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purpose of reading

검색결과 1,126건 처리시간 0.026초

Eye Dominance and Reading Speed

  • Chen, Ai-Hong;Mustapha, Nurfazliha;Rahman, Muhamad Irwan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33-338
    • /
    • 201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ye dominance and reading performance based on eye movements and reading speed. Methods: The eye dominance of 30 subjects was determined using the sighting test (hole formed by hands). The subjects were asked to read the numerical reading material aloud in English from left to right and from right to left at random. The number of saccades, regressions, and inter-fixations per minute was calculated using Visual-Oculography (VOG) and the reading speed was recorded as number of characters per minute using stopwatch.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ading speed among right and left eye dominant subjects as they read from left to right and right to left directions (p>0.05). However, left eye dominant subjects were found to read significantly faster compared to right eye dominant subjects in both directions of reading (p<0.05). In term of eye movement pattern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ccades, regressions, and inter-fixations per minute were found between subjects with right eye dominance and left eye dominance for both reading directions (p>0.05). Conclusions: Reading performance in term of eye movement and speed was not affected by eye dominance, but subjects with left eye dominance read faster than subjects with right eye dominance.

디지털 시대 고전시가 읽기 (On the reading method of Korean old poetry in the digital age)

  • 염은열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16호
    • /
    • pp.65-90
    • /
    • 2008
  • This study is on the reading method of Korean old poetry in the digital age. Now days, we are living in digital media. The method of getting, organizing, and producing information is changed a lot. So for keeping pace with this change, we should reflect our teaching method. Of course, the purpose of our reflection is not to follow digital media's method and change or alter existing reading or teaching method, but it is to identify proper own reading strategy of old poetry and adjust existing method for our student who are skilled with digital media. We propose three kinds of method for student readers in school. These are 1) starting like a newspaper reader, 2) getting context (reading, making hyperlink), and 3) figuring as an architect (reading as space or scenery creator). In addition, we think about recent tendency that Korean old poetry is de-constructed and re-constructed as digital contents in digital space. We call it digitalizing of old poetry. The experiencing old poetry as a digital contents is different from reading old poetry, so we cannot alter old poetry reading experience into experience of digital contents. In conclusion, digitalizing contents should be used restrictively to fertilize reading experience of original old poetry.

학년별 독서방식이 어린이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rade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Reading Methods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he Children)

  • 조미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51-271
    • /
    • 2007
  • 본 연구는 음독, 묵독, 다독, 정독, 통독, 발췌독 등의 독서방식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학년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검증하기 위해 초등학교 2학년, 4학년, 6학년 12개 반의 전체 어린이 286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특성 검사지 결과와 질문지로 조사한 독서방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어린이들에게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독서방식은 정독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독서방식은 2학년의 경우에는 통독, 4학년과 6학년 어린이의 경우에는 정독인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대 독서운동과 독서경향 연구 (A Study on Reading Movement and Readers' Interest in the Period of 2000's)

  • 윤금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67-297
    • /
    • 2008
  • 이 연구는 근현대 독서 대중화 운동을 전반적으로 검토하기 위한 한 과정으로서, 2000년대 독서운동과 독서교육의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간 근대 독서가 시작된 192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의 독서 운동과 독서교육에 관하여 고찰한 바 있으며 본고는 그 후속 연구에 속한다. 본고에서는 2000년대의 독서현상을 전 시기의 독서 현상과 비교 분석하여, 그 특징적인 면을 도출해 내고 독서운동과 독서교육의 현주소를 찾아보려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염두에 두면서 본론에서는 첫째, 독서운동으로 1) 도서관과 공공기관의 독서운동, 2) 서점 및 매체, 각종 단체의 독서운동, 3) 학생 독서운동과 학교 독서교육 등으로 나누어 고찰하였으며, 둘째, 독서경향은 1) 일반 독서경향, 2) 학생 독서경향으로 대별하여 그 특징적인 경향을 살폈다. 독서운동과 독서경향에 대한 이러한 분석은 향후 독서교육 및 독서 대중화 운동을 효과적으로 전개시키는 토대로 작용할 것이다.

  • PDF

독서문화진흥사업 평가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Reading Culture Promotion Programs)

  • 황금숙;서우석;백원근;이연옥;김은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89-314
    • /
    • 2016
  • 2006년 "독서문화진흥법"제정에 따라 제1차, 제2차 독서문화진흥기본계획(2014~2018)이 수립되는 등 국민 독서문화진흥을 위한 정책과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독서문화진흥사업에 대한 성과를 점검하는 시스템의 부재로 인해 사업의 체계적인 추진이 미흡한 상황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본 연구에서는 독서문화진흥사업에 대한 심층적이며 체계적인 평가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독서진흥사업 평가를 위한 평가체계를 개발하여 평가하였으며, 평가를 토대로 사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하여 국민의 독서문화 저변 확대를 위한 독서문화진흥 시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학교도서관 중심의 독서교육 내용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cope and Sequence of Reading Education in School of Library)

