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class of home economics

검색결과 427건 처리시간 0.015초

가정과 실습의 효율화를 위한 학습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의생활 영역의 스커트 만들기를 중심으로 - (The Rearch for the development of practice material in Home Economics)

  • 김기애;김여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3-2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clothing-making units in the textbook of Home Economics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I handed out a research paper with several questions to 75 teachers and 87 students to find out the realities of the education. There are several problems of making clothes at class: lack of time, appropriate equipment and efficient learning material. To solve these problems. I made a half-sized skirt kit utilizing OPTI Tex. a type of CAD in fashion design and copied it by silkscreen. and let the students use it. Both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showed positive response to the newly made kit of my own. saying that \"it is very handy to prepare and it\`s very helpful to figure out how to make skirt. \" Using the kit. we could reduce the time to make clothes by about 60 % and do well in the classroom without any sewing machines.

  • PDF

국립민속박물관을 활용한 <의생활문화> PBL 수업 사례 (Case Study of PBL applied field trip in the National Folk Museum on teaching )

  • 신혜원;이정욱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97-109
    • /
    • 2016
  • 가정교육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가정생활문화 교과내용 중 의생활문화 수업에 국립민속박물관 현장학습을 활용한 PBL 수업을 진행하였다. '국립민속박물관 의생활문화 홍보책자 만들기'라는 PBL 문제를 개발하여 가정교육과 3-4학년 23명을 대상으로 박물관이라는 실제 상황을 중심으로 설계된 수업이 1주에 3시간씩 5주간 진행되었다. 학생들의 성찰일지와 자기평가지로 PBL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였고, 박물관 현장학습의 만족도 역시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문제해결방법을 배우고 문제해결과정에서 협동과 의사소통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학습의 주체임을 객관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다만 문제의 다양한 분석과 비판적/창의적 의견, 생각과 아이디어의 논리적 도출부분이 부족했다고 스스로 평가하고 있었다. 그리고 박물관 현장학습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박물관 현장학습 환경 및 진행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중년기 부모 이해 수업이 중학생의 부모-자녀 관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ddle-aged Parent Understanding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on Parent-Child Relationships)

  • 정주연;이서연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5-47
    • /
    • 2022
  • 본 연구는 중학생의 부모 이해 향상을 위해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하여 부모 이해 수업이 중학생의 부모-자녀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1년 7월 5일부터 7월 15일까지 광주광역시에 있는 S 중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기술·가정 수업 시간에 주당 3시간씩 2주 동안 총 6차시에 걸쳐 부모 이해 수업을 시행하였다. 수업이 부모-자녀 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중년 부모에 대한 이해, 부모와의 상호작용 정도, 부모와의 애정도 및 유대감으로 측정하였다. 수업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 동의한 18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온라인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양적 자료는 SPSS Ver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 신뢰도 분석, 대응 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중년기 부모 이해 수업 이후 중년기 발달 특성에 대한 자녀들의 이해도가 증가하였고 청소년기 자녀와 부모 간 상호작용 정도도 증가하였다. 그리고 어머니에 대한 전반적인 애정도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어머니, 아버지와의 전반적 유대감이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기 자녀를 둔 가족의 긍정적인 부모-자녀 관계를 위해서는 기술·가정 교과의 가족 단원에 자녀가 부모를 이해할 수 있는 수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예비교사를 위한 문제중심학습에 기반한 '소비자학' 수업 사례 (A Case Study on the 'Consumer Studies' Class Using Problem-Based Learning for Prospective Home Economics Teachers)

  • 정주원;하오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01-11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중심 교수방법인 문제기반학습(PBL)을 '소비자학' 교과목에 적용하는 것이다. '소비자학'을 수강하는 대학생 27명을 대상으로 경제개념 특강안과 재무컨설팅을 제안하는 2가지 PBL 문제를 개발하고 총 7주간 PBL 수업을 진행하였다. PBL 효과는 학습자들이 작성한 성찰일지, 자기평가지, 수업만족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학습자는 문제해결 과정에서 소비자학 교과목의 학습목표를 달성했으며, 팀원과의 협업과 소통 방식을 습득하는 경험을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자기주도적 학습이 이루어졌으며,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는 학습과제이행, 적극적 상호작용, 자기주도적 학습수행 능력 등 PBL 수업에 임하는 스스로를 평균 4.68로 높이 평가했으며, PBL 수업에 대한 수업만족도도 평균 4.75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교수자 및 예비교원에게 PBL 수업에 대한 유용한 정보로 제공될 것이며, 학습자중심 PBL 수업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한 가정과 교육공동체의 고교학점제 준비 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reparation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Community through the Analysis of Operation Case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School)

