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awing condition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31초

동결융해작용을 받는 콘크리트의 열화예측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ediction of Concrete Deterioration Subjected to Cyclic Freezing and Thawing)

  • 고경택;이종석;이장화;조명석;송영철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9년도 학회창립 10주년 기념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95-798
    • /
    • 1999
  • Deterioration induced by the freezing and thawing in concrete often leads to the reduction in concrete durability by the cracking or surface spalling. In this paper, the deterioration prediction model for concrete structures subjected to the irregular freeze-thaw was proposed from the results of accelerated laboratory test using the constant temperature condition and acceleration factor from the in-situ weather data.

  • PDF

영하온도에서 다짐된 지반의 불포화 특성 (Unsaturated Soil Properties of Compacted Soil at Sub-Zero Temperature)

  • 이정협;황범식;조완제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5-13
    • /
    • 2018
  • 최근 해빙기에 발생하는 지반붕괴로 인한 건설재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동절기에 시행되는 다짐시공과 관련이 많다. 영하온도에서 다짐을 실시할 경우 다짐효과가 감소하며 이에 따른 해빙기 지반의 거동 변화를 파악하는 것은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최근 국내 지반공학 분야에서 불포화 영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지반재료의 영하온도 다짐 및 동결융해에 따른 불포화 특성을 파악한다면 앞으로 관련 분야의 연구자들에게도 좋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절기 다짐에 따른 지반의 불포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상온($18^{\circ}C$)과 영하온도($-3^{\circ}C$, $-8^{\circ}C$)에서 수행한 다짐시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성형한 시료에 불포화 함수특성시험과 불포화 일축압축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시료에 동결융해를 반복적으로 가한 후 불포화 함수특성시험 및 일축압축시험을 수행하여 동결융해가 작용함에 따른 지반의 흡수력 및 불포화 특성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시험결과 영하온도에서의 다짐 및 동결융해에 의한 흡수력의 변화와 강도 및 강성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특히 풍화토의 경우 영하온도에서의 다짐과 동결융해가 진행될수록 강도와 흡수력이 상당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지반의 안정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증기양생콘크리트의 최고양생온도변화가 콘크리트의 동결융해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An experimental Study for the Maximun Curing Temperature Effect on the Freezing and Thawing of Steam Curing Concrete)

  • 윤석;최세규;김동신;유승룡;김생빈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7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0-176
    • /
    • 1997
  • The published works on steam curing effect have been generally concentrated on the subject, "compressive strength". However a practical test for durable steam curing concrete products has not been performed in domestic. In this study, the maximum temperature of steam is considered as a major variable to investigate the freezing and thawing resistance of the steam curing concrete. All of the specimen were cured for 24 hours which included presteaming 4 hour. Finally we found that the most effective curing condition is the case of one-day and 14-day specimens after the 24 hours steam curing at $74^{\cire}C$ degree curing temperature. It is also found that the durability of one-day samples are much weaker than those of 14-day samples. Consequently, we can conclude that the samples that produced immediately after a steam curing are more possible to deteriorate from the freezing and thawing environment.vironment.

  • PDF

생쥐난자의 초급속동결 (Ultrarapid Freezing of Mouse Ova)

  • 박영식;서태광;이택후;전상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03-208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fficiently use the ultrarapid freezing method in the cryopreservation of mouse ova. For this, the effects of dehydration method, oval vigour and $0^{\circ}C$ controlling method on post-thawing viability were investigated. Fresh mouse ova were dehydrated in mPBS with 3.5M DMSO and /or 0.25M sucrose, and directly immersed in L$N_2$ for ultrarapidly freezing. The frozen ova were thawed at 37$^{\circ}C$, rehydrated in mPBS with 0.25M sucrose, and then repeatedly washed in HAM's Fl0 before evaluating the morphological normality of frozen-thawed ova. The results obtained showed that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reatments in a experiment. 1) The post-thawing viability of ova dehydrated in multi-step (48.4$\pm$13.8%) was higher than that of ova in two-step (40.9$\pm$14.0%). 2) The post-thawing viability of fertilized ova (87$\pm$14.0%) was significantly(p<0.0l) higher than that of unfertilized ova (5.4$\pm$5.4%). 3) The post-thawing viability of ova dehydrated and rehydrated using a cooling machine (95.8$\pm$4.2%) was significantly(p<0.05) higher than that on ice(84.1$\pm$9.9). In conclusion, in order to efficiently cryopreserve ova in vitro with ultrarapidly freezing method, highly viable embryos should be selected, heavy osmotic shock to the dehydrating ova should be avoided, and embryos in high osmotic condition were dehydrated and rehydrated in a constantly low temperature.

