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Depression, Death Anxiety, and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derly Living Alon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우울, 죽음불안, 사회적 지지가 독거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탄력성의 매개효과

  • Jang, Yeon-Sik (Dept. of Social Welfare, DaeJeon Health Institute of Technology College) ;
  • Mo, Seon-Hee (Dept. of Social Welfar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장연식 (대전보건대학교 사회복지과) ;
  • 모선희 (공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7.05.31
  • Accepted : 2017.07.12
  • Published : 2017.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depression, death anxiety, and social support can exert influence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derly living alone through a parameter of resilience. A survey was conducted involving 988 elderly over the age of 65 living alone in the Daejeon metropolitan area and Chungcheongnam-do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e equation mod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measurement of variabl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epress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gender, level of education, health, and financial condition, while death anxiety differed depending on gender, and level of education.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age, level of education, region, health, and financial condition. The level of resili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age, level of education, health, and financial condition. Psychological well-being varied according to gender, level of education, health, and financial condition. Second, the effects of depression, death anxiety and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examined. It was found that depression had a negative influence and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impact while death anxiety showed no influence. Third, with regard to the effects of depression, death anxiety, social support on resilience, depression was found having negative influence, whereas social support having positive influence. Forth, psychological well-being was positively affected by resilience. Also, through the mediated pathway of resilience,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seemed to totally improve when the negative factors were reduced and the positive ones promoted. This study may have some significance in reference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derly living alone and to develop social welfare service programs and policies in the field.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의 부정적 정서인 우울, 죽음불안과 함께 사회적 지지가 독거노인들이 스스로 회복할 수 있는 탄력성의 매개경로를 통해서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경로의 영향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에 거주중인 65세 이상의 독거노인 98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후,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측정변수 간 차이에서 우울은 성별, 학력, 건강상태, 경제상태에서, 죽음불안은 성별과 학력에서, 사회적 지지는 성, 연령, 학력, 지역, 건강상태와 경제상태에서, 탄력성에서는 성, 연령, 학력, 건강상태, 경제상태에서, 심리적 안녕감은 성, 학력, 건강상태, 경제상태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독거노인의 우울과 죽음불안 및 사회적 지지 변수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경로와 영향력에서 우울은 부적으로, 사회적 지지는 정적으로 직접적인 경로의 영향력이 유의하게 미치고 있으며, 죽음불안은 직접적인 영향력이 유의하게 미치지 않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거노인의 우울과 죽음불안 및 사회적 지지 변수가 매개변수인 탄력성에 미치는 경로와 영향력에서 우울은 부적인 관계, 사회적 지지는 정적인 관계에서 직접적인 경로의 영향력이 유의하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독거노인의 매개변수인 탄력성은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미치고 있었다. 또한 탄력성의 매개기능을 통해서 부정적 요인을 감소시키고, 긍정적 요인은 증진시켜서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관계를 파악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독거노인을 위한 정서지원 정책을 마련하는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