. Kor. J. Microbial., 8, 107-112
  10. 박윤종, 이석건, 오만진 (1973) 탁주 효모에 관한 연구. 한국농화학회지, 16, 2-7
  11. Chang, K.J. and Yu, T.J. (1981)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Sokokju , and Commercial Yakju. Kor. J. Food Sci. Technol., 24, 307-312
  12. 김찬조, 최우영 (1981) 탁주 양조중 Thiamin의 소장에 관한 연구. 한국농화학회지, 24, 105-110
  13. 김찬조, 최우영 (1981) 탁주 양조중 Riboflavin의 소장에 관한 연구. 한국농화학회지. 24, 219-224
  14. 정지흔 (1967) 원료를 달리하는 탁주숙성원료 중의 유기산 및 당류의 검색에 관한 연구. 한국농화학회지, 8, 3944
  15. Chung, K.T. and Yu, D.S. (1971) Study on brewing of sweet potato starch. Kor. J. Microbiol., 9, 103-109
  16. 김성렬, 오만진, 김찬조 (1974) 감자를 이용한 탁주 제조에 관한 연구. 한국농화학회지, 17, 81-87
  17. 최경환, 김덕치, 서인보 (1975) 탁.약주원료 대체에 관한 시험양조. 국세청기술연구소보. 제3호
  18. Lee, J.S. and Lee, T.W. (1970) Studies on the Microflora of Takju brewing. Kor. J. Microbiol., 8, 116-121
  19. 김종협, 이근배 (1968) 방사선 조사에 의한 한국산 탁주 및 약주의 Shelf-life 연장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지, 7, 45-50
  20. Kim, M.C., Shim, K.H. and Ha, Y.R. (1978) On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Rice. Kor. J. Food Sci. Technol., 10, 299-304
  21. Lee, J.S., Kim, S.K., Kim, C.S. and Cho, M.H. (1983) Contents of Minerals and Amino Acid of Husked and Naked Barley. Kor. J. Food Sci. Technol., 15, 90-103
  22. 이미경, 이성우, 윤태현 (1994) 전통 누룩으로 빚은 발효주의 품질평가.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3, 78-85
  23. http://www.mushtech.org/main.html
  24. http://www2.rda.go.kr/rural/kb06/menu4.htrml
  25. Summer,J.B (1925) Dinitrosalicylic method of glucose J. BioI. Chem., 60, 393-398
  26. 국세청 (1994) 국세청기술연구소 주류분석규정, 73
  27. 신효선 (1989) 식품분석(이론과 실제). 신광출판사, 171
  28. 김찬조 (1963) 탁주 양조증 유기산 및 당류의 소장에 관한 연구. 한국농화학회지. 4, 33-37
  29. Park, S.K.., Park, P.S., Kim, G.Y., Kang, W.Y. and Lee, Y.G (1994) Changes of Alcohol , Free Amino Ac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during Brewing of Backiju,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4, 103-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