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aged in rural and urban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35초

Socioeconomic Inequality in Malnutrition in Under-5 Children in Iran: Evidence From the Multiple Indicator Demographic and Health Survey, 2010

  • Kia, Abdollah Almasian;Rezapour, Aziz;Khosravi, Ardeshir;Abarghouei, Vajiheh Afzali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0권3호
    • /
    • pp.201-209
    • /
    • 2017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socioeconomic inequality in malnutrition in under-5 children in Iran in order to help policymakers reduce such inequality. Methods: Data on 8443 under-5 children were extracted from the Iran Multiple Indicator Demographic and Health Survey. The wealth index was used as proxy for socioeconomic status. Socioeconomic inequality in stunting, underweight, and wasting was calculated using the concentration index. The concentration index was calculated for the whole sample, as well as for subcategories defined in terms of categories such as area of residence (urban and rural) and the sex of children. Results: Stunting was observed to be more prevalent than underweight or wasting. The results of the concentration index at the national level, as well as in rural and urban areas and in terms of children's sex, showed that inequality in stunting and underweigh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at children in the lower quintiles were more malnourished. The wasting index was not sensitive to socioeconomic status, and its concentration index valu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it can be misleading to assess the mean levels of malnutrition at the national level without knowledge of the distribution of malnutrition among socioeconomic groups. Significant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stunting and underweight were observed at the national level and in both urban and rural areas. Regarding the influence of nutrition on the health and economic well-being of preschool-aged children,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focus on taking targeted measures to reduce malnutrition and to focus on poorer groups within society who bear a greater burden of malnutrition.

라오스 도시·농촌 지역별 40~59세 주민들의 식행동, 식생활변화 및 식품섭취 비교 연구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 changes of diet, and food intake between 40~59 years old subjects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in Lao PDR)

  • 김지연;이경옥;강민아;강윤희;이건정;김현수;;김유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2호
    • /
    • pp.111-124
    • /
    • 2016
  • 본 연구는 라오스의 도시와 농촌 지역에 따른 식행동 및 최근의 식생활의 변화와 이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는 라오스의 수도 비엔티안과 교외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40~59세의 979명 (남자 435명, 여자 544명)이었으며, 도시 집단이 농촌 집단에 비해 읽고 쓸 수 있는 비율, 고학력 비율, 가정 내 소유 물품이 많은 비율, 정부기관이나 사 기관에 근무자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경제적 수준은 전반적으로 도시 집단이 농촌 집단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2) 전반적인 건강의 상태는 도시가 농촌에 비해 몸무게,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이완기 고혈압 비율, 알코올 섭취 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농촌은 도시 집단에 비해 흡연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주관적 건강의 상태는 안 좋다는 비율이 농촌 집단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매우 좋다는 비율은 도시 집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3) 거주 지역별 남녀의 건강 상태를 비교 시 도시에 거주하는 여성이 도시에 거주하는 남성에 비해 체질량지수와 비만율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도시에 거주하는 남성에서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의 평균이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남성에 비해 유의적으로 컸다. 4) 농촌에서는 하루 세끼 섭취 비율과 아침식사 섭취 횟수가 도시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도시 지역에서는 외식 횟수가 농촌 지역에 비해 높았다. 또한 주관적인 식사의 평가와 주관적인 식욕의 정도는 도시가 농촌에 비해 'poor/fair' 비율이 농촌 지역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5) 도시에서는 농촌 지역에 비해 최근 삼 년간 식사가 변화한 비율, 외식의 증가 비율, 서양식 식사가 증가한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6) 도시에서는 우유 및 유제품, 단백질 식품, 과일, 튀기거나 볶은 음식, 지방질 많은 고기의 섭취와 다양하고 균형잡힌 식사의 섭취가 농촌 지역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농촌에서는 도시 보다 세끼를 규칙적으로 섭취하고 있었다. 7) 각 식품군별 섭취빈도에서 주간 섭취 횟수는 도시가 과일과 우유의 섭취가 농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채소의 섭취는 낮았다. 하루 섭취량은 도시가 과일, 우유의 섭취 양이 농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채소, 육류, 계란의 섭취 양은 낮았다. 8) 결론적으로 라오스의 도시는 농촌에 비해 식습관에서 서구화의 영향을 더 받으며 전통적인 식사가 건강하지 않은 서구화된 식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비전염성질환을 증가 시키는 위험 요소로 작용 할 수 있다. 또한 도시 지역과 농촌 지역 모두에서 높은 만성질환율을 보이므로 건강한 식행동으로의 변화와 라오스의 만성질환율의 감소 및 예방을 위해 지역의 차이에 따른 차별화된 개별적 맞춤형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산촌지역 인구변동의 특성 분석과 장래 추계 (A Study on Population Change and Projection in Korea Mountainous Area)

