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level of death anxiety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7초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죽음인식에 대한 태도 (Attitudes toward death awareness among department of health university students)

  • 유은영;양유정;정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241-251
    • /
    • 2017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죽음인식 태도와 관련 요인을 조사하여 죽음의 태도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2015년 12월 1일부터 30일까지 G지역 대학생 314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죽음인식 수준은 2.04점으로 보통수준이며, 평균점수는 고통불안 2.49점, 죽음불안 1.95점, 내세불안 1.86점으로 나타났다. 죽음인식 하위영역은 연령, 학년, 건강상태, 생활정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고통불안, 죽음불안, 내세불안은 각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죽음불안과 내세불안에 영향을 미치며, 2학년은 고통불안과 내세불안, 건강상태는 고통불안, 생활정도는 고통불안, 죽음불안, 내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음이 현실과는 멀게만 느껴져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크지 않았다. 그러나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인식은 보다 평화로운 죽음으로 이끌 수 있으며, 현재의 삶을 더욱 보람되게 살 수 있다. 죽음과는 거리가 먼 대학생들에게도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죽음 준비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우울, 죽음불안, 사회적 지지가 독거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Depression, Death Anxiety, and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derly Living Alon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 장연식;모선희
    • 한국노년학
    • /
    • 제37권3호
    • /
    • pp.527-54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의 부정적 정서인 우울, 죽음불안과 함께 사회적 지지가 독거노인들이 스스로 회복할 수 있는 탄력성의 매개경로를 통해서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경로의 영향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에 거주중인 65세 이상의 독거노인 98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후,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측정변수 간 차이에서 우울은 성별, 학력, 건강상태, 경제상태에서, 죽음불안은 성별과 학력에서, 사회적 지지는 성, 연령, 학력, 지역, 건강상태와 경제상태에서, 탄력성에서는 성, 연령, 학력, 건강상태, 경제상태에서, 심리적 안녕감은 성, 학력, 건강상태, 경제상태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독거노인의 우울과 죽음불안 및 사회적 지지 변수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경로와 영향력에서 우울은 부적으로, 사회적 지지는 정적으로 직접적인 경로의 영향력이 유의하게 미치고 있으며, 죽음불안은 직접적인 영향력이 유의하게 미치지 않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거노인의 우울과 죽음불안 및 사회적 지지 변수가 매개변수인 탄력성에 미치는 경로와 영향력에서 우울은 부적인 관계, 사회적 지지는 정적인 관계에서 직접적인 경로의 영향력이 유의하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독거노인의 매개변수인 탄력성은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미치고 있었다. 또한 탄력성의 매개기능을 통해서 부정적 요인을 감소시키고, 긍정적 요인은 증진시켜서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관계를 파악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독거노인을 위한 정서지원 정책을 마련하는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노인의 죽음준비도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 -우울 및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ath Preparation of the Aged and Successful Aging -Focusing on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as Mediators-)

  • 문남숙;남기민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1227-1248
    • /
    • 2008
  • 본 연구는 노인의 죽음준비도를 독립변수로, 노인의 우울 및 죽음불안을 매개변수로, 노인의 성공적 노화로서 자아통합감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청주시에 거주하는 만 60세 이상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구변수들의 차이를 검증하고 이들 변수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해 봄으로써 성공적인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죽음준비 및 건강한 노후생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결과 연구문제에 따라 첫째, 학력, 건강상태, 경제수준, 외부활동량에 따라서는 연구변수들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정신적 죽음준비도는 성공적 노화로서의 자아통합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노인의 의례적 죽음준비도는 성공적 노화로서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정신적 죽음준비도가 성공적 노화로서의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을 노인의 우울 및 죽음불안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과 죽음불안 및 자아존중감이 임종간호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Death Anxiety and Self-Esteem on Terminal Care Stress of Geriatric Hospital Nurses)

  • 김원순;조헌하;권수혜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9권2호
    • /
    • pp.154-162
    • /
    • 2016
  • 목적: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과 죽음불안, 자아존중감 및 임종간호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임종간호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K시와 B광역시 소재 10개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212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수행이었으며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수행 정도가 높을수록 임종간호스트레스가 높았다. 이들 변수들은 임종간호스트레스에 대하여 32.5%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결론: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효율적인 인력배치 등의 행정적인 방안을 수립하고 죽음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임종간호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연구 수행을 제안하는 바이다.

