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bacterial counts

검색결과 346건 처리시간 0.036초

도축폐수에서 분리된 Aeromonas hydrophila에 의한 도축폐수의 성상 변화 (Change of components in the slaughter waste by Aeromonas hydrophila isolated from slaughter waste)

  • 손연주;박재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10호
    • /
    • pp.1079-1084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heck changes of components in the slaughter waste by the bacteria isolated from slaughter wastes from Gyungnam Province from May to June 2000, and to find usefu] organism for treatment of the waste. Bacteria used in this study were Aeromonas hydrophila, as the dominant of the waste. Optimum conditions for bacterial culture were obtained as the temperature of 35$^{\circ}C$, pH 6.5, and shaking of 120 rpm in nutrient broth. The mean values of dissolved oxygen was 4.14 mg/1; biochemical oxygen demand, 1731.21 mg/1; ratio of BOD/COD, 0.53-0.64; ratio of T-P/T-N, 1.0-1.41; and viable counts of the waste, 5.47${\times}$10$\^$7/ CFU. Little change in total nitrogen observed by 36 hr of the culture. The largest amount of increasing NH$_4$$\^$+/-N was observed in the sample that 10% of the waste added in nutrient broth with A. hydrophila showing the value of 29.19 mg/l at the beginning to 570.36 mg/1 by 36 hr of culture. However, the highest increasing ratio between initial amount and finals at 36 hr of culture showed as 41.6 times when 3% of the waste added. NO$_3$ -N was decreased showing the value of 71.27 mg/1 to 32.14 mg/1 by 24 hr of culture with the organism when 10% of the waste added in nutrient broth. Total phosphorus was decreased showing the value from 188.74 mg/1 to 101.41 mg/1 after 12 hr of culture with the organism when 5% of the waste added in nutrient broth, while T-P was decreased gradually by 24 hr of culture from 193.8 to 101.4 mg/1 when 10% of the waste added.

감마선 조사 마(Yam)즙의 미생물학적 및 일반품질 특성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he microbiological and gener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 yam juice)

  • 송현파;김복덕;신은혜;송두섭;이현자;김동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94-499
    • /
    • 2010
  • 마즙의 위생성 및 보존성 향상을 목적으로 0, 1, 3 및 5 kGy의 선량으로 감마선을 조사하고 $5^{\circ}C$에서 보관하면서 8일간 마즙의 미생물학적, 일반품질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마즙의 호기성세균 및 대장균군은 각각 1.26 및 1.34 kGy의 $D_{10}$값을 보였으며, $5^{\circ}C$ 저장에 따라 3 및 5 kGy 조사구의 경우 검출한계 이하의 균수를 유지하였다. 효모 및 곰팡이의 D10값은 0.29 kGy로 일반호기성균 및 대장균군 보다 감마선에 높은 감수성을 보였으며, 모든 조사구의 경우 냉장저장에 따라 검출한계 이하의 균수를 나타내었다. 감마선 조사에 따른 마즙의 점성은 조사 선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 마즙 특유의 고점성으로 인한 단점을 보완하여 음용의 편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마즙의 $L^*$값은 감마선 조사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냉장저장에 따른 $L^*$값의 감소율은 비조사구가 가장 켰으며, $b^*$값 또한 감마선 조사에 의해 증가해 갈변이 일어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3 및 5 kGy 마즙은 맛을 제외한 조직감, 색, 냄새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비조사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1 kGy 조사구는 냄새와 색을 제외하고 비조사구와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조사에 따른 색의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항산화제 첨가 또는 포장방법 및 방사선 조건 등에 대한 좀 더 다양한 연구가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약 1 kGy 감마선 조사와 냉장저장을 병행함으로써 마즙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물 및 에탄올 추출을 통해 제조된 홍삼 추출물의 첨가가 저장 중 가열 돈육패티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ed with Water and Ethanol on the Qualities of Cooked Pork Patties During Storage)

  • 김일석;양미라;진상근;박재홍;추교문;김재영;강석남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5호
    • /
    • pp.475-481
    • /
    • 2013
  • 본 연구는 홍삼에탄올 (EE) 및 물 추출물(WE)이 가열 돈육 패티의 저장 중 품질특성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DW 0.5% 이상에서 1% EE에서 대조구보다 낮은 pH 감소를 보였으며, 보수력은 0.5% 이상의 DW 에서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방산화억제능 및 총균수 억제능은 모든 추출물의 0.25% 이상 첨가구에서 대조구보다 낮게 나타났다. 육색의 경우 0.5% 이상의 EE, DW가 대조구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지방산화억제 및 총균수 감소를 위해서는 추출물의 종류와 관계없이 0.25% 이상이 유효하며, 보수력 상승은 모든 농도의 에탄올추출물은 효과가 없으며, 0.5% 이상의 물 추출에서 효과를 보였다.

