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learning curriculum

검색결과 1,475건 처리시간 0.027초

수학과 열린 교육의 방향성 재고 (Rethinking the Direction of Open Education in Mathematics)

  • 임재훈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권1호
    • /
    • pp.39-58
    • /
    • 1999
  • Nowadays, open education is popular in Korea. Various open education methods such as open time, open space, open curriculum, team teaching, small group learning are actively introduced into mathematics education. Current 'open education in mathematics' in Korea can be characterized as the application general education reform movement (open education movement) to mathematics education. This movement is interested in teaching methods rather than contents. In this article, I discussed with the limits and the problems of this application and argued that not the method-centered open general education reform movement but the content-centered mathematics education's own reform movement is necessary for the true mathematics education reform.

  • PDF

중등교사 신규임용 후보자 선정 경쟁시험 가정과 교과교육학 출제 문항 분석 (An Analysis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Discipline Items in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for Secondary School)

  • 김성숙;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49-168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임용시험 문항 중에서 교과교육학 문항수준 즉, 문항의 출제비율, 문항형태, 문항의 행동영역, 내용의 포괄성의 분석을 통해 가정교과교육학 문항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01-2007 학년도까지의 가정과 임용시험 문항 중에서 교과교육학 문항을 대상으로 문항의 출제비율, 문항형태는 빈도와 비율을 통해, 문항의 행동영역, 내용의 포괄성은 내용분석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가정교과교육학 문항의 개선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2001-2007 학년도까지의 과학군, 사회군 교과교육학 문항 중에서 사례문항을 추출하여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교과교육학 문항의 출제비율은 2001-2004학년도까지 20-30%로 유동적이었으나 2005학년도 이후 30%로 고정적인 비율을 보였으며 가정교과교육학 각 하위영역의 출제비율은 교육과정(43%), 교수학습법(35%), 교육평가(19%), 교육철학(3%) 순이었다. 둘째, 가정교과교육학 문항형태는 2001-2004학년도까지 단독문항의 형태와 소문항을 포함한 형태의 문항이 양립하였으나 2005-2007학년도 문항형태는 100% 단독문항의 형태로 변화되었다. 셋째, 가정교과교육학 하위영역 문항의 출제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교육과정 출제내용은 제7차 교육과정 해설서의 내용이 대부분이었고 교수학습법 출제내용은 특정 교수학습모형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뤘다 교육평가에 관한 문항의 출제내용은 수행평가에 관련된 내용이 주로 출제되었다. 마지막으로 가정과교육철학에 관한 문항은 2005학년도에 가정과 사명에 나타난 하버마스의 세 행동체계에 관한 내용이 유일하게 출제되었다. 넷째, 가정교과교육학 문항의 행동영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정과교육과정 문항의 행동영역은 대다수의 문항이 '단순지식 또는 기억' 수준에 머물러 있어 구체적인 개선방안으로 교육과정의 내용을 조망하는 시각으로 이해하여 실제적 인 교육현장에서의 적용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복합지식 또는 이해와 적용'의 행동영역을 제안하였다. 가정과교수학습법 문항의 행동영역은 대체로 '복합지식 또는 이해와 적용'으로 나타났으나 좀 더 발전적인 문항의 개선방안으로 특정 교수 학습법에 대한 개념과 원리의 이해만을 요하는 문항의 행동영역에서 좀 더 실제적인 수업상황에서 교수학습이론을 폭넓게 적용하는 '적용' 능력을 좀 더 요하는 문항의 행동영역을 제안하였다. 가정과교육평가 문항의 행동영역 역시 대체로 '복합지식 또는 이해와 적용'을 요하는 문항의 행동영역이라고 볼 수 있으나 좀 더 발전적인 문항으로의 개선방안으로 이론적인 내용의 '이해'만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의 행동영역에서 가정과의 실제 수행평가 상황에 맞는 평가도구를 찾아 제작하고 활용할 수 있는 '적용' 능력을 요하는 문항의 행동영역을 제안하였다. 다섯째, 가정교과교육학 문항내용의 포괄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정과교육과정 문항내용은 제7차 교육과정 문서상에 표면적으로 제시된 내용에 한정되어 있어 구체적인 개선방안으로 교육과정의 철학적 이론적 배경, 다양한 교육과정 원리를 활용하는 문항내용 등과 같이 좀 더 이론적이고 원론적인 내용으로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가정과교수학습법 문항내용은 특정 교수학습모형에 관련된 지식을 묻는 내용으로 주로 출제되었다. 이에 구체적인 개선방안으로 특정 교수학습모형의 이론적 토대가 되고 전체적인 교수설계를 하기 위한 기본 바탕이 될 수 있는 교수학습이론에 관한 내용, 또한 현재가정과교육에 있어서 유용한 교수학습법이라고 입증되고 있는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에 관한 내용으로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가정과교육평가 문항의 출제는 대다수의 문항이 수행평가에 관한 문항내용으로 출제되었다. 이에 구체적인 개선방안으로 문항의 변별도 여부의 판단, 평가문항의 내용 타당도 분석, 평가결과를 해석하는 능력, 평가자의 철학적 관점과 같은 내용으로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 PDF

