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revision of curriculum

검색결과 347건 처리시간 0.031초

초등학교 컴퓨터과학 교육과정 '문제 해결' 영역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rriculum for Problem Solving Field in the Computer Science of Elementary School)

  • 정인기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7-26
    • /
    • 2007
  • 21세기 IT 선진국을 꿈꾸며 우리나라는 2001년도부터 초등학교를 비롯한 각급 학교에서 컴퓨터 교육을 실시해 오고 있다. 그러나 컴퓨터과학을 도외시한 컴퓨터 기능 위주의 정보 소양 교육은 내용 부실이라는 비판을 받아 왔고, 이에 2005년도에는 "정보통신기술교육 윤영지침 개정안"이 발표되면서 컴퓨터과학의 내용이 추가되어 보다 체계적인 틀을 갖추게 되었다. 그러나 정보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능력 중의 하나인 "문제 해결" 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은 아직 불완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문제 해결" 영역을 중심으로 각국의 초등학교 수준의 컴퓨터 및 수학 교과에서의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초등학교 컴퓨터과학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져야 할 "문제 해결" 영역의 교육과정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 PDF

OECD Education 2030 교육과정 내용 맵핑 본검사 참여 연구 : 수학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ntent curriculum mapping of Korea in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Focused on mathematics)

  • 조성민;이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4호
    • /
    • pp.507-518
    • /
    • 2019
  • OECD는 학습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국제 비교 연구의 일환으로 교육과정을 분석하는 Education 2030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수행된 국어, 수학, 사회/역사, 과학, 체육, 예술(미술/음악), 기술·가정/정보 교과에 대한 교육과정 내용 맵핑 연구(Curriculum Content Mapping, 이하 CCM)의 본 검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CCM 본검사에 참여한 결과 중 수학과의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우리나라 2015 개정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CCM 프레임워크의 역량이 어느 정도로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중학교 가정과 교수와 기술화 교사 및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교육과정 관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spectives on Curriculum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echnology Teachers by Socio-demographic Variables)

  • 박명주;유태명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61-174
    • /
    • 2001
  • In the 7th curriculum revision, Home Economics and Technology are combined into one subject, Practical Arts(Technology Home Economic), from 5th to 10th grad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wamine what perspectives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echnology teachers have on curriculum.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o the 297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echnology teachers across the nation,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their perspectives on curriculum by independent variabl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Both groups of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echnology teachers supported interpretive, emancipators, and technical perspective on curriculum in the order named. 2) Teachers who have teaching experience of 21 years or more showed higher orientation toward technical perspective than those who have teaching experience of 10 years or less in assumptions on society, educational goal, Knowledge, and teaching-loaming method. 3) Public school teachers showed stronger orientation toward technical perspective in assumptions on teaching-learning method, and toward emancipatory perspective in assumptions on society. 4) Teachers who majored in or took charge of Technology generally had strong orientation toward technical perspective, whereas those who majored in or took charge of Home Economics oriented more toward interpretive or emancipatory than technical perspective.

  • PDF

민주주의 실현으로서 핀란드 교육과정개편이 주는 교훈: 누리과정 개편을 위한 논의 (Finnish National Curriculum Reform as the Realization of Democracy: Lessons for Nuri Curriculum Reform)

  • 윤은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73-393
    • /
    • 2015
  • 본 연구는 향후 있을 누리과정 개편에 앞서 자칫 재현될 수 있는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선례분석으로서 1960년 대 이후 핀란드 교육과정개편의 역사와 절차를 살펴보고 거기에서 교훈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핀란드 국가교육위원회(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가 제공한 자료를 중심으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핀란드 교육과정 개편의 역사를 고찰하기에 앞서 심층적 이해를 돕기 위해 핀란드 교육체제 개혁의 역사를 10년 주기로 살펴보았다. 이어서 1968년 이후 진행된 핀란드 교육과정 개편의 흐름에 대해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2012년부터 시작된 "2012-2016/7 핀란드 교육과정 개편"을 기간, 참여대상, 절차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핀란드 교육과정 개편은 오랜 숙고기간, 아래에서 위로의, 모든 과정이 공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핀란드 교육과정 개편은 다름 아닌 민주주의 실현의 장으로서 전 국민이 참여하는 국가적 이벤트로서 오랫동안 자리매김을 해오고 있었다. 이 글은 정책적 특성만이 아니라 교육적 특성이 균형감 있게 공존할 수 있는 누리과정의 개편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 치위생(학)과의 교육과정 개편 방향에 대한 요구도 (The demand for the change in Korean dental hygiene curriculum)

