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rapeutic potential

검색결과 2,195건 처리시간 0.024초

알러지성 천식 모델 생쥐에서 프랑킨센스 에센셜 오일의 염증 억제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Boswellia sacra (Franckincense) Essential Oil in a Mouse Model of Allergic Asthma)

  • 이혜연;윤미영;강상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43-352
    • /
    • 2008
  • 프랑킨센스는 감람나무 종에서 얻어지는 gum resin으로, 성분은 5-9% 방향정 에센셜 오일, 알코올-용해성인 65-85% resin과 수용성인 gum 잔여물로 구성된 복합물이다. 프랑킨센스의 알코올 용해성인 resin 성분들의 항염증 작용은 잘 알려져 있으나, 방향성 에센셜 오일 성분이 알러지성 천식에 작용을 하는지의 여부는 보고되지 않았다. 실험은 프랑킨센스 에센설 오일(BSEO)이 ovalbumin(OVA)으로 유발된 알러지성 천식 생쥐 모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BALB/c 생쥐는 OVA로 복강감작 후 OVA 기도 투여로 면역반응을 유발시켰다. 실험그룹은 0.3% BSEO를 8주간 흡입시켰다. OVA로 감작, 유발시킨 BALB/c 생쥐에서 기도내 호산구 침윤증가, 점액분비 증가와 기도과민성이 나타났다. 이에 비하여, BSEO 처치군에서 BALF내 호산구수, 술잔세포의 과증식, 기도과민성이 감소되었다. BALF내 사이토카인 분석 결과, BSEO는 Th1 사이토카인인 IFN-$\gamma$를 증가시켰으며 Th2 사이토카인인 IL-4, IL-5와 IL-13을 감소시켰다. 또한, OVA-specific IgE와 eoxtain 분비를 억제시켰다. BSEO 흡입 군에서 종격동 림프절의 $CD4^+$, $CD3^+/CCR3^+$, 및 $B220^+/CD23^+$ 세포들 또한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BSEO는 Th1/Th2 관여 면역조절인자로 판단되며, BSEO 흡입으로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알러지성 기도 염증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한방처방제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xtracts from Korean Traditional Medicinal Prescriptions)

  • 이성규;이은주;박우동;김종부;최상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24-63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민간 및 한방에서 관절염 치료 처방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한방처방제 16종을 선정하여 향후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기능성식품의 개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한방처방제로부터 물, 에탄올 및 효소처리추출물을 제조하고 그들의 항산화 및 항염증활성을 in vitro assay system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16종 한방처방제의 각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10.03-78.03 mg/g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이 중 마행의감탕(7번)의 에탄올추출물이 78.03 mg/g으로 16종의 한방처방제 중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결과와 달리 효소추출물에서는 폴리페놀 추출 함량이 낮아지거나 비슷한 수치를 보였지만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 마행의감탕(7번)을 제외한 나머지 15종의 한방처방제에서 열수 및 에탄올추출물보다 효소추출물에서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마행의감탕(7번) 추출물에서 DPPH 및 ABTS 라디컬 포착활성과 COX-2 저해활성도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효소추출물에서는 의의인탕(14번)이 가장 높은 COX-2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마행의감탕 및 의의인탕을 관절염 치료 한방처방제로 개발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며, 향후 보다 상세한 그들의 항산화 및 항염증활성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옥수수수염 알코올 추출물의 항염 및 항아토피 효과 (Anti-inflammatory and anti-atopic effects of corn silk (Zea mays L.) ethanol extracts)

  • 김현영;이미자;서우덕;최식원;김선림;정건호;강현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710-713
    • /
    • 2017
  • 옥수수수염 추출물에서 분리한 NICS-1 및 NICS-3이 가지고 있는 항염 및 항아토피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각 RAW 264.7 및 HaCaT 세포를 이용하여 NO 및 TNF-${\alpha}$ 생성 저해능과 TARC 생성량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항염활성의 경우 NICS-1 및 NICS-3 두 추출물 모두 NO 및 TNF-${\alpha}$ 생성량이 농도의존적으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NICS-3이 더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항아토피 활성의 경우도 두 추출물 모두 TARC 생성이 대조구에 비하여 크게 감소하였으며 NICS-3 보다 NICS-1이 더 우수한 활성을 나타냈다.

