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eam performance

Search Result 2,57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한국프로축구팀의 감독교체가 팀 경기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ach Turnover and Sport Team Performance: Evidence from the Korean Professional Soccer League 1983-2013)

  • 김필수;김대권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4권4호
    • /
    • pp.329-345
    • /
    • 2015
  • 본 연구는 한국프로축구팀 감독교체가 팀 경기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경영학의 조직학습이론을 적용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1983년 시즌부터 2013년 시즌까지 30년 동안의 19개 팀과 96명의 감독에 대한 307개의 팀-연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패널데이터를 구성하였고, 최종적으로 226개의 팀 데이터가 실증분석에 투입되었다. 자동상관 및 이분산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정효과 일반화최소자승법(Fixed Effect Generalized Least Square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독교체는 팀 경기성과와 부(-)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즌기간(on-season)의 감독교체는 팀 경기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즌기간에 감독을 교체하는 경우 악순환이론 관점이 적용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비시즌기간(off-season)의 감독교체는 팀 경기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시즌기간에 지도자를 교체하는 경우 상식이론 관점이 적용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시즌기간의 감독교체와 비시즌기간의 감독교체 간의 팀 경기성과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비시즌기간의 감독교체가 시즌기간의 감독교체에 비해 유의한 팀 경기성과를 보였다. 다섯째, 감독교체가 발생한 경우 후임감독으로 내부출신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내부출신감독은 팀 경기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감독교체와 팀 경기성과 간의 부(-)의 관계 사이에는 내부출신감독요인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프로축구산업 현장에서 팀 경기성과의 향상을 위한 감독교체가 필요할 때 후임 감독이 역량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교체시기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창업기업의 일과 삶의 균형 효과: 조직 자부심과 업무 만족 (An Effect of Work and Life Balance of Startup: Focus on Organizational Pride and Job Satisfaction)

  • 박준기;심재섭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0권3호
    • /
    • pp.95-112
    • /
    • 2019
  • It is important for the Startup team to enhance their employee's work & life balance in recent ages.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ffect of work & life balance on organizational pride,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Also, we explore how the organizational climate which compose with autonomy, leader's support and trust affects work & life balance. This study analyzed the path effect with PLS method using data from 151 Startup team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supervisor's support, trust of team climate positively influence work & life balance but autonomy is not confirmed to have the relationship with work & life balance. Second, work & life balance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pride an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that organizational pride and job satisfaction hav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 life balance and team performance. Also, Startup team managing the work & life balance will get better performance and retain the competition.

Oxide TFT Structure Affecting the Device Performance

  • KoPark, Sang-Hee;Cho, Doo-Hee;Hwang, Chi-Sun;Ryu, Min-Ki;Yang, Shin-Hyuk;Byun, Chun-Won;Yoon, Sung-Min;Cheong, Woo-Seok;Cho, Kyoung-Ik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9년도 9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385-388
    • /
    • 2009
  •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device structure on the performance of polycrystalline ZnO TFT and amorphous AZTO TFT with top gate and bottom gate structure. While the mobility of both TFTs showed relatively similar value in a top and bottom gate structure, bias stability was quite different depending on the device structure. Top gate TFT showed much less Vth shift under positive bias stress compared to that of bottom gate TFT. We attributed this different behavior to the defects formation on the gate insulator induced by energetic bombardment during the active layer deposition in a bottom gate TFT. We suggest the top gate oxide TFT would show more stable behavior under the Vgs bias.

  • PDF

공대생들의 협동학습에서 창의적 문제해결스타일 및 갈등관리 유형과 팀 수행 (Creative Problem Solving Styles, Conflict Management Types and Team Performance in the Cooperative Learning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 안정호;임지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1호
    • /
    • pp.40-45
    • /
    • 2011
  • 본 연구는 협동학습에서 팀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공대생들을 대상으로 창의적 문제해결스타일 및 갈등관리유형이 팀 수행 성적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 지를 파악함으로써 공대생들의 문제해결능력과 갈등관리를 위한 커뮤니케이션능력 증진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팀 수행 성적이 상, 하위 30%에 해당하는 집단 간에 창의적 문제해결스타일의 두 가지 차원(변화에 대한 지향, 의사결정의 중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상위권은 대개 개량스타일(76.7%)과 과제중심스타일(65.1%)에 해당된 반면, 하위권은 혁신스타일(72.2%)과 사람중심스타일(86.1%)에 해당되었다. 갈등관리유형의 경우, 상위권은 경쟁논리형(22.8%)과 순응타협형(17.7%), 하위권은 순응타협형(20.3%)과 방임체념형(12.7%)이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웰니스리더십과 성과: 조직분위기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llness Leadership and Performanc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 Climate)

  • 차윤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279-285
    • /
    • 2018
  • 최근 조직내 구성원들의 긍정심리가 성과와 긍정적인 관계가 있다는 연구들이 보고되면서 많은 조직들이 구성원들의 정서를 긍정적으로 유지하고 발전시키려는 노력 해 오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하나로 기업들은 그동안 개인적인 영역으로 생각되어오던 구성원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조직의 체계적인 지원 및 제도 운영의 필요성을 제기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이러한 제도적 지원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 리더 역할을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리더들의 웰니스리더십과 성과 간의 관계를 검증해 보고 리더행동에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건강지원조직분위기의 역할에 대해 실증해 보았다. 이를 위해 IT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215부의 설문응답을 모아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리더의 웰니스리더십과 구성원들의 지각된 팀성과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확인하였다. 건강지원분위기는 웰니스리더십과 팀성과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이러한 실증연구결과를 토대로 경영학적 관점의 실무적 및 학문적 시사점을 논의 하였다.