초등 과학과 '지구와 우주' 영역의 STS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STS Contents in the area of 'The Earth and the Universe' in Elementary Science Subject)

  • 이상균;최성봉;김찬기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6-73
    • /
    • 2011
  •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types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hemes and percentage of STS contents in the area of "The Earth and the Universe" in elementary science subject following the 7th Curriculum and 2007 Revised Curriculum, identifying how STS education has changed and their features. First, the number of pages where STS appears in the 2007 revised science textbook has increased over 10% compared to the that of the 7th curriculum. In particular, the number of pages in the 5th and 6th graders increased substantially to 15% and 34%, respectively.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n components of STS, 'applications of science', 'local and community relevance', 'social problem and issues', 'evaluation concerned fir getting and using information' were obtained in the order named for the 7th curriculum; while 'applications of science', 'local and community relevance', 'career awareness' and 'social problem and issues' were obtained in the order named for 2007 revised curriculum. Third, with regard to the analysis on theme areas, the 7th curriculum was found to cover the theme on use of natural resources most frequently, followed by environmental problem, while 2007 revised curriculum to cover environmental problem and effects of technical development most frequently, followed by space development and use of natural resources. Fourth, in the area of STS teaching activities, 'investigation activity' showed highest percentage in 7th curriculum, followed by 'analysis of data', and 'research design', while 'analysis of data' showed highest frequency of appearance, followed by "investigation activity' and 'actual activities' and 'research design' in the order named in 2007 revised curriculum, showing that the area of 'analysis of data' and 'actual activities' increased substantially compared to the 7th curriculum.

An Updated Evidence-based Practice Review on Teaching Mathematics to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Alhwaiti, Mohammed M.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5호
    • /
    • pp.255-265
    • /
    • 2022
  • Educational program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ve undergone drastic changes in pursuit of the general curriculum. Accordingly, teacher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mathematics, strive to find effective methods that enhance learning. The objective of this systematic review is to examine the field of teaching mathematics to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investigate relevant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and required teaching skills. To achieve this goal, studies published during the period 2018-2021 were reviewed. Findings indicate the inclusion of nine studies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out of 55 studies. The included studies found that the system of least prompts (SLP) in conjunction with feedback and error correction, and schema-based instruction are generally the most effective strategies in teaching mathematical skills to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ddition is the most targeted skill, followed by subtraction and algebra problem solving. The least targeted skills are multiplication, recognition of geometric shapes, calculating price after discount, rapid recognition of numbers, and rapid problem solving. The paper provides recommendations and suggests venues of future research.

발도르프 수학교육 방법을 적용한 우리나라 대안학교 기하단원 교수·학습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Geometry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Waldorf Education Methods in a Korean Alternative School)

  • 송만호;김영옥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0권2호
    • /
    • pp.197-22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if it is possible to apply the Waldorf School's mathematics education method to Korean alternative schools which are run under the national curriculum. To achieve this, the researcher conducted class on geometry for three weeks with ten 7th graders(four girls and six boys) from Apple Tree Waldorf alternative school in Busan, which has adopted Valdorf education courses. For the first two weeks, the class was about 'fundamental geometrical construction', and then it was evaluated. On the third week, the lesson was on plane figures, followed by a test with 9 plane figure questions that are based on general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The result shows that most of the students understood 'fundamental geometrical construction'. When it comes to the test on 'plane figures', seven students got 8 out of 9 right, two students got 6 out of 9 right, and one of them had difficulty solving the ques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is thought that there will be no problem for students to understand mathematical concept even if the Waldorf School's mathematics education method is applied to Korean alternative schools. Also, the Waldorf School's mathematics education method is considered to be a good teaching model for the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which places emphasis on 'mathematical creativity' in regard to the curriculum and contents.

