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Organization Support Awareness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8초

학교보건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chool Health Promotion)

  • 진정화;장창곡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3-38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stratege of promoting school health.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aspacts of school health and conducted a mail questionnaire survey for 24 school health specialists who work in school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from November 1 to November 30, 2000 and the reply rate was 79.2%(19 pers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ost important fields in schools were answered health related field. The most important field of school health were health education(89.5%), the supervisor of school health project should be office of school health ward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42.1%), and problems in conducting health project in school were lack of policy(63.5%),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school health(63.2%), and budget(63.2%). They answered that the cause of food poisoning in school were negligence of sanitation of cook(42.1%) and prevention methods were thorough inspection of food stuffs(31.6%). 72.2% replied that school health project were not being operated in a proper way. They answered that tasks of promoting school health were development of school health policy, increase of man-power for school health, expansion of school health budget, systematic health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independent health subject program, connection with local society. 94.7% of those replied answered that school health organization is necessary. Common sense on health and sex education are needs to be handled most importantly in health education. 63.2% of those replied answered that appropriate time of education for health service is more than once a week. The person appropriate for health education were school nurse(63.2%). In conclusion to improve the problems of school health and to activate it, development and support of policy of health project and preparation of various conditions that can establish health courses independently is, above all, immediately required. Many efforts need to be made to make the president of schools and education authoritie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health in schools. These efforts need to link to the transformation of awareness, and process of development of concrete method of practicing various school health education and school health is necessary.

  • PDF

가족친화적 기업문화가 근로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Family-Friendly Corporate Culture on Employees' Behavior)

  • 김정우;김경미;박현준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75-92
    • /
    • 2018
  • 본 연구는 제조기업에 재직중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가족친화적 기업문화가 직원의 가족친화제도 인지도와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가족친화적 기업문화가 기업의 경쟁력 강화 뿐만 아니라 근로자의 행복에 영향을 끼쳐 근로자와 기업이 서로 상생할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본 연구는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법을 통해 진행하였으며 배포된 설문지 중 295부가 최종 유효한 응답지로 선택되었다.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기업문화, 근무시간, 직장상사의 지원과 가족친화제도 인지도와의 관계를 도출, 가족친화제도의 인지도가 직장만족도 및 삶의 질, 이직의사,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첫째, 기업문화가 직원의 가족친화인지도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근무시간이 가족친화인제도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직장 상사의 지원이 가족친화인지도에는 무의미한 영향을 주었는데 이는 직장상사의 지원은 근로자에게 일-가족 갈등을 줄여주고, 조직몰입, 이직의사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던 선행연구와는 다른 결과가 도출되었다. 넷째, 가족친화제도인지도는 근로자의 직장만족도 및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다섯째, 가족친화제도 인지도는 근로자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여섯째, 가족친화제도인지도는 근로자의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연구 결과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가족친화적 기업문화는 기업과 근로자에게 있어 긍정적인 효과를 미침에 따라 기업에서는 가족친화제도가 있음을 적극 알리고 제도를 활용하고자 하는 직원에게 적극 권장 및 지원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족친화제도를 받아들이는 문화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중간관리자급을 중심으로 한 인식전환교육과 기업문화로의 정착을 위한 전사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사물인터넷에서 시각 정보 관리 체계 (A Framework for Time Awareness System in the Internet of Things)

  • 황소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069-1073
    • /
    • 2016
  •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은 기존의 유선통신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이나 모바일 인터넷보다 진화된 단계로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가 사람의 개입 없이 상호간에 알아서 정보를 주고받아 처리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 요소로는 유형의 사물과 주위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얻는 센싱 기술, 사물이 인터넷에 연결되도록 지원하는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각종 서비스 분야와 형태에 적합하게 정보를 가공하고 처리하거나 기술을 융합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이 핵심이며 이러한 기술을 실현하는데 있어 시각 정보 및 시각 동기 기술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시스템과 기존 인터넷에서 시각 유지 기법을 분석하고 사물인터넷에서 시각 정보 관리에 필요한 요소 기술과 시각 관리 체계를 제시한다.

