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mporary bridge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3초

차량 하중 방향 변경에 의한 기존교량의 피로안정성 연구 (A Fatigue Stability Study of an Existing Bridge Due to Vehicle Load Direction Change)

  • 이규세;이승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062-2067
    • /
    • 2009
  • 도로 건설 중 기존 교량에 가교를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 경우 차량 하중 방향의 변경으로 인하여 기존 교량의 주형의 설계 시 고려하지 못한 피로 안정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교량의 내민 슬라브와 주형의 안정성을 도로교 설계기준의 허용 피로 응력을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응력변동이 가장 큰 지점은 가교 접속 구간의 교량 시점에서 55m 떨어진 지점부, 그리고 교량 시점과 지점부 사이의 중앙점(교량 시점에서 32.5m 떨어진 지점)의 응력 변동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기존 교량의 내민 슬라브와 주형에 보강이 필요함을 확인하여 보강대책을 수립하였고 보강 후 가교와 기존 교량의 피로 안정성 검토를 다시 수행하여, 도로교 설계 기준의 허용 피로 응력에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Fiber-reinforced composite resin을 이용한 전치부 결손 수복 (REHABILITATION OF MISSING ANTERIOR TOOTH USING FIBER-REINFORCED COMPOSITE RESIN)

  • 박헌정;김종수;김용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2-68
    • /
    • 1999
  • One of the many dilemmas that the clinical restorative dentist must face is treating young adolescent patient who prematurely loses his permanent teeth. Temporary prosthetic replacement can be achieved with removable denture, orthodontic band-wire fixed denture, adhesion bridge, composite resin splint with reinforcing material until the patients go through growth and development. But, all of these have limitations. Advances in restorative materials and reinforcement materials have made possible new techniques which are as much esthetic, conservative and more economic and stronger than adhesion brides. Two cases are being presented where gas-plasma treated, woven polyethylene fabric to reinforce composite resin was used to fabricate a temporary prosthetic restoration to replace a missing maxillary central incisor. This relatively noninvasive and basically reversible procedure allows the patient to decide the final restoration as he or she goes thorough maturation of the hard and soft tissues.

  • PDF

External Iliac Artery Transection Managed by Iliofemoral Bypass Grafting Using Temporary Balloon Occlusion

  • Choi, Young Un;Lee, Jae Gil;Kim, Kwangmin;Kim, Seongyup;Bae, Keumseok;Jang, Ji Young;Jung, Pil Young;Shim, Hongjin;Youn, Young Jin;Park, Il Hwan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0권4호
    • /
    • pp.242-246
    • /
    • 2017
  • Traumatic abdominal vessel injury is rare, but difficult to manage. Approaching the injured vessel and controlling the bleeding is very hard. We experienced the right iliac artery transection managed by iliofemoral bypass grafting using temporary balloon occlusion. Proximal occlusion of an iliac artery with a temporary balloon cab be an option or bridge technique for a definite operation in case of iliac artery rupture. So, we present our case.

홍예교 성능저하 원인에 따른 보수방안 고찰 - 선암사 승선교·송광사 극락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pair Method for Performance Degradation Cause of Korean Arch Bridge -Focused on the Seonamsa Seungseonggyo, Songgwangsa Geukrockgyo-)

  • 김정언;천득염
    • 건축역사연구
    • /
    • 제23권1호
    • /
    • pp.7-19
    • /
    • 2014
  • This study considers the proper repair techniques by examining the most representative repair cases of the Korean arch bridges and proposes the constructional manual which can apply similar occasions. The cases are Seonamsa Seungseongyo and Songgwangsa Geukrockgyo where this researcher had taken part in the repair works. This Study proposes the maintenance construction manual about the performance degradation drew by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both Korean arch bridges in the maintenance process. First, arch bridge maintenance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dry season, when water is impermeable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bridge. Moreover, risk factors of the maintenance should be excluded to secure the water vally flow, the bypass and the temporary bridge. Second, prior to repair, it has to precede (1)3D shooting (2)formal examination (3)structure safety test (4)geological and lithic surveys (5)arch curvature establishment and makeshift frame settlement before transformation (6)relationship expert comments. Third, if the baduk and the foundation stones are inevitable to replace due to performance degradation on the foundation, it should use the high quality stones and secure greater stress by extending the standard range. The foundation on irregular rock needs to be flattened and underside on the replaced materials require Grengyijil to deliver the equal loads. Fourth, In the process of dismantling the stones of the arched bridge, it could make heavy weathering degree and not reuse the materials. Charge should converge the expert advices to choose the reuseable, the conservate and the alternative materials, and increase the reutilization of the raw materials by preservation and reinforcement treatments. Fifth, the side wall should be repaired by the rubble work technique which is not able to pile compost satiety, so it must use long depth of masonary stones for reinforcement. It is considered to reinforce the stone wall in shore as much as possible and protect the abutment and the side wall on the upstream for the arch bridge maintenance works.

