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Opium War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9초

'아편전쟁'을 바라보는 세계의 시선과 욕망 (The World's Gaze and Desire on the Opium War)

  • 진성희
    • 비교문화연구
    • /
    • 제33권
    • /
    • pp.53-75
    • /
    • 2013
  • It is well-known that Chinese saw themselves as the centre of the world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Since the Opium War 1840, however, belong to the 'general world' the past century. The Opium War made China break away from the Sinocentric spirit. This writing(essay) examines movies from China and the World concern the historical event 'the Opium War.' It also discusses desires that are inherent in narration of each movie and how accord with the real world. The movie The Opium War(1997) directed by XieJin is a work that intended: to wash off the memory of history of disgrace and; to successfully put a disparate piece, Hong Kong, of a puzzle named China together. The Japanese movie Wànshìliúfāng(1943)and The Opium War(1943) were also made for the victory of the Pacific War. They were part of project for uniting the domestic Japan and the colonial outlands - Manchuria and Joseon - that reenacted humiliating history of China, which had been the suzerain of the East Asia The Korean movie The Opium War(1964) was not recalled due to the demand for a lesson from China's painful history, but was recreated by imitating Hong Kong, into where capitalism was transplanted through the Opium War before Korea. History is eventually recalled to the present and the histories, that each different present invokes, are recreated in respective fashion. From their plan to wash off the history of disgrace and successfully return Hong Kong to its native country, China, Japan, and Korea portrayed China, once their cultural suzerain, as impotent East Asia. From their proposition that they should resist the present enemy, the West, together, they imitated the west of the East, which lead the way to achieve modernity. Finally, from their ambition to deviate from their status as developing country, they recalled and reorganized the history, the Opium War.

군진의서(軍陣醫書) "행군방편편방(行軍方便便方)"의 구성과 내용 (Composition and Contents of "Haeng Gun Bang Pyeon Pyeon Bang", a Military Medicine Literature)

  • 오준호
    • 혜화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57-66
    • /
    • 2014
  • Objectives : Features of military medicine and war pattern at the time Methods : "Haeng Gun Bang Pyeon Pyeon Bang", military medicine literature, that allows pattern of ancient war to be inferred was considered. First, background of this literature formation was examined, and the contents included were arranged based on table of contents. Lastly, pattern of war at the time and role of military medicine were studied through the meaning of times and medicine in this book. Results : This book was written by Naseyo(羅世瑤, of an unidentifiable period), an intellectual of Qing Period(淸代) in the 2nd year of Emperor Xianfeng(咸豊 2, 1852). It was composed of total 3 volumes and a book, and 684 prescriptions were written under 6 large sections(大門). Conclusions : This book was written in the middle of spirit of the times of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caused by defeat in the Opium War and popular publication in a series, an academic current of the times. Though there were many treatments about external wound in this book, thoughts of armed forces and combat by people of the time were reflected, including drying method(乾法) making portable foods, drinking control method(戒酒法) to resolve drinking(飮酒) problem in the armed forces, treatment method of infectious disease,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from enemy troops by confession, and various treatments for diseases of military horse. It is expected that this book will be good material for studies in the field of military medicine and used as material for diverse combination studies such as history and military science.

'Bibliography'의 어휘와 '중국재래의 목록학' -특히 아편전쟁이전을 중심으로- (Bibliography and the Cenventional Chinese Catalogue - Emphasis on the period prior to the Opium War-)

  • 심우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권
    • /
    • pp.27-42
    • /
    • 1975
  • Usage and scope of the word Bibliography in comparison with in conventional Chinese Catalogue (中國 在來 目錄學) (1) Usage of the word in connection with the study of books in the West has been changed from 'writing of books' (17th century) to the meaning of 'study of a book as an object'(l8th century), and this meaning of the 18th century has been transmitted up to the present. (2) In its scope, 14 branches(eight in physical aspect, six in content of books) were set up independently for the study of a book as an object. On the other hand, the term Textual Bibliography(校수學) was in use in China before the Opium War, however the word Catalogue (目錄學) has been a current word for the subject study as in the case of Bibliography in the West. And in the scope of study of a book as an object, although some of its aspect is somewhat similar to the Occidental Bibliorgraphy, the main stream of learning is regregarded as the root and the physical aspects as branches and lea leaves, thus the latter has been treated with less importance.