국내 가정 호스피스 운영 실태 (The Status of Home-Based Hospice Care in Korea)

  • 박재순;윤수진;정연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6권2호
    • /
    • pp.98-107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가정 호스피스 기관의 서비스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가정 호스피스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가정 호스피스의 표준 설정과 제도화, 다양한 호스피스 유형들의 연계 체계 구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2011년 5월을 기준으로 확인된 호스피스 기관 166개 중 의학적 돌봄을 포함하는 가정 호스피스를 운영한다고 응답한 29개 기관 전수의 질문지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결과: 대상 기관 중 호스피스 입원 병실이 있는 경우는 51.7%, 순수 가정형은 34.5%이었다. 팀 구성원은 간호사와 자원봉사자가 각각 62.0%, 62.1%, 팀 구성원의 방문은 간호사와 자원봉사자가 각각 평균 8.84회와 6.0회, 팀 회의는 월평균 2.65회, 비용은 대부분 무료로, 필요한 재원을 마련하는 방법에는 개인의 기부가 가장 많았다. 하루 평균 방문 환자 수는 평균 2.46명, 비암성 환자는 6.9%의 기관만이 돌보고 있었다. 58.6% 기관에서 협력의뢰를 위한 공식적인 체계를 구축하고 있었으며, 방문 범위는 44.8%에서 거리나 시간에 제한을 두고 있었다. 제공되는 서비스는 가족 상담과 서비스 연계가 가장 많았고, 가정 호스피스 의뢰방법은 환자 및 가족의 직접 의뢰가 51.7%로 가장 많았다. 대부분은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본 의료장비 및 물품을 갖추고 있는 반면 특수 장비는 부족하였다. 호스피스 전용병상이 있는 경우는 대부분 정부 및 공공기관의 후원으로 이루어지고 서비스 측면에서는 팀 회의, 통증조절, 증상조절이 잘 이루어지고 있었다. 기관운영 장애요인으로는 재정문제, 인력부족, 호스피스 인식 부족의 순위를 보였으며, 이를 위해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수가제도화'라고 주장하였다. 결론: 현재 우리나라의 가정 호스피스는 호스피스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기에는 많은 제한이 있으므로 빠른 제도화와 서비스 표준 확립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저소득층의 치매노인 그룹홈 계획에 대한 요구 (Needs for the Planning of Group Home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of Lower Income Classes)

  • 김대년;최정신;권오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12
    • /
    • 2002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needs for the planning of group home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lower income class, who have more economic burden on the caring the demented aged. The survey was conducted by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300 respondents from December 2000 to March 2001. Methods of analysis were frequency distribution, mean and chi-squar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spondents perceived that the responsibility to take car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belonged to their family, not to society or the government, and the sons and daughters had to share the burden placed on care-givers. 2) The awareness of group homes for dementia was relatively low. 3) The respondents' needs for the group homes with dementia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small scale plan with homelike atmosphere, a total of 6-8 residents, structural type of detached house or three-storied town house, 2-3 persons per individual room, and management system by non-profit organization or the government. There were no big differences between the respondents of this study and upper and middle class studies conducted by other research, except for some details. Referring to results of this study, it is asserted that group home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would be embraced throughout the country if poetical assistance combined with economic support were provided.

Factors Affecting Use of Cost Information: Empirical Evidence from Seafood Processing Enterprises in Vietnam

  • NGUYEN, Thieu Manh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4호
    • /
    • pp.93-98
    • /
    • 2022
  • The article analyzes the impact of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cost information is examined, which adds to the empirical evidence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cost information in Vietnam's seafood processing firms. 58 seafood processing firms in Vietnam were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of all levels of management, chief accountants, and accountants. A total of 235 questionnaires were gathered for the survey. Because many of the surveys were invalid due to empty cells, the author selected to use 214 questionnaires. The 5-level Likert scale is familiarly used in many studies, so the author also quantifies each factor according to five levels. Quantitative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SPSS 25 software. Research results show that 4 factors The function of cost information, cost management, information technology, and management support in the seafood processing industry in Vietnam all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use of cost information. The author has provided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o expand the use of cost information, consequently helping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Vietnamese seafood processing businesses. Managers must improve a variety of resources, including facilities (software, hardware), people (in-depth training on CAS for administration), departmental awareness, and UCI's ability to assess responsibility and reward in the organization.

근로자의 성격 특성이 심리적 계약 위반에 미치는 영향: ?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How Employee Personality Traits Affect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The Moderating Effect of Guanxi)

  • 권인수;김상준;이주일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1권4호
    • /
    • pp.149-165
    • /
    • 2020
  •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s how employee personality traits affect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Also, our study examines how Guanxi, a uniqu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 of China,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Design/methodology/approach - To test our ideas, we constructed a survey questionnaire based on the literatures on personality traits, Guanxi, and psychological breach.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Chinese employees, and then we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using 378 questionnaires. Findings - We found that neuroticism is positively related to perceived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We also identified support for the prediction that the positive link between neuroticism and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becomes weaker when employees' awareness of Guanxi is high.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is study provides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elaborates the personality traits-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relationship by incorporating Guanxi, a critical contingency factor of China. Second, give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ism and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can be affected by employees' perceptions of Guanxi, managers should administer Guanxi to function as a lubricant within the organization.