강합성 콘크리트 복공판의 내력시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earing Capacity of Steel Composite Concrete Lining Board)

  • 백신원;김용곤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22-126
    • /
    • 2012
  • Steel lining board usually is used as a floor on the temporary steel bridges. It also is installed in the subway construction site. However, in particular in subway construction, renovations and site of old bridges, these steel lining board structures have a problem such as noise, accidents and slip hazards. So steel composite lining board is being developed to solve this problem. Steel composite lining board consists of compressive concrete showing excellent performance in slip, durability, resistance and noise, lower tensile and shear steel showing high safety, effective and superior workability in many respects. Steel composite lining board structure gradually is used in many construction sites, because it has a high quality such as durability, little noise and slip. In this study, flexural tests of steel composite lining board in accordance with welding pattern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structure.

크로스 브릿지 간격에 따른 캣워크 시스템의 비틀림 거동 평가 (Evaluation of Torsional Behaviour for the Catwalk System on A Suspension Bridge by Cross Bridge Interval)

  • 이호;김호경;김기남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371-376
    • /
    • 2015
  • 현수교 주케이블 가설을 위한 임시 구조물인 캣워크의 비틀림 거동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캣워크의 비틀림 변형은 작업원의 안전성과 작업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이유로 설계단계에서는 크로스 브릿지의 간격을 조정하여 캣워크의 비틀림 변형이 일정 수준이하가 되도록 고려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캣워크의 비틀림 안전성과 관련된 크로스 브릿지의 설치 간격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 해석적 접근을 위해 크로스 브릿지를 포함한 상세 부분해석 모델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해석모델을 이용하여 크로스 브릿지 설치 간격에 따른 영향을 Prefabricated Parallel Wire Strand의 편심하중과 가설이 가능한 풍속 영역에서의 풍하중에 대해 검토를 수행하였다. 검토 결과 크로스 브릿지의 설치 간격이 캣워크의 비틀림 거동에 큰 영향을 줌을 확인하였으며, 검토 대상 교량의 캣워크는 비틀림 변형에 대해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FCM과 FSM공법에 의한 강-콘크리트 복합사장교의 신뢰성에 기초한 시공간 구조안전도평가 (Reliability-Based Assessment of Structural Safety of Steel-Concrete Hybrid Cable-Stayed Bridge Erected by the FCM and FSM during Construction)

  • 윤정현;조효남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515-52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시공간의 구조안전도 확보와 교량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FCM과 FSM공법으로 가설되는 강-콘크리트 복합사장교의 안전도평가 모형을 제안하였다. 구조물의 저항과 하중효과에 내제된 각종 불확실성을 합리적으로 고려하는 구조신뢰성이론에 의해 강합성거더와 콘크리트거더가 연결된 강-콘크리트 복합사장교의 저항과 하중의 분포특성을 정의하고 가설중 영구구조물과 가설구조물의 강도한계상태방정식을 제안하였다. 케이블, 주탑, 거더, 강-콘크리트 접합부 및 가설벤트의 신뢰성해석을 위해 AFOSM 알고리즘과 MCS 기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가설단계별 구조시스템에 따라 요소신뢰성해석을 수행하였다. 제안된 평가모형의 타당성과 실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제시된 방법을 실제 교량에 적용하였다. 유사한 교량의 안전도 관리를 위한 중점 항목을 정의하기 위해서 주요 인자에 대한 민감도 분석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모형은 FCM과 FSM으로 가설되는 강-콘크리트 복합사장교의 시공간 안전도 평가를 위한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PSC-Edge 거더 라멘교의 정착부에 발생한 시공 균열 거동과 개선 (Behavior and Improvement of Construction Crack occurred on Anchorage of PSC-edge Girder Rahmen Bridge)