  • PDF

북경사합원의 공간 변화 분석 - 중국 북경 고대와 근대시기 전통주택의 비교를 중심으로 - (Spatial Variation Analysis of Beijing Siheyuan - Comparison of the Beijing Traditional Housing in ancient and modern China -)

  • 진즈룬;조항만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12호
    • /
    • pp.75-82
    • /
    • 2019
  • After 1840 the first opium war, that changed the social nature and living habitats in Chin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influence of the war on the plan layout of traditional Chinese residential houses in Beijing Siheyuan. To find out the changes that were made after 1840, and reservation of the past, the space syntax model is used to analyze different social contexts and also compare the ancient and modern residential buildings.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 the following: Before the war, the ancient Siheyuan people's way of life strictly abide by the hierarchy system; External emphasis shows the host's status. However, in modern times, the social status became equal, efficient and harmonious relationship internally, while externally, it arranged the orientation and position of buildings to adapt to the natural environment. However, the boundaries between family members and visitors the emphasis on the courtyard and respect for private life remain unchanged.

Prevention, diagnosis, and treatment of opioid use disorder under the supervision of opioid stewardship programs: it's time to act now

  • Kim, Eun-Ji;Hwang, Eun-Jung;Yoo, Yeong-Min;Kim, Kyung-Hoon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35권4호
    • /
    • pp.361-382
    • /
    • 2022
  • The third opium war may have already started, not only due to illicit opioid trafficking from the Golden Crescent and Golden Triangle on the international front but also through indiscriminate opioid prescription and opioid diversion at home. Opioid use disorder (OUD), among unintentional injuries, has become one of the top 4 causes of death in the United States (U.S.). An OUD is defined as a problematic pattern of opioid use resulting in clinically significant impairment or distress, consisting of 2 or more of 11 problems within 1 year, as described by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for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Observation of aberrant behaviors of OUD is also helpful for overworked clinicians. For the prevention of OUD, the Opioid Risk Tool and the Current Opioid Misuse Measure are appropriate screening tests before and during opioid administration, respectively. Treatment of OUD consists of 3 opioid-based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approved medications, including methadone, buprenorphine, and naltrexone, and non-opioid-based symptomatic medications for reducing opioid withdrawal syndromes, such as α2 agonists, β-blockers, antidiarrheals, antiemetic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nd benzodiazepines. There are at least 6 recommendable guidelines and essential terms related to OUD. Opioid stewardship programs are now critical to promoting appropriate use of opioid medications, improving patient outcomes, and reducing misuse of opioids, influenced by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ntimicrobial stewardship programs. Despite the lack of previous motivation, now is the critical time for trying to reduce the risk of OUD.

중국 전통원림 가원(可園)의 조영자 장경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or(Zhangjingxiu) of Keyuan(可園) in Chinese Traditional Garden)

  • 스스쥔;안계복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9
    • /
    • 2021
  • 본 연구는 중국 영남(嶺南)지방에서 가원(可園)을 조영한 장경수(張敬修 1823~1864)를 분석하여 어떤 방식으로 전통원림을 조영하였는지를 밝히는 것이 논문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조영자와 공간만들기의 관계성 분석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조영자 생애 분석, 조영 배경 분석, 지방 문인들과의 교류공간으로서의 원림 분석, 조영자의 예술활동을 위한 공간으로서의 원림 분석, 장경수만의 정원만들기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경수는 1823년에 동완시(東莞市)에서 출생하였는데, 22세(1845년)에 내전에 참가하고, 26세(1849년)에 귀향해서 가원을 조영하였다. 그러나 다시 아편전쟁(1856년)을 거쳤으며, 38세(1861년)에는 전쟁으로 얻은 병 때문에 귀향하였으나, 41세(1864년)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장경수는 군인이었기 때문에, 전쟁으로 인한 상처를 치유하는 한편, 평소에 장경수가 가지고 있었던 이상세계를 실현하기 위해 원림을 조성하였다. 원림 조영배경은 원림의 이름 '가원(可園)'에서 찾을 수 있다. 장경수는 전쟁을 통해 알게 된 '세상에서 가능한 것도 없고 불가능한 것도 없다(無可無不可)'는 의미를 원림에서 표현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장경수는 원림 건축물과 시설물에 가당(可堂), 가헌(可軒), 가정(可亭), 가루(可樓), 가주(可舟), 가호(可湖)라는 이름을 붙였다. 또한 그는 전쟁에서 돌아와 어머니에 대한 사랑과 효심으로 원림을 조영하였다. 장경수는 지방 문인들과 함께 가원에서 많은 시화작품을 남겼는데, 원림에서 문인들과 교류공간으로써 거점이 되도록 조성된 곳은 '가헌(可軒)과 가루(可樓)', 그리고 '추월지관(雛月池館)과 가정(可亭)'이다. 장경수는 조경식물 가운데 특히 혜난과 매화를 좋아해서 많은 작품을 남겼다. 특히 혜난의 다양한 분경(盆景) 연출이 가능한 자수대(滋樹臺)가 장경수의 예술활동 공간의 핵심적 공간으로 판단된다. 장경수는 가당(可堂) 앞 중정에 자수대, 석가산(假山涵月), 배월대를 활용해서 매우 특징있는 자기만의 정원을 만듬으로써 명원(名園)이 된 것으로 판단된다.

