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rapeutic space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35초

강내치료실 차폐에 대한 고찰 (A Study on Structural Shielding Design of Afterloading Therapy Room)

  • 윤석록;김명호;신동오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1-40
    • /
    • 1987
  • In the case of designing a high dose rate remote controlled afterloading treatment room with existing hospital facilities. We must construct the effective protective barriers so as to reduce the primary and scattered radiation up to the maximum permissible dose level. It is difficult to reinforce the barrier thickness of the shielding requirements because of the limited space and the problem of the existing building structure at the surrounding area. Therefore we can reduce the intensity of primary radiation to the required degree at the location of interest with installing the appropriate I shaped Pb barriers between the radiation source and the shielding wall of the concrete.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reduce the intensity of the primary radiation below the M.P.D level by using additional Pb barriers instead of increasing thickness of concrete wall.

  • PDF

치매노인전문요양시설의 복도공간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Corridor Space in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 한균;권순정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69-77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fundamental data related to corridor space for nursing home design. Elderly with dementia were observed in corridor space at two nursing homes in In-cheon City. Two types of behavior were found out through in-depth observation; Group and Personal behaviors. Group behaviors were varying according to the type of programs such as rest, care, diet, and therapeutic services. Personal behaviors could be classified into wandering and private seclusion. These two behaviors were influenced by management programs of facilities, services of care-giver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discussed on the following matters: 1) Optimum size of residential unit; 2) Working spaces of care-givers; 3) Relationship between bedroom and common space for gathering; 4) Planning for wandering path; 5) Familiarity of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 PDF

해외 어린이병원 외래진료부의 실내 아트리움에 적용된 치유적 계획특성 분석 (Analyzing Therapeutic Design Characteristics in the Indoor Atrium of the Outpatient Areas in Children's Hospitals Overseas)

  • 서재연;조민정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9호
    • /
    • pp.65-75
    • /
    • 2019
  •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therapeutic design characteristics implemented in the indoor atriums of the outpatient areas in four children's hospitals in London and San Francisco. A mixed-method approach was used to examine the spatial configurations and design elements in the atriums, while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therapeutic design characteristics relevant to atrium spaces and children's healthcare facilities. The spatial design and the pattern of use of the atrium in each hospital were studied during field visits and interviews with the hospital management staff.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observations from the field study, a Visibility Graphic Analysis was chosen to examine the visibility, accessibility, and intelligibility of the spatial configurations in the atriums of each hospital. In addition, the openness, restfulness, and vibrant ambience of the design elements in the atriums of each hospital were investigated by surveying fifty-two design professionals on the quality of the design elements in the atriums. A spatial configuration analysis, confirmed that all the atrium spaces had high visibility, accessibility, and intelligibility due to their high connectivity, integration, intelligibility, and because the atriums were laid out in the open lobby space, along the major circulation axis, or in the circulation intersection. In the survey of the design element evaluation, all atriums proved to be appropriate in terms of openness, while the adequacy of restfulness and vibrant ambience differed depending on the hospitals. Notably, location and orientation, access, natural light, outdoor view, and play facilities were found significant environmental design elements determining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therapeutic design in the atriums. The observations from the aforementioned are further discussed to enhance the therapeutic design quality of atrium spaces in children's hospitals.

Role of Wnt signaling in fracture healing

  • Xu, Huiyun;Duan, Jing;Ning, Dandan;Li, Jingbao;Liu, Ruofei;Yang, Ruixin;Jiang, Jean X.;Shang, Peng
    • BMB Reports
    • /
    • 제47권12호
    • /
    • pp.666-672
    • /
    • 2014
  • The Wnt signaling pathway is well known to play major roles in skeletal development and homeostasis. In certain aspects, fracture repair mimics the process of bone embryonic development. Thus, the importance of Wnt signaling in fracture healing has become more apparent in recent years. Here, we summarize recent research progress in the area, which may be conducive to the development of Wnt-based therapeutic strategies for bone repair.

Therapeutic potential of targeting kinase inhibition in patients with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 Kim, Suji;Lim, Jae Hyang;Woo, Chang-Hoon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7권4호
    • /
    • pp.269-276
    • /
    • 2020
  • Fibrosis is characterized by excessive accumulation of extracellular matrix components. The fibrotic process ultimately leads to organ dysfunction and failure in chronic inflammatory and metabolic diseases such as pulmonary fibrosis, advanced kidney disease, and liver cirrhosis.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is a common form of progressive and chronic interstitial lung disease of unknown etiology. Pathophysiologically, the parenchyma of the lung alveoli, interstitium, and capillary endothelium becomes scarred and stiff, which makes breathing difficult because the lungs have to work harder to transfer oxygen and carbon dioxide between the alveolar space and bloodstream. The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TGF-β) signaling pathwa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pulmonary fibrosis and scarring of the lung tissue. Recent clinical trial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pharmacological agents that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target kinases for the treatment of IPF. Therefore, to develop therapeutic targets for pulmonary fibrosis,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key factors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pulmonary fibrosis and the underlying signaling pathway. The objective of this review is to discuss the role of kinase signaling cascades in the regulation of either TGF-β-dependent or other signaling pathways, including Rho-associated coiled-coil kinase, c-jun N-terminal kinase,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5, and p90 ribosomal S6 kinase pathways, and potential therapeutic targets in IPF.