  • 한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25
    • /
    • 2021
  • 본 논문의 목적은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사례를 통해 가정과 교육공동체에서 고교학점제를 준비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고교학점제 연구학교를 운영한 강원도 지역 H 고등학교의 운영 과정을 5개월간 모니터링 하고, 학생,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여 교육과정 운영 내용을 파악하였다. H 고등학교의 고교학점제 운영사례를 바탕으로 가정과 교육공동체의 준비 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가정과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매력적이고 의미 있는 가정 수업을 제공할 수 있도록 수업과 평가를 개선하고,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을 포함하여 가정교과 영역의 다양한 선택과목을 개설하는데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가정과 교사 공동체 및 관련 학회는 지역의 가정교과 연구회를 하나로 연결하는 공고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교육과정 운영과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고 수업 연구 결과를 확산하는 채널로 삼을 필요가 있다. 가정교과 교원양성기관은 변화하는 교원양성정책에 발맞추어 예비교사가 현장에서 다교과를 지도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도록 교육과정을 혁신하고, 현장교사 재교육을 위한 질 높은 온/오프라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중등학교가정과 교육실습 실태 및 교육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Survey of Teaching Practive and the Factors of Satisfaction on Teaching practic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박은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29-143
    • /
    • 2000
  • The Survey of Teaching Practice and the Factors of Satisfaction on Teaching Practic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ing practice and factors on satisfaction of educational practic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to provide information for improving educational practice. The subjects were 365 college students who had the educational practice in 1999. A questionnaire was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eventy on point eight percent of the subjects choose their teaching-practice school by themselves, however 25.2% of them was recommended by college. Twenty five point six percent of the subjects satisfied the orientation of the college, but 32.8% of them didn’t. Thirty four point four percent of the subjects indicated the form of practice documents was good, whereas 27.9% of them it needed more improvement. 2. Fifty four point eight percent of the subjects used their own research room. The orientation of teaching-practice school was good(36.4%) but 20.0% of the subjects dissatisfied. Eighty nine percent of the subjects managed the class as vice supervisory teachers, 46^ of them had example instruction, the number of subjects practised at middle school and public school were more than high school and private school respectively. 3. The score of educational expertise of teachers was 3.66 and the teacher educators’was 3.85 The score of educational expertise of the teacher educators who were in college of education(3.87) was higher than in general teacher course(3.77) at p$\leq$0.05 4. The score of educational practice satisfaction in the all subjects was 3.67. The factors to effect the satisfaction of the educational practice were the kind of research room, the orientation plan of the practice school and the management of the class, The score of the educational practice satisfaction was correlated with the score of educational expertise of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and the agrresive attitude to the teaching practice of the teacher educators.

  • PDF

길.소매원형제도에 관한 CAI프로그램을 활용한 가정과 수업의 효과분석 (An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n the Application of CAI Programs about Bodice & Sleeve Pattern Drafting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 김해정;이혜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5-59
    • /
    • 1993
  •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CAI programs for bodice and sleeve pattern drafting for the 3rd grade students in a middle school and to compare the students’achievement degree in using traditional teaching method with that in using CAI programs. On the basis of results above the direction and possibility of using computers in education home economics is another aim. For this study, after the programs are developed, which is on the model of middle school text book, one hundred girl students of 2nd grade of middle school in Songpa Gu, Seoul, who have never given Bodice and Sleep Pattern Drafting lesson are chosen. The student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called comparison group, which is taught by traditional method, the other, experimental group, which is taught by CAI programs. To evalute the learning achivement degree, evaluation test, effectiveness of learning and interest degree test and time test are given. Questionaire investigation about CAI program is given to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AI programs on pattern drafting are developed and can be used in the class. 2. In the tests of achievement degree, of effectiveness, and of interest the experimental group gets higher scores than the comparison group. 3. In the time test about how many students can draft the pattern in a given time, in every step more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finished drafting than the comparison group. 4. The students showed interest in CAI programs and played an active part in the using computers. Therefore, using CAI programs in the class of pattern drafting saved the teachers lots of difficulties and enables individual learning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I hope the studies of CAI will be established in other field as well as Home Economics, especially clothing part, and computers will be used lively