꾸지뽕 열매 조다당류 분획물의 산화방지 활성 및 신경세포 보호 효과 (Antioxidant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s from Cudrania tricuspidata fruits)

  • 김이은;조은지;변의홍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543-548
    • /
    • 2018
  • 본 연구는 꾸지뽕 열매 조다당류 분획물(CTP)의 산화방지 활성 및 신경세포 보호 효과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항산화 활성인 라디칼 제거능 및 환원력을 평가한 결과, 꾸지뽕 열매 조다당류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산화방지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꾸지뽕 열매 조다당류의 뇌신경세포 보호 효과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생쥐의 해마 유래 뇌신경세포에 꾸지뽕 열매 조다당류를 처리한 후 과산화수소로 산화적인 스트레스를 유도하여 세포 독성에 관하여 알아본 결과, 꾸지뽕 열매 조다당류의 처리는 농도 의존적으로 뇌신경 세포의 생존율을 증가시켰으며, 이에 따라 산화방지 효소인 SOD 활성이 증가하고 지방질 과산화 생성물인 MDA level이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꾸지뽕 열매 조다당류의 산화방지 활성 및 뇌신경세포 보호 효과에 관하여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 어떤 메커니즘으로 신경세포를 보호하는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꾸지뽕 열매 조다당류 분획물은 산화방지 및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어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에 유용한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일반 메밀과 쓴 메밀 제분 분획 별(milling fractions) 추출물의 산화방지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common and tartary buckwheat milling fractions)

  • 유진;황지수;오민수;이수용;최수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549-55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일반 메밀과 쓴 메밀의 제분 분획 별(겉껍질, 겨, 가루)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함량을 분석하고, 항산화 활성을 시험관과 세포 수준에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일반 메밀보다 쓴 메밀에서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월등히 높았으며, 항산화 물질로 주된 성분은 루틴으로 확인되었고, 에탄올 추출과정에서 루틴이 퀘세틴으로 일부 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용 부위인 가루 분획보다 겨 분획에서의 항산화 성분 함량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겨 분획의 항산화 기능성 소재로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한편 시험관 및 세포수준에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한 결과, 일반 메밀보다 쓴 메밀에서의 항산화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쓴 메밀 겨 분획의 항산화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메밀 추출물을 산화스트레스 유발 전, 후 처리한 경우 모두에서 항산화 활성이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나, 메밀 추출물의 산화스트레스 예방 및 치료 효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소아 거식증 (Infantile Anorexia)의 한의학(韓醫學)적 치료에 관한 고찰 - 중의학(中醫學) 저널을 중심으로 - (A Literature Study on Treatment of Infantile Anorexia Based on Chinese Medical Journals)

  • 김희연;성우용;김기봉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87-98
    • /
    • 201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literature study of infantile anorexia clinical cases with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CM) to utilize with Korean medicine treatment methods. Methods 5 TCM journals with the highest impact factors were searched and selected among the journals listed in www.cnki.net. The search keywords were, "Children's Anorexia", "Infantile Apositia", "Infantile Anorexia", "Anorexia Nervosa", and "child of anorexia". he search was limited to the publication date from 2000 to 2012. Results Total 20 studies were selected: Acupuncture (5), Herbal medicine (9), Complex Treatment (3), External Application (2) and Moxibustion (1). Among the Acupuncture related studies, 1 study tested the effect of Sifeng (EX-UE10, 四縫), 3 studies tested the effect of Sifeng (EX-UE10, 四縫) and other acupoints treatment together, and 1 study tested the effect of combination of other acupoints. In all these studies, the study groups showed better therapeutic effec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The Herbal medicine related studies showed the improvement in appetite and weight as a result of Herbal Medicines treatment. Among the Complex Treatment related studies, 2 studies tested the effect of Acupuncture and Chiropractic co-treatment, 1 study tested the effect of Moxibustion and Herbal medicine co-treatment. In all these studies, symptoms of Infantile anorexia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Other papers related to External Application and Moxibustion treatment were reported improving in appetite and had other the clinical effects as well. Conclusions Clinical studies testing the effect of TCM for the treatment of Infantile Anorexia have been conducted in small scales, and all the studies showed a certain level of symptom improvement of the patients in the study groups. These results implicate that the methods in Korean medicine can be highly potential treatment options for the treatment of Infantile Anorexia. Accurate and well-controlled studies in large scale would be required to prove the effect of Korean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Infantile Anorexia.