시판(市販) 발효유(醱酵乳)의 미생물학적(微生物學的) 연구(硏究) (Microbiological Studies on the Commercial Fermented Milks)

  • 김종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5권2호
    • /
    • pp.87-92
    • /
    • 1978
  • 시판(市販)되고 있는 발효유(醱酵乳)의 미생물학적(微生物學的) 성상(性狀)과 보존온도(保存溫度)에 따른 미생물(微生物)의 소장상태(消長狀態)를 확인(確認)하기 위하여 시판(市販) 발효유(醱酵乳)를 1978년(年) 7월(月)부터 10월(月)까지 수집(蒐集)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발효유중(醱酵乳中)에 함유(含有)된 생균수(生菌數)는 $50{\times}10^6$ 내지 $73{\times}10^7$, 유산균수(乳酸菌數)는 $40{\times}10^6$ 내지 $62{\times}10^7$였으며 대장균수(大腸菌秀)는 음성(陰性)을 나타내었다. 2. 발효유(醱酵乳)의 산도(酸度)는 0.468%~0.668%로서 대부분 기준(基準)에 달(達)하나 낮은 편이었다. 3. $5^{\circ}C$ 보존(保存)에서는 산도(酸度)의 변화(變化)가 거의 없었으며 $20^{\circ}C$ 보존(保存)에서는 평균(平均) 22.55%, $30^{\circ}C$ 보존(保存)에서는 평균(平均) 117.66%의 산도(酸度) 증가현상(增加現象)을 나타내었다. 4. 생균수(生菌數는) $5^{\circ}C$로 보존(保存)할 해 96시간(時間)에 이르기까지 큰 변화(變化)가 없었으며 보존온도(保存溫度)의 상승(上昇)에 따라 세균수(細菌數)는 24시한(時閒)까지 증가(增加)하다가 점차적(漸次的)으로 감소(減少)되었다. 5. 유산균수(乳酸菌數)는 $5^{\circ}C$로 보존(保存)할 때 가장 감소율이 적었으며 보존온도(保存溫度)가 상승(上昇)함에 따라 균수(菌數)는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 PDF

미생물 및 생화학적 질량역적분석에 의한 퇴비화단계별 부숙도 평가 (Assessment of Compost Maturity on Their Different Stages with Microbial and Biochemical Mass Dynamics)

  • ;최홍림
    • 유기물자원화
    • /
    • 제17권4호
    • /
    • pp.36-47
    • /
    • 2009
  • 유기물의 퇴비화과정중 미생물과 이에 관련된 퇴비의 생화학적 질량의 변화는 퇴비화공정 최적화와 최종산물의 품질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퇴비화단계중 미생물과 관련 생화학적 변수의 질량변화가 퇴비부숙도의 기준으로서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전국 5개 퇴비공장 (용인축협, 양평축협, 논산축협, 전주연초, 지리산낙협)에서 세 단계 (초기, 부숙, 후숙)의 퇴비시료를 채취하여, Total Aerobic Bacteria(TAB), Coliforms, Escherichia coli, Actinomycetes, Fungi 등의 군집농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5개 퇴비공장의 시료에서 Coliforms과 E.coli는 부숙단계에서 급격히 감소되어 후숙단계에서는 완전 사멸되었으나 다른 미생물은 완전 사멸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Coliforms과 E.coli 군집을 부숙도의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미생물탄소질량/질소질량비 (MBC/MBN)는 부숙단계에서 약간 감소하였으며, 후숙 단계에서는 증가하였다. 이는 부숙단계에서 Coliforms, E. coli, Fungi 등의 군집감소 때문으로, 후숙단계에서는 Fungi 및 TAB 군집증가 때문으로 이해된다. 또한 중금속성분 농도는 방선균 군집과 매우 강한 음(陰)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성과는 Coliforms과 E.coli 군집 농도를 퇴비부숙도 기준으로 제시하였으며, 중금속농도와 미생물군집농도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퇴비품질의 평가기준을 제시한 데 있다.

