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ast and West as others in us - The acceptance of Western civilization throughout East Asian history -

우리 안의 타자로서 동서양 - 동양의 서양문물 수용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6.01.15
  • Accepted : 2016.02.21
  • Published : 2016.03.30

Abstract

This article criticizes the dichotomous world view in which the East and the West are absolutely divided from each other and asserts that the East and the West should be understood as 'we' who ought to acknowledge each other not only as subjects but also reciprocally as 'others'. If the East is 'I', then the West is 'You' and vice versa and as such, the East differs from the West. Hence, supposing that they both regard themselves as subjects and if they realize that they can also be others against the other subject, they as different subjects should be understood as 'others in us'. Since the 19th Century the East has made efforts to learn and accept Western culture and thought. But it seems that the East has never regarded the West as an 'other in us', but rather as either an 'other outside of us' or as 'the real I that it should develop into'. This shows the self-contradictory perspective of the East. It can be thought that such an attitude was revealed as typical of the Far East in the 19th Century, in which the Opium War broke out and Sinocentrism collapsed. On the other hand, the West has never recognized the Eastasan 'other in us'. Nowadays we pursue the most actual value, that is, 'globalization'. In order to realize that value for the development of the whole human, it is necessary that both the East and West should first recognize each other as the 'other in us'.

본 논문은 동양과 서양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세계관에 대해 비판하고 동서양을 상호적 타자인 주체로 인정해야 하는 하나의 '우리'로 이해해야 한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동양이 '나'라면 서양은 분명 '너'가 될 것이고 그 반대도 성립될 것이다. 그래서 동양과 서양은 분명 다르다. 하지만 서로가 스스로를 주체로 의식함과 동시에 타자가 자신처럼 또 다른 주체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게 된다면 동양과 서양이라는 서로 다른 주체들은 사실 더 큰 '우리 안의 타자'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9세기 이후 동양은 서양의 문화와 사상을 배우고 수용하는 데 매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동양은 서양을 '우리 안의 타자'로서가 아니라 '우리 밖의 타자'로서 또는 '내가 지향해야할 궁극적 나'로서 이해하고 있는 듯 보인다. 특히 서양에 대한 동양의 이러한 분열적 태도는 19세기 아편전쟁을 겪고 중화주의가 붕괴되는 과정에서 동아시아 전체에서 벌어진 현상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서양 또한 동양을 '우리 안의 타자'로서 인정하지 않았다. 현재 인류가 '세계화'라는 가치를 지향하고 있는데 이러한 세계화가 동서양을 포함한 전체 인류공영의 가치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동서양이 서로를 '우리안의 타자'로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외국어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