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commons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32초

도서관 정보코먼스에서 러닝코먼스로의 진화 - 일본 공공도서관의 러닝코먼스화 사례를 중심으로 - (Evolution of Public Library from Information Commons to Learning Commons - The Cases of Japan Public Library -)

  • 임형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441-462
    • /
    • 2014
  • 본 연구는 최근 문헌정보학에 대두되고 있는 정보코먼스 및 러닝코먼스에 대한 개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일본 공공도서관의 러닝코먼스화 사례연구를 통하여 공공도서관의 러닝코먼스화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러닝코먼스화 분석을 위해 러닝코먼스의 구성요소를 이론적으로 정리해보고, 공공도서관에 적합한 분석의 틀을 설계하고 일본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사례 분석의 결과, 도서관이 정보의 도구에 의해 주도된 정보 코먼스를 넘어 본연의 학습기능으로 돌아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러닝코먼스를 지향하는 공공도서관이 해야 할 미래 과제에 대한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대학도서관의 정보공유공간(Information Commons) 적용 모형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Model of Information Commons in the University Libraries)

  • 정재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01-221
    • /
    • 2007
  • 정보환경과 이용자 요구의 변화, 그리고 이에 따른 도서관 역할변화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짐에 따라 정보와 정보기술, 교육, 학습, 그리고 문화적 기능을 통합한 Information Commons의 개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Information Commons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요소에 대한 고려와 적용을 위한 모델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Information Commons 도입을 위한 요소의 제시 및 적용과정의 제안과 함께, Information Commons의 적용이 비교적 잘 이루어져 있는 Arizona 대학도서관과 Indiana 대학도서관의 Information Commons를 모델로 S대학도서관에 Information commons의 개념을 도입한 가상의 리노베이션을 시도해 보았다. 이는 Information commons 적용의 예를 제시함으로써 보다 활발해질 논의에 대한 사례를 제공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 PDF

문화공유지(Cultural Commons) 개념에 의한 대학도서관의 공간프로그램과 디자인방법의 특성 - 타마미술대학 도서관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University Library's Space Program and Design Characteristics with the Concept of 'Cultural Commons' - Focused on the Tama Art University Library -)

  • 편영희;박찬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48-58
    • /
    • 2015
  • This study is to conclude a direction for Information Commons, which supports the university library in a new role. The study explains perspectives on the changing role of the university library by examining the approaches, histories, and theories practiced by various researchers on Information Commons. The study aims to discover ways of improving the library space that are dedicated to technology using Information Commons, it also examines ways of creating a unified "library space" that will support learning and access to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features of Cultural Commons include making improvements to technology-centered space, and providing support to research, freedom of speech, creative approach, public freedom and collaboration, and interaction. The functions of Cultural Commons within the university library are listed: First, it supports programs that will transform the library into a social hub within the university. The space specifically blurs the boundary between the library building and its surroundings, and unifies these spaces to enhance its catalytic role in aiding social interactions and human-centered approach. Second, it supports active participation through cultural programs and provides a fluid and interactive space with virtual resources. Third, it enhances user experience to supports behaviors and activities that involve fixtures and equipment in the space to promote learning. The study notes that, with the emergence of these characteristics, the university library is changing by implementing Cultural Commons for on-campus social space and new learning. Accordingly, this implementation is expected to enhance active acceptance of the library space in the future.

"Here, This Speck and This Speck That You Missed": A Poetics of the Archive in Myung Mi Kim's Commons

  • Kim, Eui Young
    • 영어영문학
    • /
    • 제56권6호
    • /
    • pp.1119-1133
    • /
    • 2010
  • This paper explores Myung Mi Kim's poetics of the archive in Commons. Commons begins with a gesture that critiques a prior act of archivization: "Here, this speck and this speck that you missed." As the poems accrue in the book, Commons demonstrates the desire to record those experiences that have been neglected by the architects of traditional archives while at the same time interrogating the very logic of the archive. Crucial to that interrogation is the poetic form. Kim's attempt to archive silences and gaps leads to a radical experiment with form and language. It reformulates the archive as an open system amenable to interruption, extension, and revision. I examine in detail the techniques that contribute to her poetics of the archive, a poetics that draws the readers out of the narrow confines of their personal experiences and their political identities. By juxtaposing Kim's poems with her statements of poetics given as interviews, this paper connects the project of Commons to Kim's larger concern with open form and experimental writing. I argue that the "difficulty" of her poetry should be reinterpreted as a demand that her text makes on the readers to broaden their terms of engagement. The linguistic experiment of Commons provides an occasion to rethink the habitual ways in which time is experienced, national histories are written, and literary works are consumed.

글로벌 개방형 연구데이터 커먼즈 및 시사점 (Global Open Research Commons and Implications)

  • 송사광;조민희;이미경;임형준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5-88
    • /
    • 2023
  • 오픈 사이언스 운동의 활성화로 인해 다양한 연구 관련 자원들 간의 상호 운용성 확보를 위한 노력이 활발해지고 있다. 특히, 글로벌 연구데이터 커먼즈(Global Open Research Commons) 모델 개발 관련 표준화 활동이 세계 최대 연구데이터 커뮤니티인 RDA(Research Data Alliance)의 주도로 진행되어 왔고, 최근에 GORC Working Group 에서 버전 1.0 모델을 오픈하였다. 이에 이 모델에 대해 살펴보고 국내의 연구데이터 커먼즈인 KRDC(Korea Research Data Commons)와 비교 및 시사점을 논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소개한다.