Genuin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BaekJeol-Tang for the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 Han, Na-Ra;Sim, Woo-Moon;Sul, Moo-Chang;Kim, Min-Cheol;Lee, Chang-Hee;Kim, Dong-Won;Lee, Se-Hun;Lee, Ho-Cheol;Ryu, Jong-Min;Nam, Bong-Soo;Kim, Jong-Ok;Moon, Seong-Oh;Jang, Hyeon-Lok;Kim, Young-Seok;Lee, Ihn;Yang, Jin-Young;Hwang, Kyu-Sun;Chun, Chang-Sun;Jeong, Hyeon-Seok
    • 셀메드
    • /
    • 제3권2호
    • /
    • pp.18.1-18.7
    • /
    • 2013
  • Inflammation in rheumatoid arthritis is characterized by immune cell infiltration and cytokine secretion. In particular, mast cells and their cytokin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rheumatoid arthritis. Korean medicine, BaekJeol-Tang (BT) was designed by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eory. We already reported therapeutic effect of BT in rheumatoid arthritis. Here, we report the specific underlying mechanism of BT in activated human mast cells, HMC-1 cells. In addition, we report for the first time that B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production and mRNA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cluding thymic stromal lymphopoietin, interleukin (IL)-$1{\beta}$, IL-6, IL-8,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 activated HMC-1 cells. BT also decreased the activ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nuclear factor-${\kappa}B$, and caspapase-1.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T has potential as a regulator of inflammatory reactions for the treatment of arthritis such as osteoarthritis and rheumatoid arthritis.

으뜸도라지추출물이 RBL-2H3 세포에서 탈과립과 염증매개물질의 분비 억제에 미치는 영향 (Inhibitory effect of the aqueous extract of a tetraploid 'etteum' variety in Platycodon grandiflorum on degranulation and inflammatory mediator release in RBL-2H3 cells)

  • 정재인;김형서;지한결;이현숙;이재용;김은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3호
    • /
    • pp.208-214
    • /
    • 2018
  • 본 연구는 으뜸도라지추출물의 항알레르기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으뜸도라지추출물 (50, 100 및 $200{\mu}g/mL$) 처리에 따른 RBL-2H3 비만세포의 세포독성을 조사한 결과 으뜸도라지추출물은 모든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았고, ${\beta}$-hexosaminidase assay를 통해 비만세포의 탈과립 억제능을 평가한 결과 재래종도라지추출물과 비교하여 ${\beta}$-hexosaminidase 억제능이 10배 뛰어남을 확인 하였다. 또한 으뜸도라지추출물은 RBL-2H3 비만세포에서 탈과립 후 유리되는 대표물질인 IL-4, $TNF-{\alpha}$, $PGE_2$$LTB_4$의 생성 분비를 현저히 감소시켰고, 이러한 효과는 재래종도라지와 비교하여 월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으뜸도라지추출물이 알레르기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제시하며 향후 항알레르기 기능성 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Scutellaria Extract Decreases the Proportion of Side Population Cells in a Myeloma Cell Line by Down-regulating the Expression of ABCG2 Protein