재활치료용 전동자전거의 데이터 송수신시스템에 관한 연구 (Study on Data Transmit and Receive System of Therapeutic Rehabilitation Moped)

  • 김성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4107-4111
    • /
    • 2011
  • 재활치료용 전동자전거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유선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설치 및 구성이 복잡하여 장애인을 위한 공간활용 측면에서 많은 어려움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제성을 고려한 비용절감과 의료관련 공학기술 개발에 근간을 두고, 재활치료 전동자전거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RF송수신 보드를 개발하였다. 특히, 소출력 무선국 중 ISM 주파수 대역에서의 RF 송수신 모듈을 이용하여 다수의 전동자전거와 한 대의 PC간의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세월호 참사 이후 지역 커뮤니티에 형성된 치유의 공간에 대한 지리적 고찰 (A Geographical Study of Therapeutic Spaces after the Disaster of the MV Sewol in a Local Community)

  • 박수경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25-53
    • /
    • 2017
  • 본 연구는 세월호 참사 이후 안산시의 고잔동과 와동을 중심으로 나타난 대안적 치유의 공간의 지리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세월호 참사의 내면을 들여다보면 치유 대상의 스펙트럼이 넓게 퍼져 있어 개별 치유의 공간이 지향하고 있는 치유의 목표는 그 주체에 따라 다소 상이하다. 현재 세월호 참사 관련 치유의 공간은 약 7개 내외로 추산되며, 민간에서 주도하는 형태가 주류를 이룬다. 또한 이러한 공간은 가장 많은 희생자가 나온 단원고등학교 주변이되 시선에서 약간 빗겨간 곳에 위치해 있고, 특별한 활동을 하기보다는 깨어진 일상을 다시 원래의 자리로 회복시키기 위한 단순하며, 반복적인 일, 예를 들어, 식사, 뜨개질, 학습 등을 주요 치유의 활동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세월호 참사 관련 치유의 공간의 주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치유의 대상이 개별 치유의 공간을 장소로 점점 받아들이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세월호 참사 관련 치유의 공간은 제3자에 의해 처음 제안된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이제는 치유의 주체들이 스스로 끌어가거나, 기억하며, 심지어 앞으로의 방향까지 설계하고 있어 마치 그들만의 전유물처럼 인식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둘째, 앞서 언급한 것처럼 세월호 참사는 직접적인 피해자뿐만 아니라 희생자의 부모, 형제, 친척, 친구, 지역주민 등까지 넓은 범위의 집단에게 트라우마를 지운 사건이었던 만큼 치유의 공간이 지원하는 대상은 폭넓지만, 개별 치유의 공간을 활용하는 대상은 겹치지 않는다. 그렇지만 지역 커뮤니티가 가지고 있는 집단 트라우마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지역 내 네트워크를 조밀하게 유지하고 상시적으로 협력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셋째, 참사와 같은 트라우마 극복에 있어 사건의 지속적인 기억은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지적되는데, 세월호 참사의 경우에는 지역주민들의 피로감 혹은 갈등, 노후화된 안산시를 떠나는 이들, 시간이 지나감에 따른 퇴색되는 분위기 등이 기억의 유지에 위험 요소로 작용되고 있다. 이를 위해 치유의 공간을 중심으로 지역공동체 회복, 다양한 이벤트 기획 등을 시도하고 있으며, 안산시 외의 다른 단체와도 유기적으로 연결해 세월호 참사의 기억이 오래 지속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PDF

공동주택에서 치유조경계획을 위한 가이드라인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Guidelines of Healing Landscape in Housing Complexes)