  • 민경택;김명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670-678
    • /
    • 2014
  • 이 연구는 코호트 변화율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산촌지역 인구변동의 특성을 분석하고 장래 산촌인구를 추계한 것이다. 분석대상이 되는 산촌은 산림청에서 지정한 산촌진흥지역으로, 산림면적 비율 70% 이상, 인구밀도 111인/$km^2$, 경지면적 비율 21% 이하인 읍 면으로 정의한다. 산촌의 인구변동 특성을 살펴보면 지난 20년 간 산촌 인구는 급격히 감소하였고 노령화 지수는 상승하였다. 연령별로는 10~30대 젊은 층의 인구 유출이 많고 40대 이상 장년층의 유입이 증가하였다. 젊은 세대 인구가 감소하는 것은 교육과 취업을 위해 도시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며, 장년층 인구 증가는 귀농 귀촌에 대한 관심 증대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추세가 지속된다면 산촌인구는 2030년에 68만 명, 산촌의 노령화 지수는 1,035로 상승하여 국토의 균형 발전과 산림의 지속가능한 경영에 문제를 초래할 것이다. 따라서 산촌경제 활성화와 안정화를 위한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

Tobacco Chewing and Adult Mortality: a Case-control Analysis of 22,000 Cases and 429,000 Controls, Never Smoking Tobacco and Never Drinking Alcohol, in South India

  • Gajalakshmi, Vendhan;Kanimozhi, Vendh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3호
    • /
    • pp.1201-1206
    • /
    • 2015
  • Background: Tobacco is consumed in both smoking and smokeless forms in India. About 35-40% of tobacco consumption in India is in the latter. The study objective was to describe the association between chewing tobacco and adult mortality. Materials and Methods: A case-control study was conducted in urban (Chennai city) and rural (Villupuram district) areas in Tamil Nadu state in South India. Interviewed in 1998-2000 about 80,000 families (48,000 urban and 32,000 rural) with members who had died during 1995-1998. These were the cases and their probable underlying cause of death was arrived at by verbal autopsy. Controls were 600,000 (500,000 urban, 100,000 rural) individuals from a survey conducted during 1998-2001 in the same two study areas from where cases were included. Results: Mortality analyses were restricted to non-smoking non-drinkers aged 35-69. The age, sex, education and study area adjusted mortality odds ratio was 30% higher (RR:1.3, 95%CI:1.2-1.4) in ever tobacco chewers compared to never chewers and was significant for deaths from respiratory diseases combined (RR:1.5, 95%CI:1.4-1.7), respiratory tuberculosis (RR:1.7, 95%CI:1.5-1.9), cancers all sites combined (RR:1.5, 95%CI:1.4-1.7) and stroke (RR:1.4, 95%CI:1.2-1.6). Of the cancers, the adjusted mortality odds ratio was significant for upper aero-digestive, stomach and cervical cancers. Chewing tobacco caused 7.1% of deaths from all medical causes.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large study in India analysing non-smoking non-drinkers.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ss risks were found among ever tobacco chewers for respiratory diseases combined, respiratory tuberculosis, stroke and cancer (all sites combined) compared to never tobacco chewers.

중년여성의 혈압 및 관련요인에 관한 소고 (A STUDY ON BLOOD PRESSURE AND ITS RELATED FACTORS of MIDDLE-AGED WOMEN IN KOREA)

  • 강희경;문혜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1-66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lood pressure and its related factors of middle-aged women in Korea. For the collection of data, 410 women aged between 45-54 were selected through stratified sampling techniques at urban and rural areas in Korea. They were interviewed from Oct. 15 through Nov. 14 by use of questionare.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s,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methods and multiple discriminant analysis by S.P.S.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obtained result are summarized as follows. 1. Systolic B.P was 119.2 mmHg. mean pressure, Diastolic B.P. was 77.7 mmHg. mean pressure. 2. Systolic B.P. was related with the area and the ownership of house; it was accepted (P<05) 3.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B.P of middle-aged women were weight It was related with systolic pressure(0.176) and diastolic pressure(0.157) That is, this study showed that for the middle-aged women(45-54 yrs.), health education about weight control which can prevent ascending B.P should be demanded.

  • PDF

장기요양 재가서비스 서비스 품질과 선택권 실현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oice and Service Quality on User Satisfaction among Long-Term Home Care Service Recipients)

  • 조한라;여영훈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597-604
    • /
    • 2017
  •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요양서비스 품질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이용자의 선택권 실현정도에 달라지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지역 방문요양서비스 이용자 총 258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통한 선택의 조절효과를 알아보았다. 전체 이용자에 대한 분석과 함께, 시와 군 지역 간 복지인프라 차이에 따른 이용자의 선택권 실현의 편차가 있을 것을 고려하여 시와 군 지역 이용자 각각을 대상으로 조절효과 분석 또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시 지역 서비스 이용자들은 품질과 이용자 만족도의 관계에서 선택권 실현정도가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군 지역 서비스 이용자들은 선택권 실현정도에 따라 품질이 서비스 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반적인 시장과는 다르게 이용집단이 취약하고, 서비스의 공공성이 강조되는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이용자 선택권 실현의 조절효과가 시와 군 지역에 따라 달리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는 군 지역의 노인 재가복지 인프라의 취약성을 대변한다. 따라서, 노인 재가서비스 이용자 선택권의 효과가 적극적으로 발현되기 위해서는 군 지역 재가복지 인프라 확충과 정책적 지원을 통한 지역 간 복지 불균형 해소가 필요하다.

