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 materials

검색결과 1,686건 처리시간 0.027초

중.고등학교 수학의 시각화 (A Study on the Visualization of Middle & High School Mathematics)

  • 문광호;우정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권1호
    • /
    • pp.135-156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about the role of the visualization as an effective method of teaching abstracted mathematics, to analyze visual materials in middle and high school mathematics and to suggest various visualized materials for teaching mathematics effectively. Though formal, symbolic and analytical teaching method is a major characteristic of mathematics, the students should be taught to understand through intuition and insight, and formalize the mathematical concepts progressively. Especially the sigh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basics of cognition for intuition and insight. Therefore, suggesting mathematical contents through the visual method makes the students understand and formalize the mathematical concepts more easily. In this study, we tried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role of visualization in mathematics teaching. And, we discussed about the four roles of visualization in the process of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confirmation and memorization of the mathematical truth, proving theorem and solving problems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urposes of teaching mathematics, According to the roles of visualization, we analyzed visual materials currently taught in middle and high school, and suggested various visual materials useful in teaching mathematics. The investigated fields are algebra where visual materials are little used, and geometry where they are use the most. The paper-made-textbook can't show moving animation vigorously. Hence we suggested visual materials made by GSP and applets in IES .

  • PDF

초등 수학 영재를 위한 도형수 과제의 수준별 교수.학습 자료 개발 절차와 방법에 관한 연 (A Study on the Process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Level in the Figurate Number Tasks for Elementary Math Gifted Students)

  • 김양권;송상헌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745-768
    • /
    • 2010
  • 본 연구는 수준이 다른 여러 영재 집단의 소속 학생들이 도형수와 관련된 과제를 해결하고 창의적 산출물을 도출하는 가운데 그들의 수학적 사고력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휘할 수 있도록 수준별 수학 영재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는 절차와 방법을 탐구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수 학습 자료 개발의 준거와 절차 모형에 따라 도형수 과제의 교수 학습 자료의 원형과 실제적인 자료를 개발하고 그것을 현장 수업에 적용하면서 학생들의 다양한 해결과정을 분석하면서 그 자료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에서 집단의 수준별로 산출물 탐구가 가능한 도형수의 내용 범위를 설정해 보면서 차후 유사한 다른 수학 영재 교수 학습 자료 개발할 때 고려한 네 가지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PDF

汉语教学中带"得"字的程度补语与情态补语 - 结合四种韩国现行汉语教材的考察

  • 유철
    • 중국학논총
    • /
    • 제66호
    • /
    • pp.105-126
    • /
    • 2020
  • Complement is a special grammatical phenomenon in Chinese. There is no complement in Korean, so complement teaching is a difficulty. There are some similarities between the degree complement with "de" and the modality complement. For a long time, there has been a phenomenon of fuzzy classification in the academic circle, which also affects the teaching of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There are several different views on these two kinds of complements in the current textbooks. This makes students and teachers feel very confused.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teaching, the autho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and grammatical significance of these two kinds of complements, and investigates the four sets of current teaching materials. It is found that: some teaching materials are confused in terms of terms and classification; some teaching materials are not fully reproduced in terms of knowledge points; the students are prone to have partial errors, and the situation of the clutch words with modal complements is ignored by most teaching materials. Some textbooks overemphasize Verb Copying in the arrangement of modal complements. Most textbooks are lack of context. The author puts forward some teaching suggestions. In class, teachers should concentrate on speaking and practicing, and focus on the types of errors that students are prone to make. The textbooks should be arranged according to the outline, the two kinds of "similar" complements should be clearly classified, the context should be added appropriately, and the textbooks compiled in South Korea can be nationalized. Students should listen carefully, participate in classroom activities and interact with teachers. Ask for advice in case of any problem you don't understand..

파이썬을 활용한 중학교 1학년 소인수분해의 수학과 코딩 융합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Integrating Mathematics and Coding Teaching & Learning Materials Using Python for Prime Factorization in 7th Grade)

  • 김예미;고호경;허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563-585
    • /
    • 2020
  • 본 연구는 교육용 프로그래밍으로 활용할 수 있는 파이썬을 활용한 수학과 코딩의 융합 수업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기 위해 중학교 1학년 소인수분해 단원을 중심으로 수업지도안과 학생 활동지를 개발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파이선 프로그램을 사용해 본 경험이 없는 중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수학과 코딩의 융합 수업 방법 및 내용의 적절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중학교 1학년 2명의 학생들에게 적용한 결과의 분석을 통해 교수·학습 자료를 수정·보완 하여 최종 자료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수·학습 자료는 코딩을 활용하여 소인수분해를 학습하는 융합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업 방법 및 수업 내용을 구성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학과 코딩에 대한 융합 수업이 현장에서 시도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클럽활동과 동아리활동을 연계한 과제학습 자료 개발.적용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수학반 클럽활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earning materials homework assignment for students used in the classroom and extra-curricular activitives - Based on the math club activitie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

  • 김승동;조재승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115-124
    • /
    • 2001
  • This research i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Math teaching and/or learning materials in which the students are centered, not teachers, and which can, in turn, activate and reinforce the students' extra curricular Math activitie The findings I came to have through my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Math teaching and/or learning materials developed based on the students' interactions in the Math extra-curricular activities helped students to learn Math better and to be more interested in Math. 2. There was a positive attitude change toward Math on the side of the students after being introduced in and exposed to Math through the above mentioned Math teaching and/or learning materials. 3. There was a positive attitude change toward Math on the side of the students after being taught Math using the above mentioned Math teaching and/or learning materials. The suggestions I came to have through my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re need to be more consistent efforts in developing the Math teaching and/or learning materials which can be used in the Math extra-curricular activities. 2. There need to be more consistent efforts in developing Math teaching paradigms which can be used in Math extra-curricular activities. 3. There need to be more consistent efforts in developing the Math teaching and/or learning materials which can be used in the Math class as well as in Math extra-curricular activities. 4. There need to be more consistent efforts in developing the Math teaching and/or learning materials which are more grade-, unit-, and category-conscious.