  • 옥재호;임성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569-576
    • /
    • 2019
  • PSC-Edge 거더 라멘교는 Edge 거더에 긴장력을 도입하고 정모멘트를 감소시켜 저형고와 장경간화가 가능한 교량이다. 본 교량은 가설벤트가 상부슬래브의 하부에 지지되고 Edge 거더부에 2차 강연선이 긴장된 후 거더 외측 면에 $45^{\circ}$방향의 사인장 균열이 발생하였다. 프리스트레스 정착부의 응력분포 및 파열균열의 양상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지만 기존 연구 결과는 본 구조물의 실제 형상과 경계조건이 상이하여 명백한 원인분석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설벤트의 경계조건을 추가로 고려된 3D Frame 해석을 수행하였으나 Edge 거더부에서 최대 압축응력이 발생하여 균열을 원인을 규명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LUSAS 16.1을 사용한 3D Solid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Edge 거더의 하부와 상부슬래브의 경계부분에서 최대 주인장응력이 발생하였다. 최대 주인장응력과 방향여현을 사용하여 둔각부 Edge 거더 외측면의 소요 철근량을 분석한 결과 사용 철근량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추가 시공된 교량은 기존 교량보다 정착부의 철근량과 철근보강 범위를 확장시켰다. 그 결과 Edge 거더부의 균열은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와 유사한 PSC-Edge 거더 형식의 교량을 설계 및 시공할 때 본문에서 제안한 해석 및 보강방법을 적용하면 시공 중 발생하는 Edge 거더 외측면의 균열을 충분히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H형강과 고강도 강판으로 복합단면을 구성하는 프리스트레스트 플레이트거더의 개발 (Development of a Prestressed Plate Girder Forming Hybrid Sections of Hot-rolled H Beam and High-Strength Steel Plates)

  • 경용수;안병국;방진환;김문영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7권5호통권78호
    • /
    • pp.637-648
    • /
    • 2005
  • 선행하중을 도입한 H형강의 상하부에 고강도 강판을 부착시키고 하중을 제거함으로써 프리스트레스의 도입효과를 극대화 시킨 플레이트거더(High Prestressed Plate Girder, 이하 HiPP 거더)를 개발하고자 한다. 먼저 복합거더(hybrid girder)의 일종인 HiPP 거더의 역학적 원리를 간략히 설명하고, 실험을 통하여 플레이트거더에 의도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한 제작공정을 개발한다. 또한 실험체의 변형률 계측결과와 이론해석 결과를 비교하여 HiPP 거더의 프리스트레스 도입 메카니즘을 확인하며, 단계별 거더에 발생하는 응력을 파악한다. 가교에 적용하기 위하여 HiPP 거더의 설계를 위한 허용휨응력(안)과 용접부의 응력검토 결과를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단순 합성거더와 비교하여 HiPP 거더는 프리스트레스의 도입효과 때문에 장지간화된 가교의 설계/시공을 가능케 하는 구조적 거동 특성을 보인다.

모바일 스페이스(Mobile Space)의 공간 구성 및 용법에 의한 일시적 거주 공간 개념에 관한 연구 - 노마드적 인식에 의한 이동, 접이, 모듈, 확장, 진화의 방법으로 - (A Study on the Concept of the Temporary dwelling space by the composition and use of the mobile Space - FA way of moving, folding, module, extension, evolution by aware of nomad -)

  • 김진숙;임종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106-113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welling space by attaching or inserting the mobile space unit to the fixed building by providing the temporary dwelling space for those suffering from flood disaster, natural disaster or solitary old people or the space and program that the completed building in the city can not provide such as temporary events in the bridge, passage space, walking space for the handicapped, stores located between street blocks, and plaza.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emporary dwelling space through the composition of space and the experiment of the applicability of the program through the methods of movement, folding, module, expansion and evolution of mobile space. An attempt was made to apply the concept of ‘mobile space’ to the dwelling space not only with a focus on the freedom of variable and changeable physical movement but also with a focus on the existence of the nomad and the way of thinking that bleaks away from a given value system and code, creates a new value and continues to move to a new domain.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how the concept of ‘mobile space’ has been developed in what form and method they have been applied and interpreted in the historical background. It attempted to resolve the concepts of movement and mobility through the experiment so that they might apply to the space of contemporary city. This study attempted to experiment this possibility using the mobile space unit and apply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