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검색결과 293건 처리시간 0.03초

Cellulose 생합성 세균의 분리 및 특성 (Characterization and Isolation of Bacteria Producing Cellulose)

  • 이승진;유주순;정수열;최용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2호
    • /
    • pp.101-106
    • /
    • 1997
  • 발효시켜서 만드는 감식초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배양하고, pellicle을 형성하는 single colony를 cellulose 생합성균으로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형태적 특성, 알콜의 재산화 등의 생리, 생화학적 특성 등에 의하여 Acetobacter속으로 분류되었으며, Acetobacter CBI-2라고 명명하였다. Acetobacter CBI-2는 정치배양 시에 기존의 생합성 균주로 알려진 Acetobacter xylinum과 대등한 cellulose 생합성 능력을 나타내었다. Acetobacter CBI-2이 생성한 고분자물질의 분해산물을 TLC법으로 확인한 결과 기존 cellulose의 것과 일치하였다. Acetobacter CBI-2에서 genomic DNA를 분리 정제하여 cel A 영역을 probe로하여 hybridization 시킨 결과, 상동성을 나타내어 분리 균주에는 cellulose 생합성 관련 유전자가 존재함을 나타내었다.

  • PDF

산초로부터 항균성 화합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 from Sancho (Zanthoxylum Schinifolium))

  • 김순임;한영실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6-63
    • /
    • 1997
  • 천연물에 존재하는 항균성 물질을 이용하여 천연식품보존제를 개발하고자 한약재 및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온 우리나라 전통 향신료인 산초의 항균성을 검색한 결과 클로로포름 분획 에서 B. subtilis, E. coli, L.plantarum 및 S. aureus 등 4종의 균주에 대해 모두 l000 $\mu\textrm{g}$/$m\ell$에서 가장 큰 저해능을 보였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또한 B. sutilis와 E. coli에 대해서 각각 1000 $\mu\textrm{g}$/$m\ell$과 500 $\mu\textrm{g}$/$m\ell$에서 성장이 억제되었다. 가장 큰 활성을 보인 클로로포름층을 다시 분획하여 4그룹으로 나누어 항균성을 검색한 결과 3번 분획에서 4균주에 대해 750 $\mu\textrm{g}$/$m\ell$에서 성장저해 효과를 보였다. chloroform 2차 분획에서 활성이 높게 나타난 subfraction No. 2는 IR, NMR, 그리고 Gchf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hexadecanoic acid로 동정되었다.

  • PDF

Inhibitory Effect of Mugwort(Artemisia asiatica Nakai) on the Growth of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s

  • Kim, Soon--Im;Park, Hye-Jin;Han, Young-Sil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권1호
    • /
    • pp.59-63
    • /
    • 1996
  •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mugwort(artemisia asiatica Nakai) was investigated. The methanol extract or dried mugwort was fractionated to 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butanol, and aqueous fractions. The hexane fraction among these fractions showed the hifhest inhibitory effect on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such as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Bacillus subtilis, Escher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were completely inhibited at a concentration of 250, 500 , and 750$\mu\textrm{g}$/ml respectively. The hexane fraction was further fractionated into 16 subfractions by silica gel column and thin layer chromatography(TLC). The subfraction No. 8, 9, and 10 on TLC exhibited high antimicrnial activity. At 3rd fractionation, subfraction No. 2 inhibited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at 500$\mu\textrm{g}$/ml. Heptadecane, dodecamethyi cyclohexasiloxane, (E,E)-2,4-decadienal, dodecamethul pentasiloxane, coumarin, 5,6,6,6a-tetrahydro-4,4,7a-trimethyl-2(4H)-benzofuranone, neophytadiene, tridecanoic acid, methyl ester, 2-methyl-4,5-nonadiene, (Z,Z)-9-12-octadecadienoyl chloride, and bis(2-ethylhexyl) were identified from this antimicrobial fraction by GC-MS.

  • PDF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의 항균활성 및 생물막 형성 억제 효과 (Antibacterial and Antibiofilm Activities of Diospyros malabarica Stem Extract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 김혜수;이상우;콩마니 시다래;조수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0-9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 유래 구강 건강소재로써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TLC, TLC-bioautography, HPLC, ESI-MS 등을 이용하여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로부터 S. mutans KCTC3065에 대해 항균활성이 있는 항균물질을 분리하고 주사전자현미경과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추출물이 S. mutans의 생물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 mutans에 대한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극성이 낮은 n-hexane 분획물에서 확인되었고 TLC, TLC-bioautography, HPLC에 의해 분리된 항균물질의 분자량은 ESI-MS분석 결과 188로 추정되었다.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1 mg/ml) 처리에 따른 S. mutans의 바이오필름 바이오매스 변화는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는 추출물 처리구에 비해 세포가 군집을 이루고 모여 있었으며 세포 주변에서 바이오필름이 관찰되었지만 추출물을 처리한 처리구의 세포 주변에서는 바이오필름을 관찰할 수 없었다.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바이오필름 생성 과정에서 치면 부착에 필수적인 GTFs의 발현 양상을 조사한 결과, 인도감나무 추출물이 0.2-1.0 mg/ml의 농도로 처리된 배양액에서 gtfB 유전자 발현은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큰 변화가 없었지만 gtfC 유전자 발현은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은 바이오필름 형성 단계에서 치아우식증 원인균인 S. mutans의 초기 치면 부착을 저해함으로서 바이오필름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 구강 건강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노루발풀(Pyrola japonica) 추출물의 Bacillus subtilis에 대한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xtract from Pyrola japonica against Bacillus subtilis)

