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le

검색결과 2,233건 처리시간 0.024초

입원환자 낙상 발생 실태와 원인에 관한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Fall Incidence Rate and Its Related Factors of Fall in Inpatients)

  • 김철규;서문자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10-228
    • /
    • 2002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fall incidence rate and its related factors of fall in inpatient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138 fall incident reports in one tertiary hospital in Seoul from April 1st 1999 to September 30th 2001. The Fall Incident Report Form was originally developed based on that of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revised in 1995. And this was modified for this survey by the collaborating work of QI team including researcher and department of nursing service of this particular hospital. The contents of Fall Incident Form wer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tient. factors related to fall. types and places of fall. circumstances, nursing interventions. and outcome. Results: 1) The incidence rate of fall was 0.08% of total discharged patients and 0.081 per 1000 patient-day. This incidence rate is much lower than that of several hospitals in USA. This finding might result from the different incidence report system of each hospital. 2) The characteristics of fall-prone patient were found as follows. They were mostly over 60 years old, in alert mental status, ambulatory with some assistance, and dependent on ambulatory device. The types of diseases related high incidence rate were cerebrovascular disease(3.2), hypertension(1.6), cardiovascular disease(1.4), diabetes(1.3) and liver disease(0.6). 3) The majority of fall events usually occurred m bed. bedside(walking or standing) and bathroom in patient room. Usually they were up on their own when they fell. And there were more falls of elderly occurred during night time than day or evening. 4) 63.8% of fall events resulted in physical injuries such as fracture and usually the patients had diagnostic procedures and some treatment(ex. suture) which caused additional cost to th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5) The found risk factors of fall were drugs(antihypertensive drug, diuret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like too high bed height, long distance of bedside table and lamp switch, and slippery tile of bathroom floor. Conclusion: Considering these results, every medical and nursing staff should be aware of the risk factors of patients in hospital, and should intervene more actively the preventive managements, specially for the elderly patients during night.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the development of Fall Prevention Programs based on these results.

  • PDF

캡슐및 비캡슐 비피더스균 첨가 요구르트의 섭취에 따른 장내균총 및 분변성상의 변화 (Changes of the Intestinal Microflora and Fecal Properties by Intake of Yoghurt Added Capsulated or Uncapsulated Bifidobacteria)

  • 류병희;조수현;하상우;박기문;강국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21-225
    • /
    • 1998
  • Y-CB와 Y-UCB를 음용하였을 때, 장내 비피더스균수, 유산간균수, 대장균수 및 분변의 pH, 수분함량(%) 등 장내환경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였다. 시험 대상자는 20~30세의 건강한 성인 남녀 14명으로 하였으며 평상시의 분변 상태를 조사한 다음 요구르트를 하루 2병씩 식후에 음용하도록 하였다. 음용시험의 방법은 Y-CB와 Y-UCB를 2주간 1차 음용 시험후 2주간의 음용 중단 기간을 가졌으며, 다음 제2차 음용시험으로서는 1차 음용시의 공시요구르트를 교차음용 하면서 분변상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Y-UCB의 음용중에는 음용전과 비교하여 비피더스균수(p<0.01)와 유산간균수(p<0.05)는 유의성있게 증가하였고, 수분, pH, 대장균수에는 변화가 없었다. Y-CB의 음용은 음용전과 비교하여 비피더스균수는 증가하였고(p<0.01), 대장균수는 감소하였으며(p<0.05), 유산간균수, 수분, pH는 변화가 없었다. 두 개의 공시 요구르트를 음용 전과 비교하면 음용중단 후에도 비피더스균수가 증가하였고, 낮은 pH를 지속하였으며, 유산간균수, 수분, 대장균수의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유산균발효유의 음용효과(비피더스균수, 유산간균수, 대장균수, pH, 수분함량의 변화측정 ) 비교에 있어서 본 실험에 사용한 Y-CB나 Y-UCB는 어느 것이나 거의 동등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 PDF