  • PDF

세계시민역량 함양을 위한 초등 가정과 세계시민교육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효과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eaching-Learning Plan and its Effects on Fostering the Global Citizenship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권보은;유난숙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2권2호
    • /
    • pp.351-368
    • /
    • 2024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implement a home economics education teaching-learning plan and assess its effects to enhance global citizenship competencies among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ADDIE model was employed for learner needs analysis, instructional desig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This was followed by assessments of global citizenship competencies and class satisfaction. Based on an analysis of the core ideas associated with an area of "Living Environment and Sustainable Choice," four practical problems were designed: What actions should I take for the rational management of living resources? What actions should I take to ensure consciousness of the need to respect diversity in daily life? What actions should I take to maintain a safe and healthy living environment? What actions should I take to make sustainable choices? Based on these four practical problems, four lesson topics were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both the voyeur's and the critical perspectives, resulting in a total of 8 sessions. The subsequent delivery of an 8-session class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home economics yield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global citizenship competencies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willingness to act) of 3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mmediately after the sess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focus on the core ideas of the revised 2022 curriculum, thereby offering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ithin the curriculum.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한 가정교과 식생활 단원의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Development Teaching-Learning Plan for 'Food and Nutrition unit' of Home Economics Based on Backward Design Model)

  • 최서아;주수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75-193
    • /
    • 2018
  • 본 연구는 가정과 수업에서 학습자의 영속적 이해를 돕기 위하여 2015 개정 중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단원을 Wiggins와 McTighe가 제시한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하여 교수·학습 과정안을 설계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내용 요소를 분석하고, 중학교 '식생활' 단원을 1차시부터 8차시에 해당하는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첫째, 2015 개정 중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단원'의 성취기준에서는 '청소년기 영양의 중요성', '청소년기 식생활 문제', '식행동 평가'를 통하여 식생활 관리 방안이 강조되었다. 학습요소는 '균형잡힌 식사', '청소년기 영양', '식사의 계획과 선택'이었고, 영양소 판단능력과 균형잡힌 식생활 능력으로 교과역량을 설정하였다. 식생활 단원의 12종 교과서 내용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핵심 개념들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었지만 '청소년기 영양'과 '식생활', '식행동'에 대한 영속적 이해를 도모하는 내용이나 활동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학습 과정안의 개발은 백워드 설계 모형의 3단계 절차에 따라 개발되었으며 자가 점검과 전문가 검토를 거쳐 최종 8차시의 템플릿을 완성하였다. 이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의도를 구현한 수업 방식을 위해 학교 현장에서 가정과 교사가 수업에 활용하고 적용하여 수업 설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BL을 활용한 <패션의 이해> 수업 사례 및 학습효과 (Effects and class case of problem based learning in )

  • 신혜원;김희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3-45
    • /
    • 2016
  •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패션의 이해> 과목에서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인 PBL을 시도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패션과 사회문화 부분에서는 '패션 에디터', 패션디자인 부분에서는 '패션 스타일리스트'를 체험하는 2개의 PBL 문제를 개발하고 수업을 설계한 후 가정교육과 대학생 29명을 대상으로 2번의 PBL 수업을 진행하였다. PBL 수업효과는 학생들의 성찰일지를 키워드 중심의 내용분석과 빈도분석으로 살펴보았고, 자기평가와 학습만족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PBL의 학습효과는 협동학습에 대한 이해, 관련 지식 습득 및 적용, 실제 경험 및 체험, 자아성찰 및 변화된 자신, 문제해결력 향상으로 나타났다. PBL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자기평가와 학습만족도는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PBL 학습과정에서 학생들은 팀원 간의 관계를 가장 힘들어했으며 시간이 부족하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