  • PDF

블루베리 첨가 막걸리의 발효특성 (Characteristics of Blueberry Added Makgeolli)

  • 전미향;이원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44-44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블루베리를 첨가하여 막걸리를 제조하였으며, 블루베리 함량 차이에 따른 막걸리의 발효특성을 비교하였다. pH는 담금 직후 대조군(0%)이 6.6로 가장 높았고, 블루베리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다소 낮았다. 모든 시험구에서 발효 2일 후 pH가 현저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최종 pH는 3.7~3.8이었다. 총 산도는 발효 3일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이후 완만히 증가 또는 감소하여 발효 종료 후 1.0~1.1%로 나타났다. Brix 당도는 담금 직후 1.8~2.2 Brix이었으며, 대조구가 가장 낮았고 블루베리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발효 2일 후 각 시험구의 당도는 13.9~15.3 Brix로 최대값을 나타냈고, 이후 발효 종료 시까지 당도는 완만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환원당은 발효초기 8.0~8.5%로 모든 시험구에서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발효 2일 경과 시에 8.0~8.5%로 모든 시험구에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대조구 및 블루베리 20% 첨가구가 기타 시험구에 비해 다소 높았다. 발효 3일 이후 알코올 발효과정의 진행으로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대조구가 블루베리를 첨가한 시험구에 비해 다소 낮게 유지되었다. 알코올 함량은 모든 시험구에서 발효 3일까지 급격히 증가하였다. 대조군과 블루베리 5% 첨가구의 경우 발효 종료 시 최대값을 나타냈으며, 블루베리를 10% 이상 첨가한 시험구의 경우 알코올 함량이 최대값을 나타낸 발효일수는 4~5일로 나타났다. 총 균수 및 효모 균체수는 모든 시험구가 발효 3일째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결과 색상의 경우 대조군이 6.1로 가장 높았고, 블루베리를 20% 첨가한 시험구가 가장 낮은 4.6로 나타났다. 향은 유의수준 p<0.05에서 유의수준에 차이가 없었고, 모든 시험구에서 보통 이상의 기호도를 보였다. 블루베리를 10% 이하로 첨가 시 종합적 기호도가 우수하고, 블루베리 막걸리의 개발 상품화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절임 공정 중 절단 배추의 품질 향상을 위한 maltodextrin과 grape seed extract 첨가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supplementation with maltodextrin and grape seed extract for improving quality of shredded Korean cabbage (Brassica rapaL. ssp. Pekinensis) during salting process)

  • 박상언;최은지;정영배;한응수;박해웅;천호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913-922
    • /
    • 2016
  • 본 연구는 절단 절임배추의 미생물학적 안전성과 품질확보를 위해 maltodextrin(MD)과 grape seed extract(GSE)를 첨가한 새로운 절임 조건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반응 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10.09~10.32% NaCl, 9.45~10.00% MD와 234~300 ppm GSE를 병합한 절임염수와 5.68~5.94 hr의 절임시간이 절단 배추의 최적 절임 조건으로 나타났다. 이 절임 조건하에서 절단 배추의 총호기성 세균과 효모 및 곰팡이 수는 3.33과 1.45 log CFU/g까지 각각 감소한 반면 관능적 품질인 맛, 조직감과 종합적 기호도는 6점 이상의 높은 점수를 유지하였다. 또한 이 절임조건은 절임 중 적절한 배추의 중량감소율인 15~23%와 절임배추의 최적 염도인 1.5~2.0%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MD와 GSE가 첨가된 절임염수는 배추의 위해미생물 감소뿐만 아니라 품질유지에 효과를 보여줌으로써 김치 제조를 위한 배추의 절임공정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학교식당 및 교실배식 과정 전·후 미생물 오염에 관한 연구 (Assessment Report of Bacterial Contamination in Some School Dining Services with Table Swabs and Air Samples)