노인의 사회인구적 특성과 죽음불안: 죽음불안의 세부영역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death anxiety among the elderly)

  • 김연숙;김지미
    • 한국노년학
    • /
    • 제29권1호
    • /
    • pp.275-289
    • /
    • 2009
  •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인구적 특성이 전체죽음불안 및 세부영역별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여 노인의 죽음불안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돕고 나아가 다양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에 궁극적인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편의표집한 경기도 S시 재가노인 156명이며, 국내에서 개발된 죽음불안척도를 가지고 개별 면접조사 하였으며 SPSS 1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t검정, F검정과 Scheffe 검정,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대상노인의 전체죽음불안은 2.61(±.47)점이었고 세부영역별로 '죽음과정불안'(2.94점)이 가장 높았다. 노인의 전체 죽음불안 및 세부영역별 죽음불안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요인은 '나이', '경제상태'이었고 개별적으로 전체죽음불안에는 '교육(β=-.16, p=.045)'만 이, '존재상실불안'에는 '가족관계(β=-.21, p=.010)'만 이, '죽음과정불안'에는 '성별(β=.17, p=.028)' 만 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젊은 노인이거나 경제상태가 어려울수록 보편적으로 죽음불안이 높아질 수 있지만 가족관계가 나쁘면 '존재상실불안'이 높고 여성노인은 '죽음과정불안'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노인의 사회인구적 특성에 따라 죽음불안을 느끼는 세부영역이 다를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추후 다양한 대상으로 한 반복연구 및 죽음불안의 설명력을 높일 수 있는 주요 관련변수를 확대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살사건에의 노출과 자살생각의 관련성 : 자살노출, 자살 외 사망노출, 사망 비노출 집단 간 비교 (Association between Exposure to Suicide Events and Suicidal Ideation : Comparison Among Groups with Exposure to Suicidal Death, Non-Suicidal Death, and No Death)

  • 김지은;송인한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8
    • /
    • 2020
  •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exposure to suicide events and suicide ideation by analyzing the levels of suicide ideation among the groups with exposure to suicide death, non-suicide death, and no death in their social relationships. Methods : Data were derived from Wave I of the Longitudinal Study of Suicide Survivors' Mental Health. 1,998 adults nationwide selected using a stratified sampling method based on the Korean Census Data, were categorized into 3 groups with exposure to suicidal death, non-suicidal death, and no death. The levels of depression (Brief CES-D),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suicidal ideation (SSI) were measur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exposure to suicide and the level of suicide ide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fter controlling the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factors including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Results : 32% reported their exposure to suicide.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the suicide-exposed group's level of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but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lower. Multiple regression model revealed that suicide exposur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suicidal ideation at p=0.000 even after controlling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Conclusion : HThe findings suggest that exposure to suicide is a risk factor for suicidal ideation. In the clinical fiel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atients' experience in exposure to suicide while treating and intervening in suicide-related cases. At the policy level, a mental health system for suicide prevention should consider this risk factor for those exposed to suicide in their family and social relationships.

중환자실 환자의 입원시 불안정도와 영향요인 (The Level of Anxiety and Relating Factors of ICU Patients)

