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hinking process

검색결과 1,436건 처리시간 0.031초

적정기술기반 공학설계에서 디자인 사고의 적용을 위한 대학생들의 설계활동 분석 (An Analysis of the Design Activities in Appropriate Technology based Engineering Design in order to utilize the Concept of Design Thinking)

  • 김윤아;한윤식
    • 공학교육연구
    • /
    • 제19권5호
    • /
    • pp.25-34
    • /
    • 2016
  • The concept of the design thinking can be effective in engineering design process especially in developing the appropriate technology product.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student's design activities during the 'Creative and Integrated Design Academy for the other 90%'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developing countri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sign thinking. Based on this analysis we propose the direction of the creative and integrated design activities to solve the appropriate technology products and also the direction of the future engineering design process.

웹 기반 컴퓨터 지원 발상시스템을 이용한 게임 시나리오 개발에 관한 연구 -게임 제작 프로세스 초기 시나리오 개발에 대한 발상 시스템 적용과 효과를 중심으로- (Study of Game Development scenario using Web Based Thinking System -Focused on applying The conceptual system and its effects during the first step of game development process-)

  • 정승호;황영섭;한경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65-73
    • /
    • 2005
  • 게임 개발의 성패는 창의적인가 아닌가에서 결정된다. 게임 개발 프로세스의 초기 단계인 시나리오 작성부분에서 특히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선행 개발된 웹 기반 창의적 발상 시스템(Creative Group Thinking System:이하 CGTS)을 게임 개발 디자인에 적용하여 활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게임 시나리오 작성 부분의 아이디어 발상 작업을 프로그램화하여 창의성을 높이고 작업시간을 단축하고자 한다.

  • PDF

구체물의 추상화와 추상적 개념의 구체화에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수학적 사고 분석 (Primary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Analysis of Between Abstraction of Concrete Materials and Concretization of Abstract Concepts)

  • 임영빈;홍진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1호
    • /
    • pp.159-173
    • /
    • 2016
  •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구체적 맥락에서 추상화하는 과정과 반대로 추상화된 개념을 먼저 가르치고 구체적인 문제 상황을 도입하는 경우도 있다. 즉, 추상적 지식을 구체화 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Freudenthal은 이런 상황을 반교수학적인 전도라고 표현하며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낸 바 있지만 모든 수업상황이 구체적 상황이나 구체물에서 출발하는 추상화로 진행될 수 있는지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체물을 추상화하여 추상적 개념을 형성하는 과정과 추상적 개념을 구체적인 상황으로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사고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여 그 교육적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위해 AiC의 분석틀을 활용하여 구체물의 추상화 과정에서의 수학적 사고를 분석하였고, AiC의 분석틀을 토대로 연구자가 구안한 방식으로 추상적 개념의 구체화 과정에서의 수학적 사고를 분석하였다. 두 과정을 비교 분석한 결과 구체물의 추상화 과정만큼이나 추상적 개념의 구체화 과정에서도 유의미한 수학적 사고를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컴퓨팅 사고력의 과정중심 평가 방안 (Process-oriented Evaluation Method for Computational Thinking)

  • 이정훈;조정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95-104
    • /
    • 2021
  • 소프트웨어 교육은 4차 산업혁명을 이끌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으로 주목받고 있다. 유아부터 성인까지 모두를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의 목적은 단순히 프로그래밍 능력을 기르는 것이 아닌, 컴퓨팅을 기반으로 현실 세계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문제 해결 능력인 '컴퓨팅 사고력'을 기르는 것이다. 따라서 어떻게 컴퓨팅 사고력을 함양하고 평가할 것인가는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본 논문은 학습자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과정중심 수행평가 방식을 적용하여 컴퓨팅 사고력을 평가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개발된 내용은 컴퓨터과학·컴퓨터교육 전공의 대학 교수 5인, 컴퓨터과학·컴퓨터교육 전공 현직 정보교사 5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의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수정·보완하여 최종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논문이 문제 해결 관점에서 컴퓨팅 사고력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비판(-창의)적 사고의 문제 해결 과정과 기량을 활용한 창의 공학 설계 교육 (Creative Engineering Design Education Utilizing the Problem-solving Process and Skills of Critico(-Creative) Thinking)

  • 박상태;김제도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2호
    • /
    • pp.68-75
    • /
    • 2021
  • ABEEK recommends convergent engineering projects to nurtur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for 1st year engineering students through 'Creative Engineering Design' course. However, 1st year engineering students, who have not yet studied core subjects in engineering, have difficulties understanding and coping with the challenges posed by the engineering-related projects. For this reason,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this course are usually frustrating to achieve by the instructor. In this paper, by using the problem-solving process and skills of critico(-creative) thinking, we prepare guidelines for creative engineering design education that allow 1st-year students to effectively participate in engineering projects without a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design process which is to be studied. Also, we present a case study that applies the guidelines to an on-going creative engineering design course and discusses the outcomes by showing student-generated work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uitive content and everyday expression of critico(-creative) thinking education enabled the instructor to effectively guide their students through the requirements of engineering projects without relying on advanced engineering design methods, and that the application of these guidelines also helped improve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including presentation. We show that the guidelines for creative engineering design education utilizing the problem-solving process and skills of critico(-creative) thinking is not only contributing to achieving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 creative engineering design course but can also be an educational paradigm that incorporates critico(-creative) thinking education into engineering education.