RBC를 이용한 양어장수 암모니아 제거 (Ammonia Removal by using RBC in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 김병진;임성일;서근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622-630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양식장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RBC 반응기를 모의 순환 여과식 양어장에 적용하여 어류에 유해한 암모니아성 질소의 사육조 내의 농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는 운전인자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시스템에서 사용된 회전원판 반응기의 최적 원판회전수는 4 rpm으로 가장 안정 적으로 생물막이 유지되고 가장 높은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수리학적 체류시간의 증가에 따라 회전원판반응기의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율은 증가하여 40분의 수리학적 체류시간에서 $95.3\%$로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사육조의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는 $2.33 g/m^3$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20분의 수리학적 체류시간에서는 암모니아성 질소의 제거율은 $62.2\%$로 실험조건 중 가장 낮았으나 사육조의 암모니아성 질소농도는 $1.03 g/m^3$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시스템에서 순환수의 유량 $Q_1$와 보충수의 유량 $Q_s$의 비인 D의 변화에 따른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율의 변화는 다음의 2차선형 회귀 곡선으로 잘 표현되었으며 이를 사육조의 물질수지식에 적용하여 수리학적 체류시간의 변화에 따른 사육조 내의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 변화를 추정해본 결과 실험치와 거의 일치하였다. $$R=-6.1158\times10^{-7}D^2+1.4629\times10^{-5}D+0.9643 (r^2=0.9982)$$ 수학적 해석의 결과 사육조의 암모니아성 질소 발생량이 $45g/m^3$ rearing tank/day이고 보충수의 양이 사육조부피의 $10\%$일 경우 최적 순환비 ($D_{OPT}$)는 733으로 반응기 기준의 수리학적 체류시간은 9.82분이었으며 이때의 사육조의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는 0.95g $TAN/m^3$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OD의 제거율은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9.5분일 경우 $18\%$를 나타내었으며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제거율도 선형적으로 증가하여 40분의 체류시간에서는 $35\%$의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 PDF

개 조개 Saxidomus purpuratus(SOWERBY)의 증식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IES ON THE PROPAGATION OF SAXIDOMUS PURPURATUS(SOWERBY))

  • 김안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권3_4호
    • /
    • pp.92-98
    • /
    • 1971
  • 부산 항만내 영도 앞바다에서 1967년 9월부터 1968년 10월까지 사이에 채집된 개조개에 대해 비만도와 수은의 계절적인 변화와, 각장과 전중량, 각고와 전중량, 각장과 각폭, 각고와 각폭의 관계를 조사했다. 비만도의 변화는 수온의 변화와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생식소 발달 과정과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어 3월 이후 5월까지 점점 높은 값을 보였고, 고온인 8월에는 비만도는 오히려 일시적인 낯아짐을 보였다. 주산란기인 8월하순부터 10월 중순까지 사이에 비만도의 값은 연중 최고값을 보이고, 이후 낮아짐을 볼 수 있었다. 수온이 차츰 낮아져 $10^{\circ}C$ 이하로 되는 $1\~2$월에는 비만 속도는 연중 최소값을 보였다. 각장과 전중량 $$W=0.4749L^{2.62307}$$(수), $$W=0.3438L^{2.77993}$$(암) 각고와 전중량 $$W=0.3221L^{3.06661}$$ 각폭과 전중량 $$W=3.5868L^{2.46646}$$과 같은 곡선식을 보였고, 각장자 각고 Y=0.818x+0.292 (상관계수 r=0.958) 각장과 각폭 y=0.520x+0.200(상관계수 r=0.799)각고와 각폭 y=0.499x+0.516 (상관계수 r=0.773)과 같은 직선을 보였다.

  • PDF

한국산 민물 새우류에 관한 생물학적 연구 1. 징거미의 상대 성장 (BIOLOGICAL STUDIES ON THE FRESHWATER SHRIMPS OF KOREA 1. Relative Growth of Macrobrachium nipponensis (de Haan))

  • 정경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1-76
    • /
    • 1970
  • 낙동강에서의 징거미 (M. nipponensis)의 상대 성장을 암수별로 조사한 결과 두흉갑장과 체장의 회귀 관계는 암수사이에 유의의 차가 없었으나 제2보각의 각절은 뚜렷한 차이가 있었고 그 회귀 관계는 다음과 같다. 1. 두흉갑장(X)과 체장(Y) : Y=2.68996X+1.14784 in female. Y=2.73121X+1.10827 in male 2. 두흉갑장(X)과 기절(Y) : Y=0.16910X-0.06422 in female Y=0.19410X-0.06075 in male 3. 두흉갑장(X)과 좌절(Y) : Y= 0.48524X-0.10812 in female. Y= 0.69052X-0.28616 in male 4. 두흉갑장(X)과 장절(Y) : Y=0.51217X-0.04088 in female. Y= 1.9792X-0.98258 in male 5. 두흉갑장(X)과 완절(Y) : Y=0.87701X-0.33919 in female. Y=2.00091X-1.64116 in male 6. 두흉갑장(X) 전절(Y) : Y= 1.04672 X-0.50727 in female. Y=2.67663X-2.40488 in male 7. 두흉갑장(X) 과 지절(Y) : Y=0.26366 X+0.15743 in female. Y=1.04866 X-0.67781 in male