  • 정해용;손주혜;이재윤;이인애;고지연;고나윤;박성준;고광표;김성균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397-404
    • /
    • 2015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icrobial contamination in the school food service environment for the assessment of microbial food safety. Methods: We collected both swab samples from tables and desks and airborne bacterial samples from an elementary school (School A) and a high school (School B). Heterotrophic plate count, total coliform, Staphylococcus aureus, and Bacillus cereus were measured with selective media to quantify microbial concentration. PCR assay targeting 16S rRNA gene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strains of S. aureus and B. cereus isolated. In addition, we made a food service checklist for the locations to evaluate the food service environment. A Wilcoxon test was employ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microbial concentration between before lunchtime and afterwards. Results: Heterotrophic plate counts showed higher levels after-lunch compared to before-lunch at School B. However, levels of S. aureus were higher in the after-lunch period (p<0.05) in both classrooms and in the cafeteria in School A. B. cereus was only sparsely detected in School B. Several samples from food dining carts were found to be contaminated with bacteria, and facilities associated with food delivery were found to be vulnerable to bacterial contamination. Although microbial concentrations in the air showed littl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lunchtime in the cafeteria in School A, those in classrooms were greater after-lunchtime at both schools.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ed that the microbial safety in schools after lunchtime of concern. Necessary preventive measures such as hygiene education for students and food handlers should be required to minimize microbial contamination during food service processes in schools.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의 유전독성 평가 (Genotoxicity Study of Litsea japonica Fruit Flesh Extract)

  • 윤지현;박인재;박성환;최구희;김현정;조주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07-213
    • /
    • 2018
  • 본 연구는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LJF-HE)의 유전독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유전독성연구는 OECD와 MFDS(Korea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지침에 따라 복귀돌연변이시험, 염색체이상시험, 마우스 골수세포를 이용한 소핵시험을 실시하였다. 세균을 이용한 복귀돌연변이시험은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LJF-HE) 처리군에서 S9 mix 존재유무에 상관없이 복귀돌연변이 콜로니 수는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증가 양상을 나타내지 않은 반면에 양성 대조물질에서 유발된 복귀돌연변이 콜로니 수는 대사활성계 미적용(S9-) 및 적용(S9+)의 모든 시험 균주에 대하여 음성(용매)대조 값의 2배를 넘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염색체 이상 시험에서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LJF-HE) 처리군에서 모든 세포주의 처리시간 및 S9 mix 존재유무에 상관없이 5%미만의 비정상적인 염색체이상을 나타내었으나,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변화는 없었다. 소핵시험은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LJF-HE) 처리군에서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소핵을 가진 다염성 적혈구의 증가는 볼 수 없었으며 통계학적인 유의성도 나타나지 않았다. 상기의 결과를 종합하면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LJF-HE)은 유전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Electron Beam 조사가 고추장 분말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on Beam Irradiation on the Quality of Kochujang Powder)

  • 권훈;이정은;김정숙;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55-662
    • /
    • 2000
  • 전자선을 이용하여 고추장분말의 살균 방법으로 연구하고자 살균효과 및 이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감마 선과 비교 검토하였다. 고초장분말의 미생물 농도는 총세균이 105~106 CFU/g, 효모 및 곰 팡이는 낮은 농도로 검출되었으며 대장균군은 음성으로 나타났다. 총세균은 5~7.5 kGy의 전자선 조사에 의해 1~2 log cycles 정도의 감균효과를 보였고, 10 kGy 조사구에서는 104 CFU/g 이하로 낮아져 미생물학적 품질개선 효과를 달성할 수 있었다. 전자선의 감균효과는 감마선과 거의 유사하였으며, 살균처리 후 실온에서 4개월 간 저장된 시료의 미생물 생육 전반적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총세균의 방사선감수성 (D10값)을 측정해 본 결과, 전자선은 2.88~3.02 kGy, 감마선은 3.57~3.59 kGy 범위로 에너지의 종류에 따라 다소 상이한 값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고추분말의 미생물학적 품질개선이 가능한 7.5~10 kGy 범 위의 전자선 조사는 기계적 색도, capsaicin, 지방산 조성 및 관능적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 지 않았다. 그러나 전자선 조사 후 저장 중 시료의 capsanthin 함량과 TBA가는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었으므로, 방사선 조사 시기는 사용하기 직전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