개방형 연구 커먼즈에 대한 연구자 요구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earchers' Needs for Open Research Commons)

  • 심원식;안혜연;박규리;송사광;임형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209-23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방형 연구 커먼즈(Open Research Commons)의 구현을 위하여 연구데이터 플랫폼에 대한 연구자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설문은 대표적인 연구데이터 커먼즈라 할 수 있는 유럽 EOSC와 호주 ARDC의 플랫폼 서비스 사례를 분석하여 도출한 주요 서비스 내용을 참고하여 설계하였다. 설문지는 크게 5개 영역(응답자 일반적 특성, 연구데이터·분석도구·컴퓨팅 자원의 활용 및 연구데이터 커먼즈의 필요)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데이터 플랫폼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기 위하여 관련 플랫폼을 통해 잠재적 이용자 550명이 완료한 응답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응답자의 약 85%가 연구데이터 커먼즈의 필요성에 동의하였으며, 커먼즈 서비스가 제공되면 이를 통하여 본인의 연구데이터(약 77%)와 분석도구(약 84%)를 공유하고자 하는 의향과 공유된 연구데이터(약 92%)나 분석도구(약 93%), 컴퓨팅 자원(약 93%)을 활용하고자 하는 의향이 나타났다. 즉 많은 연구자들이 개방형 연구 커먼즈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은 것이라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연구데이터 서비스 분야에 있어 커먼즈에 대한 논의는 아직 생소한 것으로, 향후 주제분야, 이해관계자 특성, 커먼즈 플랫폼의 실질적 이용자 등을 다양한 측면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정보공유공간이 이용자 유동패턴과 도서관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Commons on User Traffic Patterns and Perceptions of the Library)

  • 박지홍;박진희;남은경;이서하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93-110
    • /
    • 2013
  • 정보에 대한 접근을 증가시키는 기술의 사용은 지난 십 년 동안 대학도서관 서비스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정보공유공간의 등장은 이러한 변화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대부분의 이전 연구는 이의 개념이나 역할에 치중하였다. 반면, 정보공유공간을 공간서비스로 파악하고 있는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공유공간이 이용자 유동패턴과 도서관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데 있다. 정보공유공간이 도서관의 주요 공간과 시설로 자리매김하였고 이에 따라 이들이 이용자의 행위와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두 가지의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관찰법을 사용하여 이용자들의 유동 패턴 및 행위를 관찰하였고, 둘째, 정보공유공간에 대한 이용과 인식에 관한 인터뷰를 20명의 학부학생과 12명의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학부학생과 대학원생은 서로 차별화 되는 유동패턴을 보였고, 시설의 위치와 구조는 이용자들의 움직임과 행위에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정보공유공간에 대한 인식은 도서관 전반에 대한 인식으로 해석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이용자 요구를 고려한 도서관 공간 설계 및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Information Commons기반 하이브리드(Hybrid)도서관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Hybrid Library Model based on Information Commons)

  • 정재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59-73
    • /
    • 2009
  • 도서관이 자료의 소장과 열람을 위한 공간만이 아닌 연구와 학습, 커뮤니케이션과 문화의 중심역할을 수행할 수있다면 '공간'으로서의 도서관은 무한한 가능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실제(real)공간을 중시하는 전통적인 도서관과 가상(Cyber)공간의 활용을 중시하는 디지털도서관의 결합이라고 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도서관 구현을 위한 바람직한 방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가능성을 위해 공간과 정보기술, 그리고 서비스의 효과적인 결합을 의미하는 Information Commons를 기반으로 하이브리드 도서관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Information Commons 도입을 통한 서비스의 국내 외 사례 및 결합의 형태를 분석하였으며 운영을 위한 요소를 추출하였다. 또한, Information Commons 기반 하이브리드도서관의 서비스 개념 및 정보서비스 모형을 제시하였다.

국립디지털도서관 정보광장 이용자의 만족도 및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and Information Behavior of Information Commons in the National Digital Library of Korea)

  • 장윤금;이지수;이혜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01-220
    • /
    • 2014
  • 본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 정보광장 이용자를 대상으로 이용자만족도 설문조사를 통하여, 현재 정보광장의 서비스가 이용자의 만족도를 얼마나 성취하고 있는가를 분석하고, 도서관의 공간별 이용행태를 분석하였다. 이용자만족도는 정보광장 11개 공간/시설에 대해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전반적인 만족도를 측정할 수 있게 하였으며, 각 공간별 이용자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정보광장 개관 이후 실시된 이용자만족도와 현재 이용자 만족도의 점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정보광장에 대한 이용자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개관 이래 큰 변화 없이 지속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정보광장의 공간 중 '디지털열람실'의 만족도 점수가 83.8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UCC 스튜디오'의 만족도가 70.8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대학도서관의 Information Commons(정보공유공간) 도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Information Commons to the University Libraries)

  • 정재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67-87
    • /
    • 2007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효과적인 공간 활용과 이용자서비스를 위해 미국을 중심으로 90년대 이후 점차 확산되고 있는 Information Commons의 국내 대학도서관 적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도서관의 정보와 전자자원을 통합 제공함으로써 이용자들의 연구 및 과제와 관련된 모든 작업을 한 장소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Information Commons는 이용자 및 정보환경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국내 대학도서관에도 적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Information Commons 도입에 따른 문제를 최소화하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설치 이전에 PC실, 멀티미디어실, 교육장, 개인용 및 그룹용 스터디룸, 그리고 까페 라운지 등의 물리적요소와 참고질문 및 정보기술문제의 해결을 통해 Information Commons를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고 정보활용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인적요소에 대한 확보가 필수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