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 motivation

검색결과 515건 처리시간 0.026초

거꾸로 교실을 활용한 수학학습부진아의 학습지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eaching Math Underachievers Using Flipped Classroom)

  • 김환철;강순자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521-536
    • /
    • 2017
  • 교사가 수업에서 느끼는 큰 어려운 점 중의 하나는 배우고자 하는 의욕과 동기를 상실한 학습부진아를 수업에 참여시키는 것이다. 수학학습부진아는 평균 혹은 평균 이상의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교사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학 학습에 많은 어려움을 느낀 학생들이다. 이 학생들에 대한 수학학습지도 전략은 수학학습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수학에서의 학업 성취도의 향상을 경험하게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수학학습 부진아들의 기초수학 학습지도 전략방안으로 거꾸로 교실 수업을 선택하고 이를 수학학습부진아 수업에 적용한 후 이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성향에서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수학학습 부진아에 대한 거꾸로 교실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거꾸로 교실을 활용한 수학학습부진아의 기초수학 학습 지도 후 수학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유의미한 변화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거꾸로 교실을 활용한 수학학습부진아의 기초수학 학습 지도 후 수학에 대한 자신감, 융통성, 의지력, 호기심, 반성, 수학적 가치의식 등 수학적 성향에서도 유의미한 긍정적 변화가 있었다. 특히, 수학의 가치에 대한 생각과 수학문제 풀이에 대한 의지 부분에서 가장 두드러진 변화를 보였다.

  • PDF

수학과 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분석 (A Qualitativ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Best Practice" in Mathematics)

  • 이대현;최승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249-263
    • /
    • 2006
  • 이 연구는 수학과 좋은 수업에 대한 사례 관찰과 분석을 통해서 수학과 교사들의 좋은 수업의 특징을 알아보고, 수학과 교육의 내실화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선정된 6명 교사들의 수업 사례에서 '좋은 수업'이란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재구성한 수업, 실생활 상황을 도입한 수업, ICT를 활용한 수업, 메타인지 학습 전략을 도입한 수업, 동기 유발이 가능한 수학 수업, 수행평가를 도입한 수업, 수준별 소집단 협력 수업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좋은 수업을 운영하고 있는 교사들은 적어도 2개 이상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었다. 연구에 참여한 6명의 교사들은 여러 가지 현장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이를 극복하고 학생들의 학습 수준을 이해하고 학생들이 친숙하게 접할 수 있는 소재에서 출발하여 학생들과 같이 하는 수업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6명 교사들의 좋은 수업은 학생들의 학습을 촉진시키고 학생들의 학습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사로서의 순수한 열정과 노력의 결과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좋은 수업의 특징은 실질적인 수학과 내실화를 꾀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학교 교육의 내실화는 수업의 내실화가 전제되어야 한다. 최근의 수학교육 동향에 비추어 좋은 수업을 운영하고 있는 교사의 수업을 계속적으로 발굴하고, 이들 수업에서 발견되는 수업의 특징을 새로운 학교 수학 수업의 기준점으로 삼아, 수학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현실적인 실천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 PDF

중.고등학생들의 미디어 교육 이용 동기가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학업적 자기 효능감과 미디어 능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iddle.High School Students' Media Education Using Motive Effect in School Achievement: Focusing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Media Competence)

  • 이정춘;김은규;강진숙;박상호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7권
    • /
    • pp.43-72
    • /
    • 2007
  • 본 연구는 미디어 교육을 받고 있는 중 고등학생들의 미디어 교육 이용유형과 효과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서 미디어 교육 이용 동기, 학업적 자기 효능감, 미디어 능력 그리고 학업성적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우선 미디어 교육 이용 동기는 '수업 편리성/도움 추구', '정보/교육방법 습득 추구', '새로운 수업/의사소통 추구', '능력향상 추구', '자율적 교육 추구', '시대 편승 추구', '새로운 지식/교육추구'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미디어 교육 이용 동기 중에서 학업적 자기 효능감에서는 '새로운 지식/교육추구' 동기만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미디어 능력에는 '수업 편리성/도움 추구', '정보/교육방법 습득 추구', '새로운 수업/의사소통 추구', '자율적 교육 추구', '시대 편승 추구' 등 5개 동기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의 학업성적에는 '자율적 교육 추구'와 '새로운 지식/교육추구'만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업적 자기 효능감'이 '미디어 능력'보다 학업성적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미디어 교육은 어느 정도 새로운 수업방식과 능력향상 차원에서 의미가 있지만,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 효능감과 학업성적에서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학생들의 미디어 능력 함양에는 미디어 교육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보건소에서의 모유수유 교육 프로그램 운영 실태와 요구도 조사 (A Study on Actual Conditions and Needs of Breastfeeding Education for Pregnant Women in Health Centers)