  • Lin, Mei-Gui;Liu, Li-Ping;Li, Chen-Yin;Zhang, Meng;Chen, Yuling;Qin, Jian;Gu, Yue-Yu;Li, Zhi;Wu, Xin-Lin;Mo, Sui-L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2호
    • /
    • pp.7179-7186
    • /
    • 2013
  • Background and Aims: Scutellaria is one of the most popular traditional Chinese herbal remedies against various human diseases, including cancer.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ctive effects of Scutellaria extract and its main flavonoid constituents on the proportion of side population cells within human multiple myeloma cell line RPMI8226 in vitro and explored the potential molecular mechanisms involved. Materials and Methods: The contents of flavonoids in ethanolic extract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were determin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of the ethanolic extract on RPMI-8226 was determined by CCK assay. Apoptosis was measured by annexin combining with propidium iodide in a flow cytometer. Cell cycle analysis was performed by propidium iodide staining in combination with flow cytometry analysis. Hoechst 33342 exclusion assay was used for the identification of side population within RPMI8226 cells. The expression of ABCG2 protein was assessed by Western blotting assay. Results: The content of major flavonoids constitutents of Scutellaria extract was baicalin (10.2%), wogonoside (2.50%), baicalein (2.29%), and wogonin (0.99%), respectively. The crude Scutellaria extract did not show significant anti-proliferative effect, apoptosis induction and cell cycle arrest in RPMI-8226 within the concentrations of $1-75{\mu}g/mL$. However, the ethanolic extract, baicalein, wogonin and baicalin reduced the side population cells in RPMI-8226, and data showed that baicalein and wogonin had stronger inhibitory effects. Correspondingly, they also exhibited significant effects on decreasing the expression level of ABCG2 protein in RPMI-8226 in vitro. Conclusions: Our results for the first time demonstrated a novel mechanism of action for Scutellaria extract and its main active flavonoids, namely targeting SP cells by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ABCG2 protein. This study provides an insight for new therapeutic strategies targeting cancer stem cells of multiple myeloma.

Superoxide and Nitric Oxide Involvement in Enhancing of N-methyl-D-aspartate Receptor-Mediated Central Sensitization in the Chronic Post-ischemia Pain Model

  • Ryu, Tae-Ha;Jung, Kyung-Young;Ha, Mi-Jin;Kwak, Kyung-Hwa;Lim, Dong-Gun;Hong, Jung-Gil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3권1호
    • /
    • pp.1-10
    • /
    • 2010
  • Background: Recent studies indicate that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re involved in persistent pain, including neuropathic and inflammatory pain. Since the data suggest that ROS are involved in central sensitization,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levels of activated N-methyl-D-aspartate (NMDA) receptors in the dorsal horn after an exogenous supply of three antioxidants in rats with chronic post-ischemia pain (CPIP). This serves as an animal model of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ype-I induced by hindpaw ischemia/reperfusion injury. Methods: The application of tight-fitting O-rings for a period of three hours produced CPIP in male Sprague-Dawley rats. Allopurinol 4 mg/kg, allopurinol 40 mg/kg, superoxide dismutase (SOD) 4,000 U/kg, N-nitro-L-arginine methyl ester (L-NAME) 10 mg/kg and SOD 4,000 U/kg plus L-NAME 10 mg/kg were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just after O-ring application and on the first and second days after reperfusion. Mechanical allodynia was measured, and activation of the NMDA receptor subunit 1 (pNR1) of the lumbar spinal cord (L4-L6) was analyzed by the Western blot three days after reperfusion. Results: Allopurinol reduced mechanical allodynia and attenuated the enhancement of spinal pNR1 expression in CPIP rats. SOD and L-NAME also blocked spinal pNR1 in accordance with the reduced mechanical allodynia in rats with CPIP. Conclusions: The present data suggest the contribution of superoxide, produced via xanthine oxidase, and the participation of superoxide and nitric oxide as a precursor of peroxynitrite in NMDA mediated central sensitization. Finally, the findings support a therapeutic potential for the manipulation of superoxide and nitric oxide in ischemia/reperfusion related pain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