빅데이터와 블록체인을 활용한 조직내 RDM 구축방안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RDM in an Organization Using Big Data and Block Chain)

  • 이경희;최영진;조완섭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27-139
    • /
    • 2019
  • 연구 데이터 관리(Research Data Management: RDM)는 연구데이터를 생산, 수집, 이용, 보전하는데 있어 방향을 제시하고 지원하는 인력, 정책, 자원 및 기술을 포괄하는 시스템이다. RDM은 연구비 신청시 작성하는 DMP(Data Management Plan)의 작성지원, 데이터 컬렉션과 리파지토리 구축, 연구 데이터의 디지털 보전과 유통 등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활동들로 구성된다. 선진국의 경우 각 기관들이 RDM을 위한 시스템과 관련 조직을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연구 데이터에 관한 인식수준이 낮아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각 조직의 현실에 적합한 연구데이터 관리체계 구축방안을 제안한다. 특히, 최근들어 각 분야마다, 조직마다 빅데이터의 생성과 관리를 위한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이 급증하고 있어 이를 조직내 RDM 구축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연구자의 데이터 주권 확보를 지원하고, 데이터 프로비넌스 보장과 P2P 방식의 분산 RDM 구축 방안도 제안한다.

  • PDF

2015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 과목 편성·운영 실태 분석 (Analysis of Realities of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Scienc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신영준;곽영순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3권1호
    • /
    • pp.64-7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개정 교육과정의 신설과목인 통합과학을 처음 실행한 2018년 한 해 동안 통합과학 과목이 어떻게 운영되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총 258명의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제 학교현장에서 통합과학이 어떻게 편성 운영되고 있는지, 통합과학 교수 학습 및 평가 실태는 어떠한지, 교사공동체 운영 현황과 통합과학 교육과정 실행을 위해 필요한 지원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통합과학을 8단위로 편성하는 학교와 6단위로 편성하는 학교가 비슷한 비율로 나타나며, 한 학급의 통합과학 수업을 복수의 교사가 담당하는 경우가 2/3정도에 이르고 있고, 아직도 강의형 통합과학 수업 방식이 대세를 있으며, 과학교사들은 경력에 따라 비전공영역 이해 부족이나 통합적 수업설계에 대한 부담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통합에 대한 인식 제고, 교사 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지원, 통합과학 현장안착을 위한 지원 방안, 과학교사 자격증 체제에 대한 점검 등을 제언하였다.

청룡산 텃밭공원의 이용실태와 이용주체간 의식 차이 (The Current Status of Use and the Difference of Awareness by User Groups in the Cheongryongsan Vegetable Garden Park)

  • 손용훈;임정언
    • 농촌계획
    • /
    • 제20권2호
    • /
    • pp.71-80
    • /
    • 2014
  • This study intended for Cheongryongsan Community Garden in Gwanak-gu, one of the demonstration places for 'Community Garden' Project recently implemented by the Seoul Government. This study had two major purposes: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management and usage and identifying its characteristics; investigating users' awareness to consider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directions of sustainable community garden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several surveys such as an investigation into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the management system of parks through a field study, a use survey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for vegetable garden users and an awareness survey about the construction direction of gardens direction preferred by users through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As a result of a questionnaire survey for vegetable garden users, the usage status was summarized as follows: Considering the common trends in the 2012 and the 2013 user survey, women used Cheongryongsan Vegetable Garden more than men. Over fifties used it most of all users. Users were mostly neighborhood residents. They used to visit there three to five times a week and stayed for about 30 minutes to one hour. Users differently responded to the question related to the order of priority for the use of the garden in the 2012 and the 2013 survey. They had increasingly used it for individuals' production activities more than social exchanges. As a result of making an AHP analysis for general park users, vegetable garden users there were clear differences in the targets which each subject put emphasis on in relation to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vegetable gardens. General park users recognized a vegetable garden as a park where park functions and the functions of the vegetable garden coexisted. On the other hand, vegetable garden users viewed it as a space where they attached importance to the functions of the vegetable garden like an allotment. Last, this study contemplated subject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vegetable gardens which had to be considered in the future. Vegetable gardens tended to be biased as personal hobby places. It was viewed that the main reason was insufficient support activities for vegetable garden education and exchange programs originally planned when vegetable gardens had been constructed. Vegetable garden users recognized vegetable gardens as places for individuals' farming activities like allotments. For the desirable operation of vegetable gardens, it would be necessary to give priority to the park management before the production activities in individuals' vegetable gardens. The important role of the government would be to build the base through the provision of education and opportunities so that a local resident organization coul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management of a vegetable garden after a vegetable garden was constructed. It would be necessary to make a use survey and an awareness survey for users conducted in this study on a regular basis because the surveys could be important basic data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the sustainable operations of the vegetable gard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