  • 원복연;정의정;장종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61-169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d the demand for the change in Korean dental hygiene curriculum. This study compared the dental hygiene curriculum of domestic and overseas university and tir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tandard curriculum that meets the education policy changes.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a cross-sectional survey of 1,192 participants including dental hygiene professors, dental hygienists and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by mail, telephone call from the professors and research assistants, email, and direct visit from June 10 to August 10, 2013.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4 questions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13 questions of dental hygiene curriculum. Results: The professors answered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dental hygiene curriculum as the first priority(48.9%) and dental hygienists(51.6%) and students(42.6%) chose the development of new dental hygiene curriculum(p<0.001). In the analysis of validity of dental hygiene curriculum, the professors gave 3.29 to the validity of evaluation for basic job performance, and the clinical dental hygienists and the students gave 3.05 and 3.26 points, respectively(p<0.001). In relation to the necessity of the change of the dental hygiene curriculums, the professors gave 4.17 points which implied that curriculum change is the most important and necessary thing to do. The clinical dental hygienists and the students gave 3.90 and 3.47 points, respectively(p<0.001). Conclusions: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 that the revision of the current Korean dental hygiene curriculums is required. Therefore organizations related to dental hygiene including professor association and Kore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should carefully rebuild the curriculum to improve the competency of dental hygienists. They should take the initiative in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curriculum.

교육과정 총론의 문서 체제에 나타난 고등학교 정보과 교육과정의 변천 (Changes in the high school informatics curriculum appearing in the document system of the general guideli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 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27-40
    • /
    • 2016
  • 교육의 변화나 교육과정의 변화는 시대적 필요와 지식의 변화로 인한 필요에 근거한다. 본 연구는 두 가지 필요 모두를 내재한 고등학교 정보과 교육과정의 변천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 총론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연구 진행에 따라 교육과정 총론의 분석을 통해 2007, 2009 개정 시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구성, 정보과 교육과정의 위상 변화, 그리고 정보 과목의 크기를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총론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개선이 요구되었다. 첫째, 이수단위에 대한 명확성, 둘째, 진로선택과목의 타당한 구성, 셋째,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명확한 정의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세계 각국에서 강조되는 SW교육의 관점을 고려하고,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고등학교 정보과에 대해 어떤 편성과 운영을 제시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한국의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수학과 교육과정 규준 CCSSM의 비교.분석 -초등학교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or Mathematics in Korea and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 for Mathematics(CCSSM) in the U.S. -Focus on the Number and Operation Strand in Elementary School -)

  • 안지영;전영주;윤마병;이종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437-464
    • /
    • 2014
  • 본 연구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CCSSM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한국과 미국의 교육과정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 우리나라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CCSSM에서 각각의 내용 영역명과 해당 영역의 학년 분포 및 내용 체계, 내용 규준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기반으로 첫째, CCSSM 내용 영역명에 따른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해당 내용을 분류하여 학년군별로 취합하였고, 둘째, 한국과 미국의 교육과정 내용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비교하였으며, 셋째, 이 과정에서 한국과 미국의 초등 수학교육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 PDF

교육대학 컴퓨터교육과정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Current Status Analysis and Improvement of Computer Curriculum for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박선주;전우천;김현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613-623
    • /
    • 2011
  • 현재 정보통신기술은 나날이 발전하여 우리의 생활과 교육현장에 혁신적인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으나 2007 교육과정 개정이후 학교 컴퓨터교육은 점점 위축되어 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교육대학 교육과정개편은 학교 컴퓨터 교육과정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교육대학 컴퓨터관련 교육과정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전국교육대학 컴퓨터교육과정 현황을 조사 및 분석하고 교사, 학생, 교수의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대학 컴퓨터관련 교육과정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가 교육대학 컴퓨터관련 교육과정 개정작업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영어교과서 개발의 최근 동향 (The Revision of the English Curriculum and Recent Trends on the Development of the English Textbook in Korea)

  • 이재근
    • 영어어문교육
    • /
    • 제8권1호
    • /
    • pp.241-259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cent trends of the development of the English textbooks in EFL situation. The 7th National English Curriculum(NEC) in 2001 which emphasized the curriculum-centered school education have had much influence on the traditional textbook-centered school education in Korea. According to the paradigmatic change of school education, the contents of the English textbooks were changed into the new types of students-centered classroom activities. For students' communicative activities, the English textbooks were developed by two types of syllabuses: process-oriented syllabus and product-oriented syllabus. The 7th NEC includes procedural syllabus and task-based syllabus as well as grammatical- structural syllabus and notional-functional syllabus. In short, unlike the English textbooks in former curriculums, learners' classroom activities and tasks have been emphasized in those to foster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