  • 박해건;차미란;황지환;김주영;박미숙;최선욱;박해룡;황용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89-993
    • /
    • 2006
  • 우리나라 전국 산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노루발풀을 건조시켜 80% ethanol 추출물과 여러 가지 용매 분획물의 미생물 증식 억제 효과에 대해서 검색하였다. 노루발풀의 80% ethanol 추출물은 그람 양성균 B. subtilis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반면 그람 음성균 E. coli에서는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노루발풀의 80% ethanol 추출물을 용매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 중 hexane층에서 항균활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노루발풀의 항균활성 물질을 검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hexane 분획물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prep. TLC 및 HPLC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peak I의 단일 물질이 노루발풀의 B. subtilis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팽화 홍삼으로부터 20(S)-Ginsenoside Rg3와 Rg5의 분리 및 구조동정 (Isolation of 20(S)-Ginsenoside Rg3 and Rg5 from the Puffed Red Ginseng)

  • 안영은;조진경;백남인;최성원;허남윤;박석준;김병용;백무열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2호
    • /
    • pp.159-165
    • /
    • 2010
  • 팽화홍삼으로부터 용매추출, 용매분획 및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하여 두 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이들 두 화합물의 결정특성, 녹는점, 비선광도, Infrared spectrum 분석 결과, TLC에서의 Rf값, HPLC에서의 retention time 및 NMR 데이터를 측정하여 고찰한 결과 두 개의 화합물은 20(S)-ginsenoside Rg3와 ginsenoside Rg5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1}H$- 및 $^{13}C$-NMR 데이터를 HSQC 및 HMBC와 같은 2D-NMR 실험을 통하여 더욱 정확하게 동정하였다.

Isolation of a Novel Tenacibaculum sp. JS-1 and Characterization of Its β-Agarase

  • Jin Sun Kim;Young Min Woo;Dong-Geun Lee;Andre Kim;Sang-Hyeon Lee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35-140
    • /
    • 2024
  • This study reports the isolation of a bacterium capable of degrading agar and the characterization of its agarase. An agar-degrading marine bacterium JS-1 was isolated using Marine agar 2216 media from seawater collected from the seashore of Angolpo, Changwon, Gyeongnam Province, Republic of Korea. An agar-degrading bacterium was named as Tenacibaculum sp. JS-1 by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e. The extracellular crude agarase was prepared from the culture media of Tenacibaculum sp. JS-1 and used for characterization. Relative activities at 20, 30, 40, 50, and 60℃ were 39, 73, 100, 74, and 53%, respectively. Relative activities at pH 5, 6, 7, and 8 were 46%, 67%, 100%, and 49%, respectively. Its extracellular agarase showed maximum activity (164 U/l) at pH 7.0 and 40℃ in a 20 mM GTA buffer. The residual activities after heat treatment at 20, 30, and 50℃ for 30 min were 84, 73, and 26% or more, respectively. After 2 h heat treatment at 20, 30, 40, and 50℃, the residual activities were 80, 64, 52 and 21%, respectively. Thin layer chromatography analysis suggested that Tenacibaculum sp. JS-1 produces extracellular β-agarases that hydrolyze agarose to produce neoagarooligosaccharides, including neoagarohexaose (12.3%), neoagarotetraose (65.1%), and neoagarobiose (22.6%) at 6 h. Tenacibaculum sp. JS-1 and its β-agarase could be valuable for producing neoagarooligosaccharides with a variety of functional properties. These properties include inhibiting bacterial growth, slowing down starch degradation, and whitening, which are of interest for pharmaceuticals, food, cosmeceuticals, and nutraceuticals.

올리고글리세롤 모노라우레이트류의 합성에 관한 연구 (The Synthesis of Oligoglycerol Monolaurates)

  • 강태준;남기대;김유옥;윤영균;김상춘
    • 공업화학
    • /
    • 제4권3호
    • /
    • pp.505-514
    • /
    • 1993
  • 올리고글리세롤 모노라우레이트 에스테르류를 단계적인 합성 방법으로 monoglycerol monolaurate, diglycerol monolaurate, symmetrical triglycerol monolaurate 및 symmetrical tetraglycerol monolaurate 등을 85~95%의 높은 수율로 각각 제조하였다. 그리고 이 화합물들에 대한 TLC 및 관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여 순수한 물질로 잘 분리 정제하였고, IR 및 $^1H\;NMR$로 구조를 확인하였다.

  • PDF

수유기간의 경과에 따른 인유 지방질 조성의 변화 (Changes in Composition of Total Lipids of Human Milk during Lactation)

  • 윤태헌;임경자;장유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5-36
    • /
    • 1982
  • 초유 및 성숙유의 지방질 조성을 TLC-FID 방법으로 분석, 정량하였던 바 분리된 지방질 성분 중 triglyceride 수준이 초유에서보다 성숙유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기타의 지방질 성분들은 초유 및 성숙유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완두 유묘중 IAA-amino acid 복합체의 확인 (Identification of Amino Acid Conjugates of Indole-3-acetic Acid in Etiolated Pea(Pisum sativum L.) Shoots)

  • 박창규;박노동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3-51
    • /
    • 1985
  • 식물체중의 IAA-아미노산 복합체를 확인하기 위하여 23종의 IAA-아미노산 복합체를 합성하여 이들의 UV와 IR spectra, TLC, HPLC 그리고 가수분해등 화학적 증거를 토대로, 암실재배한 완두 유묘의 줄기에서 IAA-Asp와 IAA-Glu를 잠정적으로 동정하였다. IAA-Asp는 식물체에서 IAA의 대사산물로 이미 확인된 화합물(化合物)이지만 IAA-Glu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