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rmal degradation products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31초

두날리엘라 살리나 추출물의 피부 열노화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Dunaliella salina Extracts on Thermally-Induced Skin Aging)

  • 주지혜;석지현;홍인기;김남경;최은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57-64
    • /
    • 2016
  • 자외선과 유사하게 열에 의한 콜라겐 분해와 비정상적인 탄력섬유의 축적을 증가시키는 현상을 열노화라 칭한다. 두날리엘라 살리나는 녹조류로 베타카로틴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건강식품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열에 의해 유도된 피부노화에서의 효능은 알려진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두날리엘라 살리나 에탄올 추출물의 항-열노화 효능을 확인하였다. 열을 가한 피부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MMP-1과 type I procollagen 발현을 ELISA를 이용해 확인하였다. 두날리엘라 살리나 추출물이 열에 의해 증가된 MMP-1 단백질 발현량을 감소시키며, type I procollagen 단백질 발현량은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두날리엘라 살리나 추출물에 의해 콜라겐 합성 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HSP47 mRNA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두날리엘라 살리나 추출물이 염증매개인자(TGF-${\beta}$, IL-12 등)의 발현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두날리엘라 살리나 추출물이 탄력섬유의 구성성분인 tropoelastin과 fibrillin-1 단백질 발현과 MMP-12 발현 조절을 통해 열에 의해 유도된 일광탄력섬유증을 조절하는 효능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두날리엘라 살리나 추출물이 열에 의해 유도된 피부열노화를 효과적으로 예방함을 확인하였다.

하수슬러지의 반탄화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orrefaction Characteristics of Sewage Sludge)

  • 임대원;;오세천
    • 공업화학
    • /
    • 제25권5호
    • /
    • pp.510-51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고형연료로써의 에너지 잠재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수슬러지의 기본특성에 대한 반탄화의 영향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150{\sim}600^{\circ}C$의 온도조건에서 하수슬러지의 반탄화 실험을 수행하였다. 반탄화된 하수슬러지는 에너지 수율, 회분, 가연분 및 고위발열량에 의하여 분석되었으며, 반탄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성분 또한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하수슬러지의 반탄화 반응에 대한 속도론적 해석을 위하여 열중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반탄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회분함량은 증가하는 반면에 에너지 수율, 고위발열량 및 가연분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300^{\circ}C$에서 하수슬러지 내에 함유된 가연성 성분의 열분해로 인하여 일산화탄소 및 탄화수소 가스가 발생하기 시작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GC-ECD/MS를 이용한 농산물 중 Captan, Folpet, Captafol 및 Chlorothalonil의 잔류분석법 (Determination of Captan, Folpet, Captafol and Chlorothalonil Residues in Agricultural Commodities using GC-ECD/MS)

  • 이수진;황영선;김영학;권찬혁;도정아;임무혁;이영득;정명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65-175
    • /
    • 2010
  • A gas chromatographic (GC) method was developed to determine residues of captan, folpet, captafol, and chlorothalonil, known as broad-spectrum protective fungicides for the official purpose. All the fungicide residues were extracted with acetone containing 3% phosphoric acid from representative samples of five agricultural products which comprised rice, soybean, apple, pepper, and cabbage. The extract was diluted with saline, and dichloromethane partition was followed to recover the fungicides from the aqueous phase. Florisil column chromatography was additionally employed for final cleanup of the extracts. The analytes were then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 using a DB-1 capillary column with electron capture detection. Reproducibility in quantitation was largely enhanced by minimization of adsorption or thermal degradation of analytes during GLC analysis. Mean recoveries generated from each crop sample fortified at two levels in triplicate ranged from 89.0~113.7%.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RSD) were all less than 10%, irrespective sample types and fortification levels. As no interference was found in any samples, limit of quantitation (LOQ) was estimated to be 0.008 mg/kg for the analytes except showing higher sensitivity of 0.002 mg/kg for chlorothalonil. GC/Mass spectrometric method using selected-ion monitoring technique was also provided to confirm the suspected residues. The proposed method was reproducible and sensitive enough to determine the residues of captan, folpet, captafol, and chlorothalonil in agricultural commodities for routine analysis.