도시와 농촌지역 노인의 건강행태 및 건강수준 비교 (Comparisons of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s among the Elderly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 전종덕;류소연;한미아;박종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8권3호
    • /
    • pp.182-194
    • /
    • 2013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도시와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건강행태와 질병수준을 파악하고,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도시와 농촌지역의 노인의 건강수준을 비교하고자 수행하였다. 제4기 국민건강 영양조사(2007년-2009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65세 이상 노인으로 건강면접조사, 보건의식행태조사, 검진조사에 참여하여 분석에 필요한 변수가 모두 확보된 3,823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지역의 분류는 행정지역과 동, 읍면으로 구분된 거주지역을 이용하여 '대도시', '도시', '농촌'으로 분류하였다. 가중치를 적용한 복합표본분석을 시행하여 지역에 따른 건강행태, 정신 건강 및 만성질환수준 증의 건강상태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건강수준은 농촌지역이 사회경제적 여건은 도시지역에 비해 열악하지만 노인의 건강행태나 건강상태는 도시지역에 비해 더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농촌지역을 대도시 지역과 비교할 경우 건강행태 및 건강상태의 교차비는 독감접종 1.58(95% 신뢰구간 1.25-2.01)로 유의하게 높았고, 유연성운동 0.47(0.37-0.59), 근력운동 0.56(0.38-0.81), 비만 0.76(0.62-0.92)로 유의하게 낮았다. 질환 이환 중 관절염(0.81, 95% 신뢰구간: 0.66-0.99)과 당뇨병(0.70, 0.55-0.89)의 교차비는 농촌지역에서 대도시지역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적으로 65세 이상 노인의 건강행태와 건강 수준은 이들의 거주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노인의 건강 수준의 향상을 위해서는 지역 특성과 여건에 맞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거주 지역에 따른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Mental Health Counseling in 2022: Insights and Policy Recommendations from NHANES Data

  • Ae-Jun PARK;Ae-Hee HA
    • 웰빙융합연구
    • /
    • 제7권3호
    • /
    • pp.55-65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atus and realities of mental health counseling experiences among adults using the 2022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NHNES) data. The goal is to provide policy recommendations for enhancing mental health services. Research Methods: Utilizing secondary data analysis of the 2022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KDCPA), this study applied statistical techniques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s, and logistic regression to evaluate counseling experiences based on age, gender, residential area, and income levels. Results: The study included 5,256 participants, with the highest proportion being those aged 60-69 (21.3%) and the lowest aged 19-29 (11.7%). Females constituted 56.5% of the sample, while males made up 43.5%. Older adults (60-69 and 70+) had significantly lower counseling experience rates compared to younger adults (19-29). Females had higher counseling experience rates than males, indicating gender differences in mental health service utilization. Urban residents had higher counseling experience rates than rural residents, suggesting better access to mental health services in urban areas. Lower income level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counseling experience rates, highlighting the need for targeted mental health support for economically disadvantaged groups. Conclusions: The study recommends developing age-specific, gender-sensitive, and regionally tailored mental health programs to improve accessibility and effectiveness. Additionally, policies should focus on enhancing mental health support for low-income individuals to address the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mental health service utilization.

한국과 일본 도농복합 지역 거주 노인의 건강관리 및 여가활동 실태 비교 (Comparison of Health Management and Leisure Activiti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Elderly in Urban-Rural Composite Areas)

  • 박경민;강현욱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84-191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health management and leisure activities of the Korean and Japanese elderly. Methods: This study used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research design. A total of 149 Korean and 140 Japanese older adults living in two urban-rural composite area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project. Data were collected using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t-test and $x^2$ 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Eighty eight point two percent of the Japanese perceived that their health status was good whereas 27.3% of the Koreans responded that their health status was poo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ypes of leisure activities in art, intellectual, events, and volunteer activities between the two groups. A majority of the Japanese elderly replied that they spent some time and money for leisure activities; however, 20.2% and 27.2% of the Koreans reported that they did not spend time or money at all for leisure activities. Conclusion: The number of the Korean elderly participating leisure activiti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Japanese participants. Developing nursing strategies using leisure programs woul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s and the quality of nursing care.

지역사회 거주 고혈압 노인의 자가관리행위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Self-management Behaviors of the Elderly with Hypertension in the Local Community)

  • 홍정주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03-311
    • /
    • 2021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ealth literacy level of, the hypertension knowledge of, the self-management behaviors of, and the factors influencing self-management behaviors of the hypertensive elderly population residing in the urban and rural area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to December 2017 by the trained research staff. For two months, a total of 160 subjects in urban and rural areas who had been taking antihypertensive medications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e project. 157 participants completed the survey. Results: The health literacy score of the hypertensive elderly subjects was at 48.38±8.13, the hypertension knowledge score at 8.90±2.01 points, and the self-management behaviors score at 52.96±8.08. The factor that influenced the self-management behaviors of the hypertensive elderly subjects the most was the health literacy, followed by the residential area, and the hypertension knowledge. Conclusion: Th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hypertensive elderly population should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health literacy, the area of residence and the hypertension knowledge of the eld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