  • PDF

김치 유산균의 Caco-2 세포막 부착성 및 Aflatoxin B1 제거 효과 (Adhesion of Kimchi Lactobacillus Strains to Caco-2 Cell Membrane and Sequestration of Aflatoxin B1)

  • 이정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81-585
    • /
    • 2005
  • 김치의 발효와 숙성 에 관여하는 2종의 유산균과 3종의 유제품으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을 Caco-2 세포 부착성과 $AFB_1$ 흡착능에 대해 비교 검토하여 보았다. 또한 유산균을 생균군, 열처리군, 강산처리군으로 나누어 유산균의 부착성 및 흡착력이 세포벽의 구조와 관련이 있다는 보고를 재확인하고자 하였다. L. plantarum KCTC 3099의 경우 Caco-2 세포 부착성이나 $AFB_1$ 흡착능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것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L. rhamnosus GG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L. mesenteroides KCTC 3001은 Caco-2 부착성은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AFB_1$ 흡착능은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Caco-2세포에 결합하는 부위와 $AFB_1$에 결합하는 부위가 일치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유산균의 처리방법에 따라서도 다양한 차이를 보였는데 본 실험에서는 강산처리군의 경우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포벽의 주된 구조인 peptidoglycan과 polysaccharides이 강산의 처리에 의해 결합이 파괴되면서 Caco2 세포 부착성이나 $AFB_1$ 흡착능의 상승에 영향을 미쳤으리라 여겨진다. 하지만 강산처리에 의한 세포벽의 변화는 비특이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동일한 형태로 모든 유산균에 적용 되기는 어려울 것이며 각 유산균종의 세포벽 구조와 특이 성분의 함량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사료된다.

자구자(Hovenia dulcis Thunb) 추출물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고혈당 생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on the Hyperglycemic Mice Induced with Streptozotocin)

  • 김정상;나창수;은종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632-637
    • /
    • 2005
  • 본 연구는 streptozotocin(STZ)을 투여하여 고혈당이 유발된 생쥐에 지구자(Hovenia dulcis) 추출물의 투여가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대조군(Con군)은 STZ로 고혈당을 유발한 후 생리식염수 2 mL/kg를 투여하였으며, 실험군은 고혈당이 유발된 생쥐에 지구자 추출물 0.01 g/kg(H1군)과 0.049/kg(H2군)를 매일 5주간 구강 투여하였다. 체중은 CG군이나 H1군에 비하여 H2군에서 가장 높았다. 혈당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H1군과 H2군 모두에서 전반적으로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당내성 검사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H1군과 H2군 모두에서 우수한 소견을 보여주었다. 인슐린 면역조직화학 결과 대조군 췌장의 췌장섬은 파괴되어 있었으나, H1군과 H2군에서는 인슐린-양성 세포들이 다수 관찰되었다. IGF-I과 II의 면역조직화학 결과 대조군에서는 소수의 샘포세포에서 양성반응을 보였으나, H2군에서는 다수의 샘포세포에서 아주 높은 면역반응성을 보여 주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지구자 추출물은 STZ로 유발된 손상으로부터 $\beta$-세포의 회복 또는 재생과 췌장 샘포세포의 IGF발현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납투여한 흰쥐의 헴합성과 적혈구 중의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녹차, 감잎, 홍화 열수추출물의 영향 (Effect of Water Extract of Green tea, Persimmon Leaf and Safflower Seed on Heme Synthesis and Erythrocyte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Lead-Administered Rats)