2000년 이후 중국 뮤지엄의 공간구조 변화에 관한 사회적 의미 연구 (A Study on the social implications of changes in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Chinese museums since 2000)

  • 옹령령;문정묵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336-342
    • /
    • 2012
  • Chinese society, which maintained the feudal social system, has taken an isolationist policy in response to the Western aggression since $20^{th}$ century. However, in the wake of the Opium War of 1840, China had actively accepted Western culture, not in just politics and economy, but in diverse area of social property. Since these process, the modernization of China had begun and the Chinese museum has been erected and evolved through the process of it. And it can be deducted that the philosophy of socialist society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Chinese museum since it was at the heart of china's modernization. And another social shift has been made since 2000 that is regarded as the internationalization of China. It brought a new point of de-structuralism to the society since 2000 and it is leading the changes of various areas of culture and arts, including museology in Chinese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at changes have been made to the museums in China since 2000 and how the internationalization of China is engaged with this it, in terms of the spatial structure of a museum. To do this the study examined the spatial changes of the museum in the mathematical approach including Space Syntax tool and it was engaged with the changes of museum type. Throughout the study, it was concluded that spatial structure of museums in china has been changed from structural organization to de-structural one since 2000 of China's internationalization.

  • PDF

중국식 사회주의와 민족주의 (Chinese Socialism and Nationalism)

  • 조봉래
    • 한국철학논집
    • /
    • 제27호
    • /
    • pp.223-254
    • /
    • 2009
  • 본 논문은 사회주의 중국에서의 민족주의의 형성에 대한 연구다. 중국은 발달한 문명을 바탕으로 한 문화적 우월감으로 인해 일찍부터 문화적 민족주의가 강하게 형성되어 있었고 이는 오랜 기간을 통해 '중화주의'로 굳어지게 된다. 그러나 아편전쟁 이후 서양의 침략으로 인해 위기감이 생겨났고 중국의 지식인들은 다방면의 변화를 통해 구망(救亡)의 길을 모색하게 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서양의 '사회진화론'이 소개되고 받아들여진다. 이 사회 진화론의 수용은 결국 국가 간의 경쟁에서 밀린 중국이 제국주의의 침탈을 받는 것은 당연해지는 논리적 한계에 봉착하여 점차 변형되지만 중국 지식인들에게 문화적 중화주의에서 벗어나 서양의 근대적 국가민족주의 개념을 형성하도록 만들었다. 특히 중국공산당은 초기에 창당과정에서 부터 코민테른의 지도를 받았는데, 당시 제국주의 자본의 세계지배라는 조건 속에서 식민지국가에서의 민족해방투쟁이 세계 공산주의 운동에 있어 필수 불가결한 요소라는 것을 강조되었고, 중국에서의 저항적인 민족주의성격을 띤 마르크스주의는 명분을 갖게 된다. 이후 중일전쟁 과정에서 반제반봉건투쟁을 통해 중국인의 광범위한 지지를 얻게 된 중국공산당에 의해 중화인민공화국이 건립되고 본격적인 사회주의 체제로서의 중국이 시작된다. 그러나 냉전이라는 국제적 여건 속에서 소련과의 관계가 악화되면서 중국 사회주의의 발전은 자국 인민의 결집된 힘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고 이는 중국 공산당의 지속적인 애국주의의 고양으로 이어진다. 특히 개혁개방 이후 새롭게 등장한 모순들로 인해 중국은 분열을 겪게 되었고 이를 통합하는 이데올로그로 자국의 문화적 자긍심을 바탕으로 한 중화주의가 또다시 등장하게 되었다. 최근 경제 강국으로서 국제적인 위상이 높아진 중국에서는 전통문화의 우월성이 강조되면서 매우 강력한 중화주의가 대두되고 있다.

