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 Amino Acid and Nitrogen Contents of the Coastal Plants in Korea

해안식물의 유리아미노산과 질소함량

  • 추연식 (동의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도정화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송승달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1999.06.01

Abstract

Thirty two species of coastal plants (mainly halophytes) were investigated for their free amino acids and the total and water-soluble nitrogen contents in leaves. All plants except some species (e.g. Scutellaria and Linaria) contained proline, but only Ageratum. Tetragonia and Raphanus in rather high amounts, that it can be thought to serve as a cytoplasmic osmolyte. In some plant species (Euphorbia. Glehnia. Peucedanum. Raphanus and monocotyledonous Carex and Zoysia), however, hydroxyproline. (OH-Pro) rather than proline were accumulated to a considerable extent. The concentrations of total free amino acids were low in Aster tripolium, Linaria. Lysimachia. Plantago. Rumex, Vitex and especially in the members of the Chenopodiaceae and Crassulaceae. Marked differences also occurred in the nitrogen levels. Aizoaceae, Chenopodiaceae, Convolvulaceae, Cruciferae, Euphorbiaceae and Leguminosae usually showed high values of total and soluble amino nitrogen, while the opposite was true for most of the Cyperaceae, Gramineae, Lamiaceae, Plantaginaceae, Scophuriaceae, and Verbenaceae. The free amino acids in the investigated plant species contributed very little to the nitrogen content, but in plants of Euphorbia, Messerschmidia and Orostachys. their amino acid-N made up for 25∼30% of the total nitrogen. In conclusion, only a few cases did proline known as compatible solute constitute a significant proportion of the free amino acid pool in coastal plants.

32종의 해안식물(주로 염생식물)에 대한 유리아미노산 및 총질소함량을 조사하였다. 몇몇 종(참골무꽃과 해란초)을 제외한 모든 식물체는 Pro을 함유하였으나, 번행초, 등골나물아재비 및 갯무에서만, 높은 함량을 나타내어, 이들 식물에서 Pro은 세포질성 삼투물질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등대풀, 갯무, 갯방풍, 갯기름나물, 통보리사초, 왕잔디, 갯잔디 등의 식물은 Pro 보다는 hydroxylproline (OH-Pro)을 상당량 축적하였다. 총 아미노산은 갯개미취, 갯질경, 해란초, 순비기나무 및 특히 명아주과와 돌나물과 식물에서 낮은 값을 보였다. 또한 번행초, 등대풀, 갯무, 명아주과 및 콩과 식물은 보편적으로 총 질소 및 수용성 질소함량이 높았으나, 참골무꽃, 해란초, 순비기나무, 통보리사초 및 벼과 식물은 낮은 수준의 질소함량을 보였다. 대부분의 해안식물에서 유리아미노산은 총질소함량에 차지하는 비율이 낮았지만, 등대풀, 모래지치 및 둥근바위솔의 경우 아미노산 질소가 총질소함량의 25∼30%를 차지하였다. 결론적으로, 몇몇 예외는 있지만 세포질성 삼투물질로 널리 알려진 Pro은 조사된 해안식물의 유리아미노산 풀(pool)에서 유의한 몫을 차지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