  • 김지은;박동연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818-828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ctual conditions and needs on breastfeeding education for pregnant women in health centers for the development of a breastfeeding educational program. The questionnaires were mailed to 245 health centers and 148 (60.4%)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91% of the health centers had breastfeeding education for pregnant women. 66% of them operated breastfeeding education as one part of other health programs. About 76% of supervisors and 64% of educators were the nurses. The teaching methods frequently used were lectures (30.5%), giving out booklets and leaflets (22.6%), demonstration and practice (21.5%), personal counseling (13.3%), and others. The teaching materials used were materials of outside speakers (39.7%), materials of development oneself (19.0%), materials of academic association or institute (14.8%), and others. The subjects which educators taught were the benefits of breastfeeding (16.7%), breastfeeding techniques (15.8%), caring for breasts before and after delivery (15.1%), nutritional management for lactating women (14.2%), coping strategies for the difficult situation of breastfeeding (13.3%), and others. Those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educators' general characteristics. Success factors of education were increased motivation for breastfeeding (52.8%), practice (22.6%), professional's lecture (11.3%) and others. The failure factors of education were the ineffectiveness of the lecture method (69.2%), lack of education for supporters (15.4%) and lack of standardized education (15.4%). The most important barrier of education was the lack of a standardized breastfeeding educational programs (43.9%). The most effective teaching methods that educators thought were demonstration and practice (24.0%). The educators thought they need the tools and space for practice (28.2%), a standardized breastfeeding educational program (26.9%), and the human resources (24.4%) for effective education. Subjects that educators thought important for education were the breastfeeding techniques, benefits of breastfeeding, caring for breasts before and after delivery, nutritional management for lactating women, coping strategies for the difficult situation of breastfeeding, rooming system after delivery, ways to assess mother's milk quantity, introducing successful cases of breastfeeding in rank order. To promote the effectiveness of breastfeeding education, standardized breastfeeding educational programs, diverse teaching materials, space and tools, and human resources are needed.

창의력 향상을 위한 로봇활용 교수 - 학습모형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Robot - based Teaching-Learning Model for Improving Creativity)

  • 전우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99-105
    • /
    • 2015
  • 현재 로봇은 교육적 목적으로 학교에서 점차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로봇활용교육의 확산과 더불어, 로봇활용교육의 장점은 학생들에게 창의력과 논리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록 로봇이 학생들의 수업활동을 위해 매우 유용한 도구임에도 불구하고, 로봇활용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모형은 많지 않은 실정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로봇활용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교수-학습 모형은 구성주의 교육철학에 기반을 두어 고안되었고, 6단계(준비, 디자인, 조립, 시범작동, 평가 및 적용 및 확장)로 구성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모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째, 제안하는 모형은 학생들의 창의성과 논리적 사고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디자인되었다. 학생들은 자기주도활동을 해야 하며, 자신의 아이디어에 기초하여 결과물을 제작해야 한다. 교사들은 필요한 경우 학생들을 중재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은 본 모형을 통해서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에 참여할 수 있다. 본 모형에서 제공하는 상호작용은 학생-학생, 학생-교사 및 학생-전문가 상호작용을 제공한다. 본 모형은 협력학습을 통한 문제해결을 권장한다. 교사는 필요한 경우 학생들을 안내하고 학생들의 활동을 모두 주시해야 한다. 셋째, 제안 모형은 학생들에게 동기부여를 학습 활동초기에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모형에서는 학습 결과뿐만 아니라 학습 과정까지 투명하게 볼 수 있어 학생들의 수업단계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학습과정은 최종단계에서 검증할 수 있다.

웹 기반(Web-Based Instruction) 간호관리학 실습교육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Nursing Education Program on Web-Based Instruction;Application to Nursing Management Practice)

  • 심전경;권성복;지성애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83-295
    • /
    • 2003
  • This study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nursing education program on web-based instruction for Nursing Management Practice of nursing school. The program has been developed based on five steps of the teaching-learning design model developed by Chung, In-Sung which is widely used in Web-Based Instruction(WBI).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nursing education program on WEI and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The subjects consisted of twenty-four senior nursing students taking the Nursing Management Practice course. Two sets of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y were asked to evaluate the program in terms of appropriateness of the teaching strategy, precision of the contents, easiness of use, easiness of approaching system, interface design, system management, enhancement of communication, and effectiveness of learning. The program was developed in five steps, analysis of the student, design of the contents, production of the system,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and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It is concluded that this program was very useful in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and motivation in the students. In addition to this, the web-based learning system would be one of the best qualified educational method for nursing students. Therefore, I would suggest that it can be used for other nursing courses which is available on the Web.