  • PDF

초등영어 수업에서 자기 주도적 교수에 대한 교사의 인식 (A study of primary school teachers' beliefs on self-directed teaching in primary school English classroom)

  • 김영태
    • 영어어문교육
    • /
    • 제12권4호
    • /
    • pp.159-18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orean primary school English teachers' beliefs on self-directed teaching and learning for facilitating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315 primary school teachers as participants. According to different school areas, sex, English teaching careers, and types of English teaching like classroom teachers or English specialist teachers, beliefs on teachers' self-directed teaching were studied based on class planning, class process, utilization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eaching materials and class 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were not shown except class planning according to teachers from different school areas. Second, sex and beliefs of teachers' self-directed teaching had nothing in common. Third, differences were shown in class planning and class process, according to English teaching careers. Finally, according to types of English teaching, differences were shown in class process and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eaching materials. The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duct other studies for observing primary English classrooms focusing on teacher's self-directed decision-making.

  • PDF

화학실험 교과목에서 ARCS 동기모형을 적용한 교수자료 개발 (Development of the Teaching Materials Based on the ARCS Motivation Model in Chemistry Experiments Subject)

  • 박선희;김형수;윤기종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3호
    • /
    • pp.87-95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화학실험 교과목에서 ARCS 동기모형을 적용한 교수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요구분석(교수, 학생, 실험조교), 교과내용분석, ARCS 이론을 적용한 교수자료 설계, 개발, 적용, 효과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수자료를 적용한 결과, 실험에 대한 이해, 흥미, 동기부여, 집중정도, 실험과 이론을 연결하여 이해하는 능력이 증가하였고 실험시간은 단축되었으며 실험의 오차 범위가 줄어들었다. 그리고 안전사고 예방, 학생들이 실험에 대한 막연함 등을 해결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유치원의 교재.교구관리 프로그램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eaching Material and Tools Management Program for Kindergartens)

  • 김천희;윤삼중;박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12호
    • /
    • pp.201-215
    • /
    • 2006
  • 본 연구는 모든 유아 교육 기관의 교재 교구 관리에 있어서 양질의 전산 관리 시스템을 용이하게 사용하도록 설계 및 구현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개발한 교재 교구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은 교육부 고시에 의한 제6차 유치원 교육 과정을 준거로 개발 범위를 한정하였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든 교육 자료는 종류나 모양뿐만 아니라 구입한 시기와 만든 교사에 관계없이 교사들 모두가 쉽게 분류하고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보관할 수 있어야 하고, 유아 교육 현장에서 일단 사용한 교재 교구는 다음의 현장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보수하여 보관하여야 하는데, 경우에 따라서 사용 후에 즉시 보수가 어려우면 그 교재 교구의 보수를 위한 정보를 자세하게 기록해 둠으로써 어느 교사가 보수 작업을 하더라도 쉽게 할 수 있도록 해야할 뿐 아니라, 제작 또는 구입하여 분류한 교재 교구는 반드시 등록하여 그 자료에 관한한 모든 정보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어야 하며, 색인부를 만들어 교육 계획 수립시에 사용함으로써 교육 과정의 운영 효과를 크게 기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방침에 따라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 PDF

교수·학습자료 질 관리 시스템의 개발 (Developing the Total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 강신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21-129
    • /
    • 2004
  • 교육인적자원부(2004)의 이러닝 학습체제 구축을 위한 실태 및 요구조사에 따르면 교수 학습 자료의 질에 대한 심각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총 4717명 중 1775명 (37.68%) 이 현재 교수 학습 자료의 질적인 문제가 심각하다고 응답하였다). 뿐만 아니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연구(2002)에 따르면 웹 사이트, 기관 소장 자료, 그리고 교사 개인이 서비스하는 자료들 7만 건 중 약 8.7%에 해당하는 자료만이 우수 자료로 평가되었다. 현재 유통 보급되는 교수 학습 자료에 대한 질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이를 뒷받침하는 구체적인 정책적 대안이 제시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즉, 체계적으로 교수 학습 자료에 대한 내용적인 질 관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기존 혹은 신규 교수 학습 자료에 대해 내용적 질 관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개발된 교수 학습자료 질 관리 시스템은 16개 시 도를 포함하여 국가 수준의 질 관리 체제 수립을 위한 기초가 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교수 학습 자료에 대한 실질적인 질 관리가 이루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초등학교 통계영역의 심화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연구 : 6학년을 중심으로 (A Study on Maturity materials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Statistics in Grade 6)

  • 박영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3권2호
    • /
    • pp.109-113
    • /
    • 1999
  • To improve the elementary student's ability to classify the data and obtain the information from the data through graphics, it is necessary to use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 which encourage the student to study with interest and is adjacent to the student's environment. In this thesis. several materials to satisfy the condition is proposed together with some remarks to direct the teaching. These materials is recommended to use for the maturity learning and teaching in grade 6.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