  • 천현우;이시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26-37
    • /
    • 2016
  • 본 연구는 공동주택단지를 대상으로 하여 외부의 조경공간을 통해 치유환경을 제공하여 치유기능을 높이기 위한 조경계획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집합주거공간의 외부공간 조성에 있어 거주민들에게 생활환경을 높일 수 있는 기회와 함께 조경설계기법의 대안적인 기준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정형화되어 있지 못하고 있는 조경설계 분야의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기존 학자들의 치유정원에 관한 특성을 분석하여 공통적인 환경특성 요소들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 국내 외 문헌을 통하여 세부항목을 설정하며, 선행연구와 사례조사, 설문분석을 통해 치유조경계획 요소를 도출하였다. 치유환경의 기능적 계획요소 6가지 항목을 설정하였다. 안전한 환경, 치료적 환경, 보조적 환경, 지남력 강화환경, 쾌적성, 사회적 환경으로 구분하였고, 공간계획요소는 국내 외 사례고찰로 병원, 요양원, 숲 등을 대상으로 하여 육체적, 정신적 안정에 도움을 주기 위한 공간 및 시설을 도입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계획요소로 공간계획, 동선계획, 포장계획, 수경계획, 식재계획, 시설계획, 프로그램으로 구분하여 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항목을 외부공간의 단지출입 영역, 내 외부 전이영역, 외부활동 영역, 테마별 공간영역으로 구분하고, 계획 요소로 공간계획에는 자연속 산책이 가능하고, 범죄로부터 안전, 다양한 휴게시설이 있도록 계획한다. 식재계획으로는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수목 식재, 촉각 미각, 후각을 자극하는 식물 식재, 풍부하고 다양한 식물 식재로 계획한다. 동선계획은 외부로부터 동선을 분리하고, 건강증진을 위한 산책, 지압로, 흙길 등 자연감상이 가능한 동선으로 계획한다. 포장계획은 위험에 쉽게 인식할 수 있고, 인공재료보다는 자연형 재료로 계획한다. 시설물계획은 취약계층을 위한 안내표, 강설시에도 이용할 수 있도록 쉘터 및 이동 가능한 벤치를 계획한다. 수 공간계획은 잔잔한 물 공간을 조망하는 사색 가능한 물시설과 분수 등 깔끔하고 도식적인 물시설로 계획한다. 치유프로그램으로는 휴식 명상을 취할 수 있으며, 요가, 산책 등 가벼운 운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계획한다. 치유조경계획 요소를 도출하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으나, 계획요소와 계획내용들이 치유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을지에 대한 정성적, 정량적 평가가 제한되어 이에 대한 연구가 추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노숙을 경험한 알코올 의존자의 치료공동체를 통한 회복체험 연구 -노숙인 시설인 비전트레이닝센터의 치료공동체 프로그램을 수료한 후 회복중인 자를 중심으로- (Phenomenological Study on Lived Experience of Recovering alcoholics in a Therapeutic Community for Homeless -Focusing the experiences of recovering alcoholics who have completed rehabilitation TC program in Vision Training Center for homeless-)

  • 김선민;오기철;강향숙
    • 사회복지연구
    • /
    • 제44권1호
    • /
    • pp.5-31
    • /
    • 2013
  • 본 연구는 대도시 남성노숙인 시설에서 알코올 의존 노숙인들을 위한 치료공동체 프로그램을 수료하고 현재 회복 중인 6인의 회복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드러난 회복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적 회복이다. 이들은 자신들이 누워있던 거리를 떠나 공동체에 터를 잡으면서 자신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에 둘러싸이게 된다. 둘째, 신체적 회복으로 눕던 자세에서 벗어나 몸을 일으키면서 이들은 자신의 몸과 마음의 움직임의 주체가 된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의 시간적 회복은 과거와 현재를 수용하고 미래를 품는 현상으로 드러난다. 넷째, 관계의 회복으로 연구참여자들은 관계망을 통해 사회 내에서 자신의 자리를 만들어 간다. 이들의 사회내에서의 자리는 지위라기보다는 관계망 속에 존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알코올 의존 노숙인에 대한 개입을 위한 실천 함의를 도출하였다.

전두엽 혈류 측정을 통한 산림녹지 내 수경관 유형별 치유 효과 분석 (The Analysis of Therapeutic Effects of Forest landscapes with different Water-scape types Using Hemodynamic measurement in Prefrontal cortex)

  • 강민지;윤초혜;이정원;이주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8
    • /
    • 2024
  • When situated in green landscapes, water bodies play a crucial role in positively influencing mood and mental health, yet research on the cognitive mechanisms underlying these therapeutic effects is lacking.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differences in brain function among adult males exposed to forest landscapes with or without water bodies. The wooded landscapes included views of a waterfall, a valley, and a forest without water. The control group was exposed to a local urban landscape. Twelve adult males participated in a field experiment in which prefrontal cortex (PFC) activity was measured using near-infrared spectroscopy (NIRS). In the experiment, participants engaged in low-intensity walking in three forested areas with similar vegetation and climatic conditions.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ft PFC activity depending on whether they were in the three forested landscapes or in the control landscape (P < 0.01). An analysis of variance (ANOVA) confirmed that significantly lower left PFC activity was recorded in the wooded landscape containing a water view . Notably, the lowest PFC values recorded in the landscape with a waterfall view suggest that landscapes with dynamic water flow may be associated with greater therapeutic benefits in terms of PFC activity than static landscapes. Our results underscore that water is a critical aspect of a landscape due to its therapeutic benefits and should be incorporated in the planning and design of green spaces for health pro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