  • PDF

동결토의 압축강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ies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Frozen Soils)

  • 유능환;최중돈;유영선;조영택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5-66
    • /
    • 1993
  • Upon freezing a soil swells due to phase change and its compression stress increase a lot. As the soil undergo thawing, however, it becomes a soft soil layer because the 'soil changes from a solid state to a plastic state. These changes are largely dependent on freezing temperature and repeated freezing-thawing cycle as well as the density of the soil and applied loading condition. This study was initiated to describe the effect of the freezing temperature and repeated freezing-thawing cycle on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Soil samples were collected at about 20 sites where soil structures were installed in Kangwon provincial area and necessary laboratory tes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could be used to help manage effectively the field structures and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designing and constructing new projects in the futu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decreased as the number of freezing and thawing cycle went up. But the strength increased as compression speed, water content and temperature decreased. The largest effect on the strength was observed at the first freezing and thawing cycle. 2. Compression strain went up with the increase of deformation speed, and was largely influenced by the number of the freezing-thawing cycle. 3. Secant modulus was responded sensitivefy to the material of the loading plates, increased with decrease of temperature down to - -10$^{\circ}$C, but was nearly constant below the temperature. Thixotropic ratio characteristic became large as compression strain got smaller and was significantly larger in the controlled soil than in the soil treated with freezing and thawing processes 4. Vertical compression strength of ice crystal(development direction) was 3 to 4 times larger than that of perpendicular to the crystal. The vertical compression strength was agreed well with Clausius-Clapeyrons equation when temperature were between 0 to 5C$^{\circ}$, but the strength below - 5$^{\circ}$C were different from the equation and showed a strong dependency on temperature and deformation speed. When the skew was less then 20 degrees, the vertical compression strength was gradually decreased but when the skew was higher than that, the strength became nearly constant. Almost all samples showed ductile failure. As considered above, strength reduction of the soil due to cyclic freezing-thawing prosses must be considered when trenching and cutting the soil to construct soil structures if the soil is likely subject to the processes. Especially, if a soil no freezing-thawing history, cares for the strength reduction must be given before any design or construction works begin. It is suggested that special design and construction techniques for the strength reduction be developed.

  • PDF

감압 텀블링 해동이 돈육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low-pressure tumbling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awed pork)

  • 홍원호;김정;곽유정;천지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8-97
    • /
    • 2023
  • 본 연구는 다양한 해동 조건에서 해동된 돈육의 품질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식육 가공 산업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해동 공정 개선 및 새로운 해동 설비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냉동육(돈육 전지)을 실온 해동(room temp-thawing: 20℃, under air), 저온냉장 해동(low temp-thawing: 4℃ refrigerator, under air), 침수 해동(water thawing: 20℃, water in a vacuum bag), 전자레인지 해동(microwave thawing: microwave-thawing, 260 W), 감압 텀블링 해동(low pressure-tumbling: 20℃, 0.015 bar, tumbling)으로 각각 해동하여 이에 따른 해동 및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냉동 돈육의 내부중심온도가 -6℃에서 0℃에 도달하는 시간을 총 해동 시간으로 했을 때, 감압 텀블링 해동의 해동 시간이 20분으로 가장 짧았고, 냉장 해동이 840분으로 가장 긴 것으로 확인되었다. 해동으로 인한 냉동 돈육의 드립 손실(%)은 감압 텀블링 해동에서 0.15%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침수 해동에서 가장 많은 드립(1.16%)이 발생되었다. 해동 시간에 큰 차이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해동 돈육의 pH는 해동 조건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해동 육의 총균수와 대장균군 모두 감압 텀블링 해동에서 가장 낮았다. 해동 돈육의 색도(L, a, b)는 해동 방법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육안으로는 두드러진 차이를 관찰하기 어려웠다. 해동 돈육의 보수력은 감압 텀블러 해동(94.5%)과 침수 해동(94.2%)이 유의적인 차이 없이 높은 보수력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실온 해동(92.2%), 저온냉장 해동(89.4%), 전자레인지 해동(87.2%) 순으로 유의적으로 보수력이 감소하였다. 본 실험은 해동 방법에 따라 냉동 돈육의 품질 특성 및 가공 효율성이 크게 달라지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재래식 해동법에 비해 감압 텀블링 해동 방식이 드립 감량율, 보수력, 미생물 생육도, 해동 속도 등을 비교할 때 가장 우수한 해동 방법이 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텀블링 방식의 해동기 개발 및 산업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Macronutrient Analysis of Human Milk according to Storage and Processing in Korean Mother

  • Kim, Min Hyung;Shim, Kyu Seok;Yi, Dae Yong;Lim, In Seok;Chae, Soo Ahn;Yun, Sin Weon;Lee, Na Mi;Kim, Su Yeong;Kim, Seung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2권3호
    • /
    • pp.262-269
    • /
    • 2019
  • Purpose: As the importance of breastfeeding has been reinforced, human milk is often stored for practical reasons. Therefore, we evaluated optimal storage and processing methods for human milk from a nutritional standpoint. Methods: Human milk samples were collected between June 2017 and February 2018. Also, data about maternal information were collected. Human milk was analyzed for macronutrients and caloric content. The samples were subdivided into groups for nutrient analysis. The control group (fresh milk) was not stored or processed. The other groups (9 groups) consisted of samples analyzed based on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s (room temperature, refrigerated, frozen), defrosting methods (bottle warmer, room temperature thawing, microwave oven), and storage period (1 week, 1 month, 2 months) an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trient content of human milk among the collected sample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content of macronutrients in milk samples was observed under storage condition at different temperatures for 1 week with subsequent thawing with bottle warmer compared to fresh milk. Under storage at $-20^{\circ}C$ for 1 week with subsequent thawing with different defrosting method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content of macronutrients in milk samples was observed compared to fresh milk. After storage at $-20^{\circ}C$ for different periods and thawing with a bottle warmer, a significant change in macronutrient content in milk samples was observed compared to fresh milk regardless of the storage period. Conclusion: Unlike previous guidelines, changes in macronutrient content in milk samples were observed regardless of the method of storing and thawing. Apparently, it is proposed that mothers should feed fresh human milk to their babies without storing.