조형적 사고체계에 의한 실내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rior Space Constitution From The Plastic Thinking)

  • 이선민;김혜자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4호
    • /
    • pp.53-60
    • /
    • 2002
  • It was investigated on the logical inter-relationship with plastic thinking systems in interior space constitution. Followings were produced the conclusion of study from the plastic thinking. First of all plastic thinking could be interpreted as the stage-oriented process from various approaching by intuitional, experimental techniques through the expansion of thinking capability with linguistic activities. And also interior space constitution could be extracted from the plastic language relating with design concept, could be extracted the design element by processing on the formation process based on material's physical properties. Next, space perception and constitution should be followed the massive perception between empty and full space based on the interrelationship. Additionally the constitution of interior space could be established through axis, integrated with detail functions. Interior space constitution could be accomplished on the study of material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 planned to coincide with the space's characteristics in selection for texture.

초등과학 수업에서 절차적 사고과정을 활용한 학습 전략이 컴퓨팅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Strategies Using the Process of Procedural Thinking on Computational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 김현석;최선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3권3호
    • /
    • pp.329-341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과학 수업에서 절차적 사고 과정을 사용하여 학생들의 컴퓨팅적 사고와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에 대한 교수 전략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과학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절차적 사고 과정을 이용한 수업 전략이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김포시에 있는 S 초등학교의 실험반(29 명)과 비교반(29 명)의 6학년 학생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과학 수업에서 절차적 사고과정의 수업전략을 활용한 실험반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은 비교반 학생들에 비해 높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실험반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에 있어서도 비교반 학생보다 높게 향상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p < .05).

패턴블록을 활용한 구체적 조작활동에 관한 소고 - 분수학습을 중심으로 - (A Study of Fraction Instruction Using Pattern Blocks as Manipulatives)

  • 김민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1호
    • /
    • pp.125-141
    • /
    • 2005
  • For many years, the educational effects of instructional manipulatives in mathematics education have been investigated in classroom practice and educational research. This paper demonstrates how pattern block, a type of instructional manipulatives could be used and integrated in elementary mathematics areas in order to develop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Further, students' thinking process with pattern blocks is analysed to show their thinking process.

  • PDF

예비수학교사들의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 기반 교육실습 활동 경험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Experience on Design Thinking based Teaching Practicum)

  • 이지연;김훈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235-256
    • /
    • 2020
  • 본 연구는 예비수학교사의 교육실습 현장수행 역량을 높이기 위해, 디자인 사고 프로세스를 활용한 대학수업과 학교 현장의 교육실습 연계형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참여한 예비수학교사들의 경험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19학년도 1학기 교육실습 대상자인 예비수학교사 8명이 참여한 대학 전공 수업에 디자인 사고 5단계 프로세스를 적용한 후, 참여자 집단 및 개별 면담 자료와 디자인 사고 활동 결과물 등 질적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수업에서의 디자인 사고 1~4단계를 통해 참여자들의 인식은, 초기에 공감 단계의 혼돈과 막연함에서 시작하였으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 프로그램 활동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변화를 보였다. 둘째, 교육실습 중, 디자인 사고의 5번째 단계인 평가단계에서는, 참여 예비수학교사들이 이전단계에서 생성한 프로토타입의 적용성을 확인하는 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였다. 다만, 일부 현장의 허용적이지 않은 상황으로 인해 프로토타입의 적용에 어려움을 가진 사례도 있었다. 셋째, 교육실습 후, 대학수업에서의 평가 및 성찰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디자인 사고 활동의 필요성에 긍정적으로 공감하였다. 끝으로, 대학수업과 학교현장의 교육실습 간 융통성 있는 연결을 위해 두 영역의 긴밀한 연계가 전제될 필요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패션 상품 아이템 개발을 위한 창의적 발상법의 활용 -벨벳 상품의 사례- (Item Development for Fashion Products Using Creative Thinking Methods -A Case of Velvet Products-)

  • 정인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13-223
    • /
    • 2013
  • This study presents the process of fashion item development with velvet through creative thinking methods. Creativ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quirements for a successful job career and education enhancing creative thinking is needed in the area of fabrication, product design, and marketing strategy development. Velvet was selected as a research stimulus because it is a luxurious fabric with various differential properties such as a soft touch, unique luster, excellent drapability, and fine physical properties. The research methodology included creative thinking methods review, the selection of the tools, idea sourcing and listing, sequential idea evaluation and sample product making. After review of the various creative thinking methods, a combination method and forced connection method were employed as research tools to confirm the usefulness of creative thinking training because of their independence of use and application simplicity. A total of 12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as subjects in this research. After some training, each student derived ten ideas for velvet products that utilized a combination method and forced connection method. A total of 120 ideas were evaluated for novelty, technical possibility, practicality, and marketability; subsequently, 24 ideas were adopted and developed as sample products. The effectiveness of creativity education in fabrication and product design classes was verified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product plan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