  • 한경신;박영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55-166
    • /
    • 200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gure out the level of anxiety and relating factors of ICU patients as the hospitalization in ICU grows more recentl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ly 1st to August 31st, 2001.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101 ICU patients who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criteria in S hospital, C city. The instruments of the research were consisted of 14 questions of general characteristics, 20 items of STAI, VAS, 24 questions for the anxiety relating factors. An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for group difference and correlation with SPSS Win 10.0 program. The followings were the results of the study: 1. In the anxiety level, mean score on STAI was 53.7(item mean $2.69{\pm}.83$), and mean score on VAS was 5.23. It means that the anxiety level of ICU patients was moderate. 2. Among the relating factors of anxiety, the most highest scores were 'by seeing other patient's emergency situation' and 'by seeing other patient's death' figured 3.85 and 3.79 each. And the lowest marks were 'by the unkind behavior of doctors and nurses'(2.13) and 'nurses' or doctors' indifferent actions'(2.21). And the anxiet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factor was the highest (3.17) and the anxiety regarding to the human relationship was the lowest (2.53). 3. In the anxiety level STAI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patients who didn't have to take care of their family showed more anxiety than who had to take care of their family(t=-2.38, p=.02). And the variables that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VAS was sex and women's anxiety was higher than men's level (t=-2.56, p=.01). 4. When the physical anxiety level was compared, the patients who had to take care of their family showed more anxiety than the people who didn't have to take care of their family(t=-1.95, p=.05). In the level of anxiety relating the human relationship, the patients who had religion showed more anxiety than patients who didn't(t=2.43 p=.02). And the married patients(t=2.43, p=.01) and more educated people(F=3.77, p=.01) showed more anxiety. Even though environmental anxiety was the highest factor, it was not significant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5. The anxiety and relating factors showed positive significant relationship, and physical anxiety factor showed the strongest relation with STAI(r=.21, p<.01). And VAS level showed stronger relation with every factor of the anxiety than STAI. When the VAS level became higher, the anxiety relating to physical factor(r=.72, p<.01), human relationship(r=.63, P<.01), and environment became higher.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 the environmental anxiety was the highest level than other factors in ICU patient and thus the environmental nursing intervention becomes very important in ICU. Also nurses in ICU have to support the patients who showed higher level of anxiety in this study and try to develop the nursing intervention to relieve the anxiety of patients. And it is recommended that VAS is convenient and practical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anxiety level in ICU patients.

  • PDF

간호사의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스트레스 및 임종간호수행 (Death Anxiety and Terminal Care Stress among Nurses and the Relationship to Terminal Care Performance)

  • 우영화;김경희;김기숙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6권1호
    • /
    • pp.33-41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간호사의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스트레스 및 임종간호수행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임상간호현장에서 임종간호수행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방법: 연구의 대상은 180명의 서울시내 일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임종간호경험이 있는 간호사이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와 One-way ANOVA, Pearson's 상관계수를 확인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스트레스, 임종간호수행의 차이는 근무부서, 결혼여부, 교육정도 및 호스피스 교육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한 임종간호스트레스와 임종간호수행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간호사들의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노력을 통해 임종간호수행의 향상을 가져올 수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 향상을 위해서는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다양한 수준에서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호스피스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영적 안녕감과 죽음 준비도 그리고 내세관이 죽음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Influence the Attitude of Death of the Old Ages for Afterlife View and Death Preparation and Spiritual Wellbeing)

  • 김혜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92-503
    • /
    • 2016
  • 본 연구는 노년기 영적안녕감과 죽음 준비도 그리고 내세관이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태도를 형성하여 죽음불안을 경감시키고, 만족스러운 노년의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실천적 개입기술을 개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원주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들에게 설문지법으로 조사하여 SPSS 통계프로그램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적안녕감과 죽음준비도 그리고 내세관이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p<.001) 차이가 나타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는 내세관, 죽음준비도, 영적 안녕감이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의 상대적 중요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P<.001)로 99.9% 신뢰수준 이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죽음준비도, 영적 안녕감 순으로 죽음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며, 내세관은 다른 두변수가 영향을 미칠 경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변수로 나타났다. 셋째는 인구사회학적 변인 포함 후 죽음준비도, 내세관, 영적 안녕감이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경제수준차이에서만 (p<.05)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죽음 준비도, 영적 안녕감은 노인의 삶의 질을 좌우하는 부분으로서 죽음불안을 해소하는 데 큰 영향이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미는 죽음에 대한 불안을 긍정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는 점을 검증할 수 있었다는데 의미가 있다.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내세관에 관한 연구: 긍정적 만족감 및 죽음준비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lderly's Self-Esteem and View of the Afterlif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Death Preparation)

  • 하춘광;김효순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2권4호
    • /
    • pp.325-33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the view of the afterlife of the elderly by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satisfaction and death preparation.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rest of life and contributes as exploratory research toward strengthening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well-being of the elderly. After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e found that self-esteem influenced their view of the afterlife through mediating effects such as positive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death prepa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esent not only in recovering from death anxiety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level of death preparation and, the view of the afterlife but also in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intervention materials, which can be useful in social work for the elderly. The elderly's view of the afterlife should be strengthened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programs on death preparation that deal with the existence of the afterlife and life after death. However, this study has the limitation that only people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not in the other areas of the country were considered in this research. Nevertheless, within its limitation, this study's findings are promising, as they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the view of life and death of the elderly; further, the study has academic meaning with respect to helping the elderly successfully carry out their life development tasks and significantly prepare for the rest of their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