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 experience

검색결과 1,277건 처리시간 0.026초

소규모학교 과학실험 보조교사의 경험이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수업 불안 및 과학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Experience as a Science Experiment Assistant Teacher on the Science Instruction Anxiety and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 Small Scale School)

  • 신애경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09-118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소규모학교 과학실험 보조교사로 참여한 경험이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수업 불안과 과학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등 예비교사 21명을 선정한 후 약 10개월 동안 초등학교에서 과학실험 보조교사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예비교사들에게 과학실험 보조 교사로 참여하기 전과 보조교사가 끝난 후에 과학 수업 불안과 과학 교수 효능감을 알아보는 검사를 실시하였고, 검사 결과를 분석한 후 일부 예비교사는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소규모학교 과학실험 보조교사 경험은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수업 불안도와 그 하위 요소인 과학 수업 상태 불안도 및 과학 수업 특성 불안도 모두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또한 과학 교수 효능감과 그 하위 요소인 과학 교수 자기 효능감에서는 효과가 있었으나, 과학 교수 결과기대감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과학실험 보조교사 경험은 예비교사의 개인적인 경험 및 인식에 따라 그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문제 해결 교수에 대한 중학교 수학 교사들의 신념 (The Middle Grade Teachers' Beliefs about Teaching Problem Solving)

  • 이광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385-400
    • /
    • 2007
  • 이 논문은 전미교사협회에서 제시한 수학의 문제 해결에 대한 기준과 문제 해결 교수에 관한 중학교 수학 교사들의 신념에 대하여 연구자가 직접 디자인한 설문을 시험한 연구이다. 이 설문은 타당도가 검증되었으며 신뢰도가 있음이 판명되었다. 이 설문에 응답한 중학교 수학 교사 124명의 설문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였다. 여교사와 남교사는 문제 해결 교수에 대하여 유의미하게 다른 신념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교사들의 나이는 문제 해결 교수 전략에 대한 신념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이 나타났다.

  • PDF

약학 실무실습교육에서의 효과적인 교수법 (Effective Teaching Skills in Pharmacy Practice Education)

  • 윤정현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83-290
    • /
    • 2016
  • Experiential education is a core curriculum of 6-year pharmacy education. Practicing pharmacists lie at the heart of experiential education serving as preceptors for undergraduate pharmacy students during experiential education. Preceptors are, however, confronted with a challenge of caring for patients and teaching students at the same time in a time-constrained environment.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and outcomes of experiential education, practicing pharmacists are required to demonstrate educational competence. Even small teaching moments can provide students with valuable learning opportunities that they could not have from on their own. Thus, it is vital to provide education and training for preceptors to advance their teaching skills. This article will describe practical and effective teaching skills that preceptors could adopt in the experiential education for pharmacy students. It is important that preceptors should use different teaching skills for different learners, according to their level of experience and knowledge, learning styles and needs, as well as the type of the practice. Therefore, possessing diverse teaching skills provides flexibility to adapt teaching to each student's learning levels and needs, and to the charateristics of the practice environment. Preceptors' level of confidence and comfort in using teaching skills can be enhanced through continuous practice and training, which consequently leads to the improved effectiveness of experiential education and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

초등교사의 과학과 환경 교육에 대한 수업실태 분석 및 인식도 (A 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the Subjects of Environment-related Education in Science and of Their Instructional Methods)

  • 조태호;서승조;백남권;김성규;박강은;박원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7호
    • /
    • pp.611-62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perception toward the environment-related subjects in science education and to investigate their instructional methods in delivering the subjects in the classroo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00 elementary school teachers sampled from elementary schools in Kyung Nam Provi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re than half of the teachers surveyed showed that the environment-related units and contents in the science textbook were insufficient to the existing issues. Second, the large portion of teachers responded that the teaching materials in the textbook were insufficient to deliver the contents. Third, the largest portion of respondents replied that their preferred instructional method was a teacher-directed instruction followed by a case study approach. Fourth,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of environmental education, both male and female teachers showed negative responses. Furthermore, male teachers were more negative than female teachers. Fifth, total means of their preference of the environment-related units was 3.13. The unit for sixth graders titled`Environmental Pollution and Protecting Nature'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whereas the unit for fifth graders titled`Structure and Functions of Plants'showed the lowest preference. Sixt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 in gender and their working areas. Seventh,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teachers in terms of teaching experience. In detail, the teachers with 5 to 9 teaching experience showed the lowest scores, while the teacher with more than 15 years teaching experience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their perception of the units. Eigh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erms of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For example, two-year college graduates showed higher preference than four-year college graduates.

