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guides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6초

제6차 고등학교 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과학교육계 학과 교수들의 인식 (The Perceptions of the Professors i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on the 6th High School Science Curriculum)

  • 노태희;권혁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691-698
    • /
    • 1999
  • 전국 8개 사범대학 과학교육계 학과 교수 70명을 대상으로 제6차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적절성에 대한 인식을 설문으로 조사하였다. 대부분의 교수들은 제6차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 부분은 적절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교사의 탐구 지도 능력과 교육 여건을 고려할 때 '방법' 및 '평가' 부분은 적절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육과정에 제시된 방법은 실행 가능성이 적고, 다루는 내용이 너무 많고, 공통과학의 경우 교과간 통합이 부족하며, 교육과정에 진술된 항목들이 포괄적이므로 구체적 지침이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 PDF

교원 정보소양능력 함양을 위한 스프레드시트 WBI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pread Sheet WBI for improving Teacher's Information Literacy)

  • 김고일;김명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59-66
    • /
    • 2000
  • 본 논문은 새로운 교육사조로서 현재 교육 현장에 많이 시도되고 있는 구성주의의 학습 모델 중의 하나인 인지적 도제 모델을 적용하여 교사들의 정보화 소양을 높이는 데 꼭 필요한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엑셀2000의 WBI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인지적 도제 모델의 과정에 따라 학습과정을 설계하고 구성하였으며 학습은 상황에 기초하여 일어난다는 구성주의의 학습 원리에 따라 실무적인 내용을 택하고 가장 효과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하여 교수-학습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게시판이나 전자우편, 대화실 등을 통하여 교수자와 학습자 및 학습자 상호간의 상호작용이 원활히 되도록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

학습 차원을 강조한 초등 과학수업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 학습 성취도 분석 - 5학년 '열매' 단원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and Scienctific Achievement after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Lesson Emphasizing on Dimensions of Learning -Focused on Unit 'Fruits' of 5th Grade-)

  • 배진호;김동국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5호특별호
    • /
    • pp.612-619
    • /
    • 2005
  • Dimensions of learning, based on the vast studies on teaming psychology and teaming processes, have been played an important role as one of the frameworks of curriculum and teaming strategies. Dimensions of Learning consist of 5 Dimensions, each of 'Attitudes and Perceptions', 'Acquire and Integrate Knowledge', 'Extend and Refine Knowledge', 'Use Knowledge Meaningfully', 'Habits of Mind'. And each dimension has $3\~8$ lower categories in itself, The elementary 5th grade science lesson emphasizing upon Dimensions of Learning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lessons dealt with almost every lower categories of Dimensions of learning. We analysed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and scientific achievement quantitatively after the lesson emphasized upon Dimensions of Learning in comparison with typical lesson laying stress on teachers' guid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was significantly changed after the lesson emphasized upon Dimensions of Learning. The willingness, positiveness, straightforwardness, and openness of lower categories of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were more significantly changed especially. But students' scientific achievement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after the lesson emphasized upon Dimensions of Learning.

  • PDF

중학교 가정과 교사가 인식하는 주생활 영역의 세 행동체계별 목표 중요도 (Importance of objectives of Housing unit in Home Economics by three systems of action of Home Economics teachers in middle school)

  • 이희준;조재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17-131
    • /
    • 2005
  • 이 연구의 목적은 세 행동체계(기술적, 의사소통적, 해방적 행동)에 따라 개발한 중학교 기술$\cdot$가정 주생활 영역 목표에 대해 교과 담당 교사가 인식하는 각 목표의 중요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중요도 인식에 대한 자료는 전국 중학교 기술$\cdot$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체계적 무선 표집을 통해 183개교에서 303부를 우편 설문지법으로 2003년 9월 1일-30일까지 한달 동안 수집하고, SPSS/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세 행동체계별 주생활 영역 목표는 9학년 기술$\cdot$가정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 8종에 실린 주생활 단원의 목표에다 미국 오하이오주의 교육과정 가이드와 한국 교육과정 평가원에서 제시한 주생활 영역의 교육목표와 내용기준을 참고하여 개발하였다. 각 내용요소별 세 행동체계 목표는 $\ulcorner$생활공간의 활용$\lrcorner$ 단원 11개 요소 $\ulcorner$실내 환경의 조절$\lrcorner$ 단원 7개 요소 $\ulcorner$주택의 유지와 보수$\lrcorner$ 단원 3개 요소 둥 총 21개 내용 요소에 대해 각각 세 행동체계 목표, 총 63개 목표를 개발하였다. 기술$\cdot$가정과 교사들은 세 행동체계에 따라 진술한 목표 가운데 해석적 행동체계로 진술된 목표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다음은 기술적 행동체계, 해방적 행동체계 순이었다. 주생활 영역 전체에서는 해석적 행동체계 목표가 가장 중요하지만 중단원별로 보면 세 행동체계별 목표 중요도가 다소 차이가 있었다. 기술적 행동체계 목표는 세 중단원별로 중요도가 비슷한 반면, 해석적 행동체계 목표는 $\ulcorner$주택의 유지와 보수$\lrcorner$ 중단원 보다는 $\ulcorner$실내 환경과 설비$\lrcorner$ 중단원에서 더 중요하고, $\ulcorner$생활공간의 활용$\lrcorner$ 중단원은 해방적 행동체계 목표를 다른 두 중단원보다 덜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차기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과정에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세 행동체계별 주생활 영역 세부 목표의 중요도는 기술적 행동체계 중에서는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쾌적한 실내 온도를 유지하는 방법을 말한다'를 , 해석적 행동체계 중에서는 '생활쓰레기가 사회 환경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인식한다'를 , 해방적 행동체계 중에서는 '좋은 환경 만들기 운동을 통하여 친환경적 가치관을 형성한다'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어 가정과 교사들은 사회적 목표와 현실에 직면한 실천적 문제로 구성된 목표들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세 행동체계별 주생활 영역 목표 중요도는 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다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이 많거나 교직경력이 긴 교사가 그렇지 알은 교사보다 기술적 행동체계 목표들을 중요시하였으며, 여성 교사, 가정 전공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해석적, 해방적 행동목표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가정교육 철학을 배운 경험이 있는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해방적 행동체계 목표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실천 비판적인 가정 교과의 본질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주생활 영역의 교육과정에 기술적, 해석적, 해방적 행동에 대한 목표들을 고루 포함하여야 하며 특히 교사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해방적 행동에 대한 목표를 강조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고등학생을 위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로봇, 신소재, 우주 탐사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Cultivating of Intergrative Thinking Person : Centering on Robot, New Materials, Space Exploration)