  • 김명주;조수열;장주연;박지윤;박은미;이미경;김덕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91-196
    • /
    • 2003
  • 한국전통차로 알려진 녹차, 감잎 및 홍화의 열수추출물이 납투여된 흰쥐의 헴합성과 적혈구 중의 항산화효소 활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체중 kg당 25 mg의 납을 매주 1회 경구투여 하였다. 녹차잎, 감잎 및 홍화 열수추출물은 매일 일정시간에 체중 kg당 1.26 g 수준이 되도록 4주간 경구투여하여 사육한 결과 헤마토크릿치, 헤모글로빈 함량 및 적혈구 수는 납 단독투여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나 녹차, 감잎 및 홍화 열수추출물 급여로 감소 정도가 완화되었다. 혈액과 간조직 ALAD 중의 활성은 정상군에 비하여 납 단톡투여 군이 유의 적으로 감소되었으며, 한국전통차 열수 추출물 급여시 활성이 정상 수준 가까이 회복되었는데 그 효능은 혈액학적 성상 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장 중 AST, ALT활성은 정상군에 비하여 납 단독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각각의 열수추출물 급여시 납에 의한 활성 증가가 현저하게 억제되어 정상수준으로 회복되었으며 한국전통차 종류에 따른 차이는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감잎과 홍화가 효과적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적혈구 중의 SOD와 CAT활성 및 GSH 함량은 납 단독투여시 유의적으로 증가되고 GSH-Px 활성은 감소된 반면, 녹차, 감잎 및 홍화 열수추출물 급여시 납으로 인한 적혈구의 항산화효소 활성변화가 완화되었다

가축질병 균주에 대한 오배자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Rhus javanica Extracts Against Animal Husbandry Disease-Related Bacteria)

  • 최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214-1220
    • /
    • 2003
  • 오배자 추출물을 제조하여 가축질병에 관련이 있는 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오배자 추출물은 그람양성균에 대해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그 중 S. epidermidis와 L. monocytogenes에서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오배자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 MeOH추출물은 0.6 ∼ 12 mg/mL의 범위였으며 EtOH추출물은 0.2 ∼ 16 mg/mL 농도에서 항균활성을 보였고 오배자 분획물의 항균활성은 EtOAc층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열과 pH에 의한 항균활성 변화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균주에서 항균력의 차이를 보였다. 오배자 추출물의 미생물 증식 억제 효과를 조사하기위해 증식 배지에 0, 100, 300 및 500 ppm의 추출물을 첨가하여 균주의 증식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그람양성균인 S. aureus와 S. epidermidis는 300 ppm이상 첨가시 배양 후 72시간까지 증식이 정지된 상태를 보였으며 그람 음성균에서는500 ppm 이상 첨가시 증식이 저지되거나 저해효과가 있었다. 이런 결과를 종합하면 오배자 추출물은 그람 음성균에 비해 그람 양성균에 더욱 효과적인 항균활성이 있다고 보여진다.

밀리미터파를 이용한 무혈 혈당 측정에 관한 기초 연구 (Basic Investigation for the Won-invasive Measurement of Blood Glucose Concentrations by Millimeter Waves)

  • 김동균;원종화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2권1호
    • /
    • pp.39-45
    • /
    • 2005
  • 본 논문은 밀리미터파를 이용한 무혈혈당측정기 개발의 기초연구로서, 높은 유전손실을 지닌 유전체의 반사 유전특성 측정법을 제시하고, 이에 의해 10~90 GHz의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글루코오스 농도에 따른 글루코오스 수용액 및 글루코오스 -0.9% NaCl 용액의 유전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제시된 측정법은 측정 유전제의 앞단에 평행평면판을 배치하여 측정 주파수대역 내에서 전력반사계수가 최소가 되는 최소반사조건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조건에서 측정된 최소 전력반사계수와 주파수로부터 측정 유전체의 유전특성을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이다. 순수의 유전특성에 대한 측정 결과들은 제시된 측정법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또한 10~90 GHz 대역에서 글루코오스 농도 변화에 따른 글루코오스 용액 및 글루코오스 -0.9% NaCl 용액들의 유전특성 변화에 대한 실험을 통해, 타 대역에 비해 30~45 GHz 범위에서 글루코오스 농도 변화에 의한 각 용액들의 유전특성의 변화가 최대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측정법에서 전력반사계수와 주파수의 측정 정밀도가 각각 ±0.1 dB와 ±0.01 GHz일 경우, 대략 3 mole/L 정도의 분해능으로 용액 내 글루코오스 농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음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