데침 조건과 해동 방법이 도라지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lanching Conditions and Thawing Methods on Quality Properties of Platycodon grandiflorum)

  • 최수영;이상윤;;유선미;최미정;한혜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211-22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냉동 도라지의 품질 유지를 위하여 전처리 단계에서 데침과 탈수 시간을 달리하여 도라지의 품질 특성을 평가하고, 최적의 조건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설정된 처리 조건을 적용한 다음 도라지를 냉동하고, 해동 방법에 따라 도라지의 품질 특성을 평가하여 도라지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적 해동 조건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전처리 조건 설정을 위해 데침 및 탈수 시간은 각각 1분, 2분, 3분과 5분 10분, 15분으로 하였으며, 해동 조건 설정을 위한 해동 방법은 $4^{\circ}C$, $25^{\circ}C$ 및 유수 해동으로 하였다. 데침 및 탈수 시간에 따른 도라지의 색도 pH, 조직감(경도), 총균수를 측정한 결과, 1분 데친 후 5분간 탈수한 도라지에서 품질 변화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적 특성도 1분 데친 후 5분간 탈수한 도라지에서 조직감 점수가 가장 높아, 냉동 전 도라지의 전처리 조건은 데침 시간 1분, 탈수 시간 5분으로 선정하였다. 데침 및 탈수 처리 후 $-40^{\circ}C$에서 냉동한 도라지를 세 가지 해동 방법에 따라 해동하여 품질 특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유수 해동 시 해동 속도가 가장 빠르며, 색도 변화 및 드립로스가 적고, 도라지의 조직감도 유지되고 있어 가장 높은 품질을 나타내었다.

동결융해 및 수침조건을 고려한 경량기포혼합토의 거동 실험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behavior of the Lightweight Air-foamed Soil Considering Freezing-thawing and Soaking Conditions)

  • 강대규;신은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37-46
    • /
    • 2016
  • 해성 점토를 이용한 경량기포혼합토의 동결융해 및 수침조건에 따른 환경적 변화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멘트 사용량을 변화시키며 경량기포혼합토의 시료를 제작하여 동절기 저온양생, 지중양생 및 실내양생 조건에서 일축압축강도를 관찰하였다. 동결융해($-9.1^{\circ}C{\sim}17.2^{\circ}C$ 온도범위)를 받는 시료는 시멘트 사용량에 상관없이 강도발현이 안되었고 지표면 아래 30cm 깊이의 지중에서 양생한 경우 시멘트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는 급격히 증가되었다. 따라서 동결융해를 받는 조건에서는 경량기포혼합토 타설 후 외기로부터 차단하는 보온층 설치가 필요하다. 장기간 수침상태를 유지한 시료는 단위중량의 증가가 매우 작게 발생하였고, 시료가 건조되어 함수비가 6%로 저하되었을 때 압축강도는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건조를 방지하고 습윤상태를 유지할 경우 압축강도 및 단위중량의 변화는 매우 작았다. 지하수위 아래에 매설되거나 피복토를 갖는 경량기포혼합토는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건설재료로 평가할 수 있다.

미니 돼지 동결정액의 융해 온도가 정자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awing Temperature on Sperm Characteristics of Frozen Semen in Miniature Pig)

  • 최원철;양미혜;이용승;정희태;양부근;이동석;박춘근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1권3호
    • /
    • pp.175-179
    • /
    • 2007
  • 본 연구는 0.5ml straw를 이용한 정자 동결융해 시 응해 온도가 동결정자의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미니 돼지의 동결정액에 최적화된 적정 응해 조건을 찾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정액동결 straw를 37, 50 및 $70^{\circ}C$에서 각각 5초, 10초 및 45초간 융해하여 생존율(SYBR-14/PI staining), 정자원형질막기능검사 (Hypoosmotic Swelling Test) 및 첨체반응율(CTC : chlorotetracycline staining)을 검사 한 결과, $70^{\circ}C$에서 5초간 융해한 정자의 생존율과 CTC 결과가 $37^{\circ}C$$50^{\circ}C$에서 10초 및 45초간 융해한 처리구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은 생존율과 낮은 비율의 첨체 반응율을 얻었다. 따라서 미니돼지의 동결 정액은 고온에서 단시간 융해를 하는 것이 정자의 성상에 유리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