The Analysis of the Purchasing Process and Distribution Management Requirements of Teaching Materials in Preschool

  • Jae-Moo LEE;Kyung-Seu CHO
    • 유통과학연구
    • /
    • 제22권1호
    • /
    • pp.115-125
    • /
    • 2024
  • Purpose: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urchasing process and distribution management requirements for teaching materials that have important meaning in the practical field of preschool educa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survey 103 childcare staffs regarding the purchasing process and distribution managements. The collected data underwent Likert's 5-point scale analysis and keyword grouping. Additionally,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stribution management demands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ults: The purchasing of teaching materials involved more offline channels than online, and the purchase decisions were predominantly made by principals rather than teachers. Although the purchasing process is similar to that of general businesses, there are difficulties in purchasing due to the disorganized distribution channels and limited accessibility to product information. Additionally, the management of inventory for teaching materials is challenging due to limited personnel and storage. Childcare staffs have requirements for classification systems, evaluation criteria, environments and policies related to teaching materials distribution. The need to introduce a teaching material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to ensure quality was not high. Conclusions: Most of the respondents recognized that strict management and measures should be taken for the distribution of teaching material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emand of teaching material distribution depending on the respondents' status, age, education, and experience.

e-Learning 환경에서의 몰입(Flow) 경험을 위한 교수 학습 전략 연구 (A Study on Teaching-Learning Strategies for Flow Experience in e-Learning Environment)

  • 이은경;한건우;김성식;이영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1-30
    • /
    • 2007
  • e-Learning 시스템이 그 장점과 효과성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동기 유발 및 학습 지속을 위한 세심한 교수 학습 설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동기 유발 및 학습 지속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몰입(Flow) 이론과 그와 관련된 선행 연구 자료들을 분석하고 e-Learning의 기술적 환경적 특성을 분석하여 그에 적합한 몰입 경험 촉진을 위한 교수 학습 전략들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러한 전략들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해당 전략들을 적용한 시스템을 구현한 후 실제교수 학습 현장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몰입 경험을 위한 교수 학습 전략들은 실제 학습자의 몰입 수준 향상에 도움을 주었으며, 그에 따라 학업 성취도 향상에도 기여했음을 확인하였다.

  • PDF

STEAM 수업에서의 멘토교사 경험이 예비수학교사들의 STEAM 교수 역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entoring Experience in STEAM Classes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for STEAM Education)

  • 한혜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2권1호
    • /
    • pp.1-2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STEAM 수업에서의 멘토교사 경험이 예비수학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 교수 역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사범대학과 연계된 중학교 자유학기제 수학탐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23명의 예비수학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수행되었다. 예비수학교사들의 STEAM 교수 역량의 변화 및 멘토교사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 STEAM 교수 역량 검사와 수업 일기 및 간담회 자료 분석 결과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STEAM 수업에서의 멘토교사 경험은 예비수학교사들의 STEAM 교육에 대한 지식, 교과내용지식, 교수학습방법, 수업상황 및 환경 역량 함양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특히,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STEAM 수업에서의 현장 경험이 예비수학교사들의 STEAM 교육에 대한 이해 향상과 더불어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는데 실질적으로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실습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예비교사의 수학에 대한 교사 효능 신념의 변화 (Changes in Teacher Efficacy Beliefs in Mathematic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during Student Teaching)

  • 이영혜;권종겸;이봉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4호
    • /
    • pp.407-422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초등예비교사 93명을 대상으로 교육실습 전과 후에 나타난 수학에 대한 교사 효능 신념의 변화를 조사하고, 변화를 야기한 긍정적 요인과 부정적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이전과 비교하여 교육실습 후에 수학에 대한 교사 효능 신념은 유의미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수학에 대한 교사 효능 신념의 하위요인을 분석한 결과, 수학교실 관리 영역보다 수학 교수 영역에 대한 효능 신념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수학 교수 영역에서 부정적 경험을 더 많이 한 반면에 부정적 경험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기회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수학화 교수.학습을 위한 교수단원 디자인 연구: 브레트슈나이더 공식의 재발명 (A Study on the Design of Teaching Units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sing: Reinvention of Bretschneider's Formula)

  • 박교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8권3호
    • /
    • pp.327-339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브레트슈나이더 공식의 재발명을 소재로, 중등예비교사용 수학화 교수단원 <사각형의 넓이>를 디자인하고 있다. 예비교사들이 이 교수단원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현상을 조직하는 본질을 발명하는 수학화를 경험할 수 있다. 예비교사들은 그들이 정말로 수학을 발명하는 것처럼, 브라마굽타의 공식과 브레트슈나이더 공식을 발명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수학 지식 발명의 한 가지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다. 예비교사들은 브라마굽타 공식과 브레트슈나이더 공식을 재발명하면서, 새로운 수학 지식이 이미 잘 알고 있는 수학 지식으로부터 유추를 통해 발명되는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학교수학과 학문 수학의 연결을 이해할 수 있다 예비교사들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마름모, 평행사변형, 사다리꼴의 구적 공식과 헤론의 공식과 같은 학교수학이 학문 수학이라 할 수 있는 브라마굽타의 공식과 브레트슈나이더 공식 사이의 관계를 통해, 학교수학과 학문 수학이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알 수 있다.

  • PDF

우리나라 수학교사의 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사효능감에 대한 조사 연구 (Korean Mathematics Teachers' Views on Education and Teacher Efficacy)

  • 김동원;이경화;박미미;박진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4호
    • /
    • pp.745-761
    • /
    • 201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학교사들의 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사효능감을 교직경력과 학교급에 따라 확인하고, 동아시아 문화권에서의 교육관과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572명의 초등교사 및 중등 수학교사들을 대상으로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육의 목적, 학생과 학습 및 교사에 대한 관점을 주요하게 고려하여 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그들의 교사효능감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수학교사들은 동아시아 문화권에서의 교육관만을 강하 게 지지하고 있지는 않았다. 그리고 교육에 대한 인식은 교직경력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학교급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수학교사들의 교사효능감은 높은 편이었으며, 교직경력과 학교급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동아시아 문화권에서의 교육관과 교사효능감은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수학교육과 수학교사의 수업 실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