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purpose of reading

검색결과 1,141건 처리시간 0.024초

부산광역시 독서소외계층 독서문화진흥 현황 및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and Ways to Improvement Directions of Reading Culture Promotion for Reading Disabl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 송정숙;김수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89-111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부산지역 독서소외계층의 독서문화진흥 운영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독서문화진흥 발전방안을 수립하고자 함이다. 부산지역의 공공서관을 비롯하여 독서소외계층시설을 대상으로 독서문화진흥 사업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독서소외계층을 위한 독서문화진흥사업 발전 방안을 도출하고, 부산광역시의 독서문화진흥 발전방안으로 공공도서관과 유관기관 간의 상호협력 모델을 제시하였다.

생산적 독서 습관과 독서에 대한 해석이 독서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roductive Reading Habit and Construal of Reading on Reading Performance)

  • 이국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65-575
    • /
    • 2022
  • 현 연구는 생산적 독서 습관(PRH)과 독서에 대한 해석이 독서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고, 독서를 지속적으로 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 어떤 심리적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309명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PRH이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을 구분하였고, 독서에 대한 구체적(어떻게) 대 추상적(왜) 해석을 점화한 후, 6주간 독서 수행을 조사하였다. 그 후 수집한 자료에 대한 카이스퀘어 분석과 변량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PRH이 높은 집단이 이것이 낮은 집단에 비해 독서한 날 수가 많고, 총 독서 시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RH이 높은 집단은 독서에 대한 해석에 따라 독서한 날 수와 독서시간이 달라지지 않았다. 반면 PRH이 낮은 집단은 독서에 대해 구체적으로 해석하는 조건일 때가 이를 추상적으로 해석하는 조건일 때보다 독서한 날 수가 많고, 총 독서 시간이 길어지는 효과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PH가 낮은 사람들이 과업을 시작하고 집중을 유지할 수 있게 해주는 것에 구체적 해석이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초.중등 학생의 독서 플로우 성향과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n the Affecting Factors, Reading Disposition of Reading Flow of Elementary and Second Students)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51-72
    • /
    • 2010
  • 플로우는 칙센트미하이가 처음 사용한 용어로 특정 활동이나 행동에 완전히 몰두할 때 느끼는 최적의 경험 상태를 말한다. 기존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플로우 현상은 암벽 등반, 예술 활동, 댄스, 모터사이클, 생산적 업무 등 많은 행동을 통해서 체험할 수 있으나 독서를 통해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플로우를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중등학생들의 독서 플로우에 대한 성향을 파악하고, 독서 플로우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설문지는 독서자료, 독서목적, 독서방법 등 6개 영역의 36개 항목으로 구성하였고, 40개 초.중등학교로부터 1,836명의 학생이 참여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는 SPSS18을 사용하여 카이자승, 교차분석,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한국 대학생의 영어독해 전략이 독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orean College Students' Use of English Reading Learning Strategies on Reading Comprehension)

  • 김경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411-418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영어 독해 전략이 영어 독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3개의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대학생이 사용하는 독해 전략을 연구하였고, 둘째, 성별에 따른 영어 독해전략 사용에 대해 연구하였다. 셋째, 영어 숙달도에 따른 영어 독해전략 사용의 차이점을 연구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한국대학생들은 6가지의 범주중 에서 기억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한 반면 초인지전략을 가장 적게 사용하였다. 둘째, 성별에 따라 독해 전략 사용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셋째, 영어 숙달도에 따른 독해 전략 사용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독해전략 사용이 영어 독해 능력을 강화 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영어 선생님들은 영어 독해 수업시간에 학습자들에게 맞는 적절한 독해 전략 사용을 고려하여 수업을 진행 하여야 할 것이다.

1990년대 초 독서 대중화 운동과 독서교육 (A Study on Reading Popularization Movement and Reading Education in the Early Period of 1990's)

  • 윤금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77-407
    • /
    • 2008
  • 이 연구는 1990년대 초기 독서운동과 독서교육의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본고는 근현대 독서 대중화 운동을 전반적으로 검토하기 위한 시론으로서 일제 강점기, 건국기,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독서 대중화 운동 연구에 이은 후속 연구에 속한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 목적은 시기별 독서 현상의 변화상을 비교 분석하여, 오늘에 이르는 독서운동과 독서교육의 현주소를 찾아보려는 데 있다. 제반적인 독서 현상에 대한 분석은 그에 따른 향후 독서운동과 독서교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개시키는 토대를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본론에서는 첫째, 1990년대 초기 독서 대중화 운동의 양상, 둘째, 1990년대 초기 독서경향 등으로 대별하여 고찰하였다. 특별히 독서경향에서는 사회 전반적인 독서운동의 양상과 공교육 내에서의 독서교육 현상을 비교하려는 목적에서, 일반독서와 학생독서를 구별하여 살폈다.