  • PDF

성격유형에 따른 수학불안 관련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vity of Mathematical Anxiety Depending on the Types of Students' Characteristics)

  • 고호경;박상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369-384
    • /
    • 2007
  • 본 연구는 성격과 수학불안이 무관하지 않다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성격유형에 따라 수학불안 하위요인에서의 불안 정도를 비교하고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남 공주 및 경기도 안양의 고등학생 159명이었고 네 가지 선호지표(E-I, S-N, T-F, J-P), 기능과 기질, 16가지 성격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수학불안 하위요인별로 느끼는 수학불안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수학불안 하위요인인 학습동기에서는 E형이 교수방법에서는 N형의 학생들이 수학불안을 가장 많이 느끼고 있음을 보였다. 또한 교수방법에서 심리적 기질 및 기능에서 NT형의 학생들이 수학불안 정도가 높게 나옴으로서 성격유형에 따른 수학불안의 하위요소와의 관련성이 있음을 검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수학불안 하위요소를 고려한 교수 학습을 제안할 수 있다.

  • PDF

전문대학생을 위한 학습태도검사 (Developing of Learning Attitude Examination Tool for Vocational College Students)

  • 김정선;이형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982-994
    • /
    • 2014
  • 본 연구는 전문대학 학생들의 기초적 학습능력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학습전략과 학습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을 찾는 전단계로서 교수학습센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학습태도검사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전문대학 신입생 984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학습태도검사로 33문항이 선정되었는데, 다섯 가지 요인으로 명명된 효과적인 내용정리, 우선순위와 자기관리, 학습습관 점검 및 개선, 목표 설정과 실행, 학습계획은 서로 높은 정적 상관관계(.53~.72)를 보이며 특히 학과적성에 긍정적인 학생일수록 다섯 요인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 특성에 따라 다섯 요인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므로, 대상에 따라 차별화된 교수학습방법을 운영하는 방안도 고려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학습전략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PBL 모형을 적용한 초등학교 영어·과학 융합 수업 모델 설계 (An Instructional Design for the Converged English-Science Teaching Method using PBL Model in Elementary School)

  • 박인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66-72
    • /
    • 2020
  •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21세기 현대 사회에서 국가 경제력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해 최근 미국, 영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교육이 점차 강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Arts(예술)를 추가하여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교육이 나타났다. 융합(STEAM) 교육 목표는 기존의 주입식 및 암기식 교육이 아닌 학습자들의 흥미도와 학습에 대한 동기 부여를 강화하여 체험, 탐구, 실험이 중심이 되어 융합적 사고와 실생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 국가 경제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가 이루어진 Y 초등학교에서는 세계 공용어로 자리매김한 영어와 4차 산업 혁명으로 인한 발전으로 거의 모든 분야에서 찾아볼 수 있는 과학을 융합하여 학습자들이 주도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여 문제해결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PBL 모형과 ADDIE 모형이 기반이 된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이 모형은 크게 5가지 절차로 분석(Analysis), 설계(Design), 개발(Development), 실행(Implementation), 평가(Evaluation)로 구성된다. 국가 경제력을 갖춘 인재 양성이라는 목표도 중요하지만, 교육 현장에 있는 교사들이 융합(STEAM)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이에 알맞은 수업 설계에 관한 연구가 지속하며 강화되어야 한다.

학생 참여형 수업에서 교사 배경변인과 교사효능감이 초등교사의 수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and Teacher Efficac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structional Behavior in Student-Participatory Class)

  • 김도형;이동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51-58
    • /
    • 2020
  • 본 연구는 교사 배경변인과 교사효능감이 학생 참여형 수업에서 초등교사의 수업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G 지역에 재직 중인 초등학교 교사 1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변수 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교사효능감의 하위변인인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제난이도 선호가 초등교사의 수업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교사의 수업행동 중 수업지식과 수업동기유발에 대해서는 자기조절효능감이 과제난이도 선호보다 더욱 높은 영향을 미쳤고, 수업의사소통에 대해서는 과제난이도 선호가 자기조절효능감 보다 영향력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생 참여형 수업에서 초등교사의 바람직한 수업행동이 나타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