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istential Consciousness and the Meaning of Characters in André Malraux's Literary Works

앙드레 말로의 문학작품에 나타난 등장인물의 실존의식과 존재의미

  • Received : 2017.05.10
  • Accepted : 2017.06.02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Among 20th century Western ideologies (Western civilization), existentialism is a spirit of the times to restore humanity as rationality and advanced technology have driven mankind to impoverishment and death, experiencing the First and Second World War, Great Depression, Fascism and the Spanish Civil War. In his literature, $Andr{\acute{e}}$ Malraux records his existential agony of how mankind lives and faces death by questioning the fateful life and death of characters. For Malraux's characters, the absurdity of existence related to the human identity means self-examination. Malraux explores existential consciousness and actions of characters in the presence of a concept known as death relative to terror, revolution, and adventure. Malraux deftly addresses the concept of death in his literary works, and it has being emphasized as a central subject for philosophical speculation. In Les $Conqu{\acute{e}}rants$(1928), La Voie Royale(1930), La Condition Humaine (1933), L'Espoir(1937), Malraux suggested a philosophical thesis of the meaning of life through characters in tragic situations, and sought out the consciousness of being and the existential meaning through how the characters control their fate. Malraux, in such a tragic perspective of the world, portrays humanity, affirmation of life, and characters' consciousness and actions in denying death. The agony of death triggers escapist behavior such as having unpredictable instinctual desires such as gambling or smoking opium, but these are desperate struggles to flee from frustration and related to the question of one's existence. What is always emphasized with respect to Malraux's existentialism is the tragic metaphysics of the inevitable destiny of the human condition eventually leading to the question of how humans ultimately confront death. But as characters unite in times of war, revolution and adventure in the novel, such cooperative actions symbolizes a keen sense of solidarity reflecting a camaraderie that transcends individualism. Fellowship among people who voluntarily gather for the common cause of philanthropy and restoring humanity is possible because of the underlying human greatness to sacrifice for such a noble cause. Therefore, Malraux's camaraderie includes the victory of existentialism in creating a world of humanism.

20세기의 서양사상 가운데 하나인 실존주의는 1 2차 세계대전과 대공황, 파시즘의 확산, 스페인내란전쟁 등의 비극적 사건을 겪으며 이성과 과학발달이 인간을 순식간에 피폐와 죽음으로 몰고 가는 결과를 낳게 되자 인간을 위해 인간성을 회복시키는 시대정신이다. 앙드레 말로는 문학작품 속에서 등장인물들의 운명으로써 삶과 죽음의 문제를 제기해 인간이 어떻게 살아가며 어떻게 죽음을 맞이하는가에 대한 실존적 고뇌를 기록한다. 말로의 등장인물들에게 있어 인간의 정체성과 관련된 존재의 부조리는 실존적 자기 성찰을 의미한다. 작가는 생존의 위협이 직접적으로 다가오는 전쟁과 테러, 혁명, 모험 속에서 그들이 죽음에 직면해 운명에 대한 실존적 의식과 행위를 숙고한다. 말로는 자신의 모든 문학 작품들 속에서 죽음의 문제를 밀도 있게 다루고 있으며 이는 철학적 사고의 중심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말로는 "정복자"(Les $Conqu{\acute{e}}rants$, 1928), "왕도의 길"(La Voie Royale, 1930), "인간조건"(La Condition Humaine, 1933), "희망"(L'Espoir, 1937)의 장편소설에서 비극적 상황에 놓인 등장인물들을 통해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라는 철학적 명제를 제시하며, 그들이 운명을 스스로 지배하려는 실존의식과 존재의미를 추구한다. 말로는 이러한 비극적 세계관 속에서 인간성과 삶의 긍정, 죽음을 부정하는 등장인물들의 의식과 행동을 나타낸다. 죽음의 고뇌는 예측할 수 없는 본능적인 욕구와 도박, 아편 등의 도피적 행동을 유발하지만, 그것은 절망에서 벗어나려는 처절한 몸부림이며 자신의 존재는 누구인가라는 질문과 연계된 것이다. 말로의 실존주의적 사고로서 항상 부각되는 점은 죽음에 대한 운명의식으로 인해 결국엔 인간이 얼마나 고독한 존재인가라는 숙명적 인간조건의 비극적 형이상학이다. 하지만 소설에서 등장인물들은 모험과 혁명, 전쟁 속에서 동료들과 함께 행동하며 타인을 위하여 개인주의를 초월하는 동지애적인 연대의식은 인간존중이 된다. 인간애와 인간성 회복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두고 자발적으로 구성된 인간들 사이의 동지애는 대의를 위해 목숨을 바칠 수 있는 인간의 위대함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말로의 동지애는 휴머니즘의 세계를 창조할 수 있는 존재의식의 승리를 포함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