Flavour Chemistry of Chicken Meat: A Review

  • Jayasena, Dinesh D.;Ahn, Dong Uk;Nam, Ki Chang;Jo, Cheor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5호
    • /
    • pp.732-742
    • /
    • 2013
  • Flavour comprises mainly of taste and aroma and is involved in consumers' meat-buying behavior and preferences. Chicken meat flavour is supposed to be affected by a number of ante- and post-mortem factors, including breed, diet, post-mortem ageing, method of cooking, etc. Additionally, chicken meat is more susceptible to quality deterioration mainly due to lipid oxidation with resulting off-flavours. Therefore, the intent of this paper is to highlight the mechanisms and chemical compounds responsible for chicken meat flavour and off-flavour development to help producers in producing the most flavourful and consistent product possible. Chicken meat flavour is thermally derived and the Maillard reaction, thermal degradation of lipids, and interaction between these 2 reactions are mainly responsible for the generation of flavour and aroma compounds. The reaction of cysteine and sugar can lead to characteristic meat flavour specially for chicken and pork. Volatile compounds including 2-methyl-3-furanthiol, 2-furfurylthiol, methionol, 2,4,5-trimethyl-thiazole, nonanol, 2-trans-nonenal, and other compounds have been identified as important for the flavour of chicken. However 2-methyl-3-furanthiol is considered as the most vital chemical compound for chicken flavour development. In addition, a large number of heterocyclic compounds are formed when higher temperature and low moisture conditions are used during certain cooking methods of chicken meat such as roasting, grilling, frying or pressure cooking compared to boiled chicken meat. Major volatile compounds responsible for fried chicken are 3,5-dimethyl-1,2,4-trithiolanes, 2,4,6-trimethylperhydro-1,3,5-dithiazines, 3,5-diisobutyl-1,2,4-trithiolane, 3-methyl-5-butyl-1,2,4-trithiolane, 3-methyl-5-pentyl-1,2,4-trithiolane, 2,4-decadienal and trans-4,5-epoxy-trans-2-decenal. Alkylpyrazines were reported in the flavours of fried chicken and roasted chicken but not in chicken broth. The main reason for flavour deterioration and formation of undesirable "warmed over flavour" in chicken meat products are supposed to be the lack of ${\alpha}$-tocopherol in chicken meat.

신규(新規) 살충제(殺蟲劑)인 KH-502 [O,O-Diethyl O-(1-phenyl-3-trifluoromethyl-5-pyrazoyl) thiophosphoric acid ester]의 광(光)에 의한 분해성(分解性) (Photolysis of a New Insecticide KH-502 [O,O-diethyl O-(1-phenyl-3- trifluoromethyl-5-pyrazolyn) thiophosphoric acid ester])

  • 조부연;한대성;양재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76-183
    • /
    • 1993
  • 신규 살충제인 KH-502의 안전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건하에서 광(光) 분해(分解)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실험에서 KH-502를 acetone 또는 acetonitrile 용액에 첨가한 뒤 태양광선 또는 자외선 $(300{\sim}350nm)$을 조사(照射)하였고, acetone 또는 acetonitrile 용액에는 수분함량, 산소함량이 달랐으며, 부식산,rosebengal 또는 tryptophan이 첨가 되었다. KH-502의 안전성 및 분해경향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KH-502의 광분해(光分解)는 자외선을 조사(照射)한 경우와 그렇치 않은 경우에 매우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여 주었다. KH-502는 acetone 용매에서 광관여효과에 의해 광분해(光分解)되었으나, acetonitrile 용매 하(下)에서는 광분해되지 않았다. 2. KH-502의 광분해 경향은 열 분해 경향과 판이하게 달랐으며, 광분해산물은 KH-502 oxo형, S-ethyl KH-502, PTMHP 및 몇가지 미지물질 등이었다. 3. acetone 또는 acetonitrile에 첨가된 부식산, rosebengal, tryptophan은 KH-502의 광분해에 광관여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acetone 용매의 용존산소는 acetone과 함께 경쟁적으로 광관여효과를 나타내어 KH-502의 분해를 촉진시켰다. 4. acetone 용매를 부식산 또는 논물로 처리했을때, KH-502의 광분해는 감소하였다.