앙드레 말로의 문학작품에 나타난 등장인물의 실존의식과 존재의미 (Existential Consciousness and the Meaning of Characters in André Malraux's Literary Works)

  • 오세정
    • 비교문화연구
    • /
    • 제47권
    • /
    • pp.191-216
    • /
    • 2017
  • 20세기의 서양사상 가운데 하나인 실존주의는 1 2차 세계대전과 대공황, 파시즘의 확산, 스페인내란전쟁 등의 비극적 사건을 겪으며 이성과 과학발달이 인간을 순식간에 피폐와 죽음으로 몰고 가는 결과를 낳게 되자 인간을 위해 인간성을 회복시키는 시대정신이다. 앙드레 말로는 문학작품 속에서 등장인물들의 운명으로써 삶과 죽음의 문제를 제기해 인간이 어떻게 살아가며 어떻게 죽음을 맞이하는가에 대한 실존적 고뇌를 기록한다. 말로의 등장인물들에게 있어 인간의 정체성과 관련된 존재의 부조리는 실존적 자기 성찰을 의미한다. 작가는 생존의 위협이 직접적으로 다가오는 전쟁과 테러, 혁명, 모험 속에서 그들이 죽음에 직면해 운명에 대한 실존적 의식과 행위를 숙고한다. 말로는 자신의 모든 문학 작품들 속에서 죽음의 문제를 밀도 있게 다루고 있으며 이는 철학적 사고의 중심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말로는 "정복자"(Les $Conqu{\acute{e}}rants$, 1928), "왕도의 길"(La Voie Royale, 1930), "인간조건"(La Condition Humaine, 1933), "희망"(L'Espoir, 1937)의 장편소설에서 비극적 상황에 놓인 등장인물들을 통해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라는 철학적 명제를 제시하며, 그들이 운명을 스스로 지배하려는 실존의식과 존재의미를 추구한다. 말로는 이러한 비극적 세계관 속에서 인간성과 삶의 긍정, 죽음을 부정하는 등장인물들의 의식과 행동을 나타낸다. 죽음의 고뇌는 예측할 수 없는 본능적인 욕구와 도박, 아편 등의 도피적 행동을 유발하지만, 그것은 절망에서 벗어나려는 처절한 몸부림이며 자신의 존재는 누구인가라는 질문과 연계된 것이다. 말로의 실존주의적 사고로서 항상 부각되는 점은 죽음에 대한 운명의식으로 인해 결국엔 인간이 얼마나 고독한 존재인가라는 숙명적 인간조건의 비극적 형이상학이다. 하지만 소설에서 등장인물들은 모험과 혁명, 전쟁 속에서 동료들과 함께 행동하며 타인을 위하여 개인주의를 초월하는 동지애적인 연대의식은 인간존중이 된다. 인간애와 인간성 회복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두고 자발적으로 구성된 인간들 사이의 동지애는 대의를 위해 목숨을 바칠 수 있는 인간의 위대함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말로의 동지애는 휴머니즘의 세계를 창조할 수 있는 존재의식의 승리를 포함한다.

우리 안의 타자로서 동서양 - 동양의 서양문물 수용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 (The East and West as others in us - The acceptance of Western civilization throughout East Asian history -)

  • 권영우
    • 철학연구
    • /
    • 제137권
    • /
    • pp.33-56
    • /
    • 2016
  • 본 논문은 동양과 서양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세계관에 대해 비판하고 동서양을 상호적 타자인 주체로 인정해야 하는 하나의 '우리'로 이해해야 한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동양이 '나'라면 서양은 분명 '너'가 될 것이고 그 반대도 성립될 것이다. 그래서 동양과 서양은 분명 다르다. 하지만 서로가 스스로를 주체로 의식함과 동시에 타자가 자신처럼 또 다른 주체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게 된다면 동양과 서양이라는 서로 다른 주체들은 사실 더 큰 '우리 안의 타자'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9세기 이후 동양은 서양의 문화와 사상을 배우고 수용하는 데 매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동양은 서양을 '우리 안의 타자'로서가 아니라 '우리 밖의 타자'로서 또는 '내가 지향해야할 궁극적 나'로서 이해하고 있는 듯 보인다. 특히 서양에 대한 동양의 이러한 분열적 태도는 19세기 아편전쟁을 겪고 중화주의가 붕괴되는 과정에서 동아시아 전체에서 벌어진 현상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서양 또한 동양을 '우리 안의 타자'로서 인정하지 않았다. 현재 인류가 '세계화'라는 가치를 지향하고 있는데 이러한 세계화가 동서양을 포함한 전체 인류공영의 가치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동서양이 서로를 '우리안의 타자'로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