An Analysis of Student Learning: Using a Standard-Based Earth Science Curriculum in the U.S.

  • Park, Do-Yong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20-63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EarthComm implementation in the U.S. high schools in terms of demographic background including school size, urban/rural area, and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impact of students' higher-order thinking skills by using the visions of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Two modular of the EarthComm curriculum were used for this purpose with thirty one teachers and around thousand students involved across four states. Findings were that EarthComm did not significantly impact student achievement differentially in schools of varying sizes and school location, i.e., urban and rural areas. Th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did not impact student achievement scores for Module I but did significantly impact for Module II. It is noted that the two results seemingly conflict with each other similar to other research findings (Ferguson, 1998; Yager et al., 1988). Student higher-order thinking skills, on the other hand,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s a result of studying with EarthComm.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t the end of the paper.

컴퓨터공학의 도입을 위한 수학교육연구의 방향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for Introducing Computer Technology into Mathematics Eduction)

  • 조완영;권성룡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39권2호
    • /
    • pp.179-186
    • /
    • 2000
  • Although computer technology has a great potential for improving mathematics learning practice, it rarely used in mathematics classroo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for research in mathematics computer technology. First, there has to be a research on mathematics curriculum that take computer technology into account. Second, research on teaching sequence for certain content area is needed. Because computer technology would change the order of teaching sequence. Third, how students would learn with computer technology? how do they acquire knowledge and make sense of it? Fourth, how could we assess the learning with computer technology? Most of all, because teachers play a key role to succeed in educational reform, they have to be familiar with computer technology and software to introduce it into mathematics learning and to use it properly.

  • PDF

Conceptualizing the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Approach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s

  • Kwon, Oh-Na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6권2호
    • /
    • pp.159-170
    • /
    • 2002
  •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in differential equations has undergone important changes in favor of the visual and numerical aspects of the course primarily because of recent technological advances. Yet, research findings that have analyzed students' thinking and understanding in a reformed setting are still lacking. This paper discusses an ongoing developmental research effort to adapt the instructional design perspective of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RME) to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differential equations at Ewha Womans University. The RME theory based on the design heuristic using context problems and modeling was developed for primary school mathematics. However, the analysi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a RME design for a differential equations course can be successfully adapted to the university level.

  • PDF

초등학교 1학년 세계시민교육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및 평가: 실과 가정영역 실천적 문제를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for the 1st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Practical Problems in the Home Economics)

  • 강솔;진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1-94
    • /
    • 2024
  •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실천적 문제 중심 세계시민교육(GCED)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 평가하여 차기 교육과정에서 실질적인 세계시민교육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DDIE 모형의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 단계를 따라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초등 1학년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과 세계시민교육의 관련성을 분석하였고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2022 개정 통합과 교육과정에서 세계시민교육 학습 요소를 추출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네 가지 실천적 문제에 따라 총 8차시의 4개의 교수 학습과정안으로 구성되었고,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증을 통해 수정, 보완하였다. 개발된 교수 학습과정안은 서울특별시 S 초등학교 1학년 학생 16명을 대상으로 4주에 걸쳐 8차시 모두 적용되었다. 프로그램 실행 결과, 학생들 세계시민의식의 평균이 사전보다 사후에 3.88점(±3.91) 증가하였으며, 수업 교사의 성찰일지와 수업 참여 학생의 포트폴리오를 분석한 정성 평가에서도 프로그램이 학생들이 더 나은 지속가능한 세상을 만들기 위한 실천의 중요성을 깨닫는 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과 연계 초등학교 1학년 실천적 문제 중심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이 세계시민의식 함양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게임기반학습 활성화를 위한 교사의 인식 조사 (An Analysis of Perceptions of Teacher for Game-Based Learning)

  • 박형성;박성덕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91-10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게임을 활용한 학습이 교육현장에서 교수-학습을 지원하는 방법으로 활용되기 위해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는데 있다. 이는 게임기반학습의 확산을 위한 중요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첫째, 교사들이 게임을 사용하는데 있어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주제와 내용을 지닌 게임을 찾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둘째, 학습자의 다양한 수준에 따른 게임 활용 수업을 준비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이다. 셋째, 교사가 게임을 수업에 활용하기 위해 관련기관에서 다양한 정보와 지침을 제공해야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행-재정적인 지원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