  • PDF

아조염료 Reactive Black 5 폐수의 촉매습식산화 (Catalytic Wet Oxidation of Azo Dye Reactive Black 5)

  • 서일순;유신석;고미소;정사무엘;정철구;홍정아;윤왕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2호
    • /
    • pp.259-267
    • /
    • 2010
  • 불균일 촉매 CuO를 이용한 반응성 아조계 염료 Reactive Black 5(RB5) 폐수의 촉매습식산화에서 반응온도($190{\sim}230^{\circ}C$) 및 촉매농도(0.00~0.20 g/l)가 폐수의 색도 및 총 유기탄소 TOC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폐수의 색도는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습식산화속도는 TOC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열분해 조건($230^{\circ}C$, 120 min)에서 폐수의 색도는 약 90%까지 제거되었지만 TOC는 제거되지 않았다. RB5 폐수 촉매 습식산화에서의 폐수의 색도 및 TOC 제거속도는 반응온도 및 촉매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증가하였다. 촉매의 영향은 0.01 g CuO/l에서 이미 상당히 크게 나타났으며 0.05 g CuO/l 이상에서의 촉매농도 증가에 따른 효과는 작았다. 폐수 색도의 초기변화는 색도에 대한 1차 반응속도론으로 나타낼 수 있었으며, TOC 변화는 폐수 TOC를 쉽게 산화되는 TOC와 난분해성 TOC 로 구분한 global 모델로 묘사할 수 있었다. 반응온도의 폐수 색도 및 TOC 제거속도에 미치는 영향은 Arrhenius 상관관계식으로 묘사할 수 있었다. RB5 폐수의 열분해, 습식산화 및 0.20 g CuO/l의 촉매농도를 사용한 촉매습식산화 조건에서의 색도 제거반응의 활성화에너지는 각각 108.4, 78.3 및 74.1 kJ/mol의 값을 나타내었다. RB5 폐수 촉매습식산화에서의 TOC 제거반응에서 산화 최종산물로의 전환에 대한 난분해성 중간산물로의 전환 비는 페놀 습식산화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았다.

생활폐기물(生活廢棄物) 소각(燒却) 바닥재의 자력선별(磁力選別)에 따른 ferrous material의 분리(分離) 특성(特性) (Separation of Ferrous Materials from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ion Bottom Ash)

  • 엄남일;한기천;유광석;조희찬;안지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6권3호
    • /
    • pp.19-26
    • /
    • 2007
  • 도심지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들은 재활용 가능한 목재나 iron 등을 분리시킨 후 소각장으로 보내지기 때문에 자기류나 유리류 그리고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는 가연성 물질로 존재하게 된다. 하지만 소각 전 분리 공정에도 불구하고 생활폐기물에서의 iron의 함유량은 약 $3{\sim}11%$에 달하고 있다. 이러한 iron은 소각로에서 소각 처리될 경우 약 $1000^{\circ}C$의 온도(로의 내부 온도)에서 산화반응에 의해 표면에 산화물 층을 형성하게 된다. 소각된 바닥재는 water-cooling냉각 처리를 통해 냉각되며 물과 접촉한 iron 표면의 산화물 층은 심한 붕괴가 일어나 부식작용이 더욱 활발히 일어나며 많은 양의 ferrous material($Fe_3O_4,\;Fe_2O_3,\;FeS_2$)을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iron과 ferrous material은 산화 환원 작용에 의해 부피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시멘트 골재 등으로의 재활용 시 많은 문제점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각 바닥재를 이용하여 각 입도별 자력선별에 따른 ferrous material의 분리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전체 바닥재의 약 18.7%(ferrous product; $Fe_3O_4,\;Fe_2O_3,\;FeS_2$, iron)가 자력선별(자력세기:3800gauss)에 의해 분리 되었으며 1.18mm이상의 입도에서 전체 ferrous product의 87.7%가 분포하였다. iron의 경우 전체 바닥재의 약 3.8%의 함유량을 보였으며 1.18mm이상의 입도에서 전체 iron의 99%이상이 존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