  • PDF

독서 대중화 운동 연구 - 1960년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Reading Popularization Movement : Focus in 1960's)

  • 윤금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71-294
    • /
    • 2007
  • 이 연구는 1960년대 독서 대중화 운동과 독서 경향을 조명하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시기는 공교육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서 교양으로서의 '독서'에 대한 학문적이며 정책적인 관심이 고조되었던 시기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1960년대 독서 및 독서 교육의 제반 현상들을 주로 신문 자료를 토대로 기술함으로, 일종의 '독서 사회'의 형성 과정을 사회학적인 측면에서 살폈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을 제시하면 첫째, 1960년대의 독서 경향으로써 1) 일반 독서 경향 2) 학생 독서 실태를 둘째, 독서 대중화 운동으로서 1) 도서관의 독서 운동 2) 마을문고와 독서 운동을 등으로 대별하여 그 양상을 고찰했다.

  • PDF

영유아 손자녀와 그림책읽기 시 조모의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연구 (Analysis of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 of Grandmothers during Young Grandchildren-Grandmother Picture Book Reading)

  • 김혜진;김명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7-108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randmothers'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 during young grandchildren-grandmother picture book reading. Methods: Participants were fifty-two children aged 22-42 months and their grandmothers. The researcher visited participating children's homes or child care centers and videotaped grandchildren-grandmother book reading activities. Each grandmother read two picture books for each observation. Grandmother surveys were administered after the reading activities. Parent surveys were completed by parents and were returned to the researcher. Results: First, grandmothers began reading picture books to grandchildren when children were 6 to 11-months-old or 12 to 17-months-old. They spent 5 to 10 minutes or 10 to 15 minutes at a time reading books. Second, grandmothers' most frequent verbal behavior during young grandchildren-grandmother picture book reading was 'explaining,' followed by 'questioning,' and 'providing feedback,' in that order. Grandmothers' MLU-eojeol during grandchildren-grandmother reading was 2.56. Their most frequently used nonverbal behavior was 'pointing,' followed by 'gestures.' Last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ndmothers'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 during grandchildren-grandmother reading, depending on the grandmothers' characteristics. Conclusion/Implications: Grandmothers use various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 during grandchildren-grandmother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an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andmothers'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 with grandchildren based on grandmothers' characteristics.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독서와 로봇SW교육 기반 융합교육의 효과 (The Effect of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Reading and Robot SW Education for Improving Computational Thinking)

  • 전수진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53-58
    • /
    • 2020
  •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창의 융합 인재를 키우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SW 교육은 컴퓨팅 사고력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융합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독서교육과 로봇활용 교육 중심의 SW융합교육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카드코딩 기반의 로봇을 이용한 SW 교육과 온작품읽기와 상호텍스트성을 토대로한 독서교육을 융합하여 SW 교육 교수학습을 설계하였다. 결국 이러한 독서와 SW의 융합교육은 컴퓨팅 사고력의 개념, 실습, 관점의 3가지 영역을 모두 향상시켰으며 학습자의 만족도를 높였다.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내 한 학기 한 권 읽기 학습활동의 실현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Realization Aspect of "the Reading a Book per Semester" in the Learning Activities of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 소병문;송기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09-228
    • /
    • 2018
  •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한 학기 한 권 읽기 학습활동을 분석하여 학교도서관과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그동안 독서 활동은 교과 지식과 이원화되어 정규 교과 수업 시간 밖에서 이뤄지는 경우가 많았다. 한 학기 한 권 읽기는 "국어" 정규 수업 시간 내 이뤄지는 독서 활동으로, <읽기-생각나누기-표현하기>를 기본 모형으로 개발되었다. 하지만 실재 11종 "국어" 교과서 22개 유형의 한 권 읽기 학습활동을 분석한 결과, 한 권 읽기는 <도서 정하기-읽기-표현하기>로 실현되었다. 단계별 학교도서관과 협력방안으로, 도서 정하기 단계는 학교도서관을 대상 도서 검색 공간으로 활용하고, 읽기 단계는 독서전략을 추가, 보완해 독서일지를 재구성하며, 표현하기 단계는 기존 독후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권 읽기의 단계별로 협력함으로써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은 더욱 견고해질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과학 텍스트 의미지도 읽기 전략이 고등학생의 추론적 이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mantic Mapping as a Science Text Reading Strategy On High School Students' Inferential Comprehension)

  • 이수진;박지훈;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7권5호
    • /
    • pp.362-377
    • /
    • 2023
  • 이 연구는 과학 텍스트 읽기 전략으로 의미지도가 고등학생의 추론적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3학년 과학중점반 2개 학급 학생 46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의미지도 읽기 전략을 활용하여 8개 주제의 과학 텍스트 읽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의미지도 읽기 전략이 과학 텍스트의 추론적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이 작성한 사전·사후 읽기 능력 검사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추론적 이해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추론적 이해 분석틀을 개발하여 추론적 이해 수준을 분석하였다. 추론적 이해 변화를 분류하기 위해 추론적 이해 분석틀의 세부 항목인 3개 항목의 수준을 점수로 환산하였다. 학생들의 추론적 이해 변화 분석 결과는 의미지도 읽기 전략 수업이 고등학생의 추론적 이해 변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추론적 이해의 하위 유형 중 교량 추론과 정교화 추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