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ese Socialism and Nationalism

중국식 사회주의와 민족주의

  • Received : 2009.08.03
  • Accepted : 2009.09.11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is thesis is aimed at researching the formation of democracy in socialist China. Due to a sense of cultural superiority on the basis of their developed civilization, they already formed a strong cultural nationalism, which has come to firm up into "Sinocentrism" through long periods of time. However, there arose a sense of crisis due to the Western invasion after the Opium War and the intellectuals in China happened to seek the solution to rescuing their mother land from ruin; in the midst of this process,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of the West was introduced and accepted. The acceptance of this theory of social evolution gradually transformed in confrontation with a logical limit that China defeated in international competition could not but be plundered by imperialism after all, but it contributed to Chinese intellectuals' forming the concept of the modern state nationalism of the West deviating from cultural Sinocentrism. After the Russian Revolution, a large number of Chinese progressive intellectuals developed their socialist movement with the recognition that Marxism was a practicable alternative to rescue China from its crisis. The Chinese Communist Party was under guidance of the Comintern from the early process of its formation, in which they emphasized the fact the national liberation struggle in colonialized countries was an indispensable element in the world communist movement under the condition of the control of the world by imperialist capital at that time and subsequently, Marxism characterized by resistant nationalism in China gained its cause. Afterwards,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as established by the Chinese Communists which came to get widespread support from the Chinese through anti-imperialism &feudalism in the process of the Sino-Japanese War, and thus China equipped with a full-blown socialism system set sails. However, with the relations with the Soviet Union getting worse under the international conditions of a cold war, the development of the Chinese socialism couldn't but resort to the concentrated power of its people, which was linked to the boost of continuous patriotism of the Chinese Communists. Particularly, due to the newly-emerging contradictions after reform & opening [gig kifng], China underwent disruption; thus, as an ideology to integrate such disruptive elements, Sinocentrism based on China's cultural pride re-appeared. Recently, a very strong form of Sinocentrism has come to the fore as their superiority of traditional cultures is emphasized in China whose international position as an economic power has been raised.

본 논문은 사회주의 중국에서의 민족주의의 형성에 대한 연구다. 중국은 발달한 문명을 바탕으로 한 문화적 우월감으로 인해 일찍부터 문화적 민족주의가 강하게 형성되어 있었고 이는 오랜 기간을 통해 '중화주의'로 굳어지게 된다. 그러나 아편전쟁 이후 서양의 침략으로 인해 위기감이 생겨났고 중국의 지식인들은 다방면의 변화를 통해 구망(救亡)의 길을 모색하게 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서양의 '사회진화론'이 소개되고 받아들여진다. 이 사회 진화론의 수용은 결국 국가 간의 경쟁에서 밀린 중국이 제국주의의 침탈을 받는 것은 당연해지는 논리적 한계에 봉착하여 점차 변형되지만 중국 지식인들에게 문화적 중화주의에서 벗어나 서양의 근대적 국가민족주의 개념을 형성하도록 만들었다. 특히 중국공산당은 초기에 창당과정에서 부터 코민테른의 지도를 받았는데, 당시 제국주의 자본의 세계지배라는 조건 속에서 식민지국가에서의 민족해방투쟁이 세계 공산주의 운동에 있어 필수 불가결한 요소라는 것을 강조되었고, 중국에서의 저항적인 민족주의성격을 띤 마르크스주의는 명분을 갖게 된다. 이후 중일전쟁 과정에서 반제반봉건투쟁을 통해 중국인의 광범위한 지지를 얻게 된 중국공산당에 의해 중화인민공화국이 건립되고 본격적인 사회주의 체제로서의 중국이 시작된다. 그러나 냉전이라는 국제적 여건 속에서 소련과의 관계가 악화되면서 중국 사회주의의 발전은 자국 인민의 결집된 힘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고 이는 중국 공산당의 지속적인 애국주의의 고양으로 이어진다. 특히 개혁개방 이후 새롭게 등장한 모순들로 인해 중국은 분열을 겪게 되었고 이를 통합하는 이데올로그로 자국의 문화적 자긍심을 바탕으로 한 중화주의가 또다시 등장하게 되었다. 최근 경제 강국으로서 국제적인 위상이 높아진 중국에서는 전통문화의 우월성이 강조되면서 매우 강력한 중화주의가 대두되고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08-2009년 시립인천전문대 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