  • 변우열;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11-141
    • /
    • 2006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중심의 독서교육을 위한 내용체계 즉, 범위와 계열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독서교육 내용체계를 비교 분석하여 공통적인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독서교육의 내용체계 즉, 범위와 계열을 설정하였다. 우리나라의 고등학교 독서 교과의 교육과정은 물론 미국과 일본의 대표적인 독서 관련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10개 영역, 45개 요소의 독서교육 내용(요소)을 1차적으로 설정하였다. 초 중등학교 현장의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1차적으로 설정한 독서교육의 범위(요소)에 대한 타당성과 지도하기에 적합한 학교 급별 수준을 조사한 후 최종적으로 학교도서관 중심의 독서교육 내용체계 즉, 범위와 계열을 제안하였다.

  • PDF

PISA 2009에서 도서관방문이 독서태도 및 독서방법과 읽기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Library Use Factor on Reading Achievement, Reading Attitude and Behavioral Factors of PISA 2009)

  • 박주현;사공복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69-191
    • /
    • 2014
  • 이 연구는 OECD PISA 2009 원자료를 활용하여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영향력과 책무성을 확인하고 공교육의 내실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OECD PISA 2009에 참여한 우리나라 만 15세 4,989명의 설문자료와 읽기성취도 점수를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통하여 도서관방문이 독서태도와 독서방법 및 읽기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서관방문은 독서태도, 독서방법 및 읽기성취도와 인과관계가 있었으며, 독서태도는 독서방법 및 읽기성취도와, 독서방법은 읽기성취도와 인과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인과관계에 집단을 적용한 결과, 일부 개별 경로에서 집단이 조절변수로 작용하였다.

고등학생의 학교생활기록부 독서활동 기록에 대한 인식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f Perception and Improvement in Records for Reading Activities in High School Student)

  • 최영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5-2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학교생활기록부 독서활동 기록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된 자료를 토대로 학교생활기록부 독서활동 기록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독서활동상황' 기록에 대한 만족도, 독서활동 기록의 필요성, 독서활동 기록 방법 등에서 부정적인 반응이 나타났다. 고등학생들의 독서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현재 기록 방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학생들이 독서를 통해 성장한 내용을 도서명으로는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성장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독후활동 기록, 교과교사와의 상호작용 활동 등을 기록하는 방법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가 대학의 학생부종합전형에서 독서평가 방법의 변화와 학교 현장의 바람직한 독서문화에 큰 역할을 할 것을 기대한다.

학교 영어 도서관 운영 실태와 효과적인 운영 방법에 대한 기초 연구 (A study on the school English library)

  • 장경숙;이병천;권혜경
    • 영어어문교육
    • /
    • 제16권3호
    • /
    • pp.317-337
    • /
    • 2010
  • The present study has a dual purpose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school English library and needs required for its effective use, and to propose a reading program at the school library. The literature on school library was reviewed. A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to find out the current situation of English library at the secondary school. The analysis of 26 secondary English teachers' responses reveals that there was the absence of librarians or reading specialists at the school English library. It was also found that the uses of the English library were limited due to the absence of the specialists, no guidelines, and no link between the curriculum and the library use. A case study on a 2-week special reading program at the school English library was conducted and 15 middle school students took part in the project. The participants took pre- and post-tests to identify their reading level using a software and did a variety of reading activities using the books selected according to their level. The comparison of the tests shows that most of the students' reading level improved after the reading program. The analysis of their views on the program and its effects reveals that they gained confidence in reading and their vocabulary understanding was improved. Some suggestions are made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the school English library.

  • PDF

EFL Colleg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during Film-based Reading Class: Focused on the Analysis of Students' Reflective Journals

  • Baek, Jiye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4호
    • /
    • pp.49-55
    • /
    • 2019
  • In the age of information, newly produced knowledge is mostly written in English. Therefore, there has been a strong demand for English language learning in the EFL context. However, most EFL learners possess a lack of interest and motivation in the text-based reading class. In this educational context, film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materials in English reading classes considering that modern learners are predominantly familiar with various audiovisual materi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Korean EFL learners experienced in the film-based reading class.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L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class and learning strategies that they used during the class. In order to comprehensively interpret the EFL learners' experiences in the classroom, a coding system consisting of five categories was developed: report, emotion, reflection, evaluation, future plans.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use of movies in English reading classes had positive effects on reading comprehension and inference of word meaning. The most frequently used learning strategies were affective strategies which helped them control their emotion, attitude, motivations and values, whereas memorization strategies were rarely used. In this respec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use of movies in the EFL reading classroom encourage students' attention and help them obtain and activate schema which is useful in gain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text-based reading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