자기효능감, 조직문화 및 팀 성과의 관계에서 지식공유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the Knowledge Sharing in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Organization Culture, and Team Performance)

  • 이예빈;김성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19-23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과 조직문화가 조직 내의 팀 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외부변수로는 자기효능감, 조직의 개방성, 공유문화, 경쟁문화를 선정하였으며 지식공유를 매개변수로 선정하였다. 종속변수로는 팀 성과를 선정하여 외생변수 및 매개변수가 종속변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조사 하였다. 데이터는 국내 건설회사에 종사하는 임원진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조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효능감, 공유문화, 경쟁문화는 지식공유 및 팀 성과에 직 간접적으로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조직의 개방성은 지식공유나 팀 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식관리 활동과 업무성과와의 구조적인 관계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지식 공유를 위한 전략을 제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학습전이와 상사 리더십의 효과적 팀 성과를 위한 모델 개발의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into the relationship of team performance and learning transfer influenced by leadership types)

  • 정상무;박희용;송관배;강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83-392
    • /
    • 2013
  • In order to promote social responsibility, a company reads to engage in various activities to increase their competitiveness to ensure stable and continuous development. One of the activities is to input human/material resources in order to draw and develop the core abilities of member for the productivity improvement of the company.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capability improvement of members in relation to core company performance, the focus of the study is to identify how education training in a company may contribute to team performance by leaning transfer through empirical study.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personality of members, as well as the training programs, within the company can be a significant factor for improving productivity and performance of the company. In addition, team members noted that learning transfer take place when effectively lead through the leadership of a boss and identified that this leadership ultimatel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eam performance.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Role of Social Connectedness, Team Psychological Safety and SNS Usage Frequency

  • WANG, Wei;MOON, Jaeseung
    • 동아시아경상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57-69
    • /
    • 2021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est the impact of social connectedness and team psychological safe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mployee performance (job performance and practiced creativity), and moderating role of usage frequency of SN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A total of 299 questionnaires, completed by Chinese employees, were analyzed using SPSS 22 and AMOS 22. For the assessment of goodness of fit of the models, TLI, CFI, RMSEA indices were used. Result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connectedness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practiced creativity. Second, team psychological safety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ocial connectedness, job performance, practiced creativity. Fin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frequency of employee SNS usage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 -This study analyzes the mediating role of employee social connectedness and team psychological safe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practiced creativity, which is helpful for the expansion of related theories and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High Performance 2.2 inch Full-Color AMOLED Display for Mobile Phone

  • Kim, H.K.;Suh, M.S.;Lee, K.S.;Eum, G.M.;Chung, J.T.;Oh, C.Y.;Kim, B.H.;Chung, H.K.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2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325-328
    • /
    • 2002
  • We developed a high performance 2.2" active matrix OLED display for IMT-2000 mobile phone. Scan and Data driver circuits were integrated on the glass substrate, using low temperature poly-Si(LTPS) TFT CMOS technology. High efficiency EL materials were employed to the panel for low power consumption. Peak luminescence of the panel was higher than 250cd/$m^2$ with power consumption of 200mW.

  • PDF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팀 구성원의 셀프리더십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공기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Team Performance o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 SelfLeadership - Focus on the Employees of Public Enterprises -)

  • 배병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766-777
    • /
    • 2016
  • 본 연구는 기업 환경의 불확실성이 증가되고 있는 시점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셀프리더십이 팀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팀제의 효용성과 리더십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직구성원 간에는 교환관계 질을 형성한다는 LMX이론과 사회교환이론 및 경영환경에 적합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는 상황이론을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하고 있다. 국내 공기업 9개사를 대상으로 총 166개 팀 880명의 유효 데이터를 활용하여 SPSS 20.0을 이용 회귀분석으로 연구가설을 증명하였다. 연구결과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팀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셀프리더십의 행위전략과 인지전략은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팀 성과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당초 설정된 연구가설을 모두 채택하게 되었다. 특이한 점은 셀프리더십이 낮은 집단에서 그 효과는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함의한 바는 팀제 조직에서 팀의 관리자가 셀프리더십이 상대적으로 낮은 집단의 구성원들에게 관심을 갖고 실천할 수 있는 목표를 부여하여 구성원 스스로가 동기부여 될 수 있도록 배려한다면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해서 팀 성과는 뚜렷이 향상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