  • 최유현;임윤진;노준호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95-219
    • /
    • 2013
  • 이 연구는 로봇, 신소재, 우주탐사를 주제로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융합인재교육과 로봇, 신소재, 우주 탐사 주제에 대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전략을 마련하였으며, 학생용 교재 체제, 교사용 지도서 체재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교재는 현장적용을 통해 교사와 학생의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하였다. 그 결과 로봇, 신소재, 우주탐사의 세 주제에 대한 10차시 분량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개발전략, 학생용 및 교사용 지도서 개발의 체제를 마련하는데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이 연구의 결과를 현장에 적용방안과 적용 결과에 대한 효과성 검증을 위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유아 대상 활동북과 동영상 중심의 채소 편식 개선 교육자료 개발과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Booklets and Video Clips to Prevent Children from Developing Picky Eating)

  • 이소정;이승민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451-463
    • /
    • 202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booklets and video clips to prevent children from picky eating. Method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on food preferences of preschool children aged 2 to 5 years, 14 kinds of less preferred vegetables were selected. Accordingly, educational videos, activity books, and teaching-learning guides were produced for preschool children using the 'food bridge' theory, and the educational materials were named "Friendly vegetables". Educational materials were distributed to childcare institutions, and their effectiveness was investigated for preschool children who were instructed on these materials once every 30 days from March to November, 2019. The children were examined for changes in their knowledge of names, colors, taste/texture, methods of cultivation, and preferences for vegetables before and after the instructional course. Results: The awareness of vegetables increased significantly in younger children and the picky eating group. When the assessment was carried out in terms of vegetable knowledge, it was observed that the younger the age or the pickier the in eating food, the more effective the education is compared to the counter part. The preference for vegetables also increased after the instruction compared to the pre-instruction period, but significant changes were seen only in the 2~3 year age group for boys and girls. Also, only the picky group of girls showed changes in preference. The children's average interest in the education materials was 3.85 points out of 5 points.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educational materials for standalone use in childcare facilities and confirmed that the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awareness and preferences related to vegetables. In summary, the younger the age or the pickier the child in eating food, the more effective the education. It is believed that additional education on mealtime guidance is needed which can alter the eating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and improve their diet. It is proposed to widen the scope of use of the materials by collecting diverse opinions from child care teachers.

과학의 본성 지도자료 개발과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한 시험적용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the Nature of Science and Pilot Application to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 박종원;김두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9-17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과학의 본성을 진술하는 총 42개의 진술문 각각에 대해서 1년간에 걸쳐 과학의 본성 지도자료 46개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자료는 구체적인 과학적 상황에서 과학의 본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과학개념과 탐구기능이 포함되도록 하였다. 각 자료는 학생용 활동지와 교사용 안내서로 개발되어 현장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형태로 개발되었다. 개발된 자료 중, 과학적 사고의 본성에 대한 11개 자료를 과학 영재 3명을 대상으로 시험 적용하였다. 시험 적용 결과, 난이도는 적절했으며, 학생들은 과학개념이나 탐구활동 경험보다는 과학적 사고 자체에 대해 배웠다고 반응하였고, 마찬가지로 과학적 사고 자체가 흥미로운 내용이었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학생의 반응과 교사의 관찰로부터 과학적 사고의 본성 이해가 과학적 탐구활동을 보다 참답게(authentic) 수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학생들은 과학적 사고의 본성 이해가 과학적 창의성 개발에도 도움을 준다고 하였으며, 그러한 반응이 이전의 이론적인 논의(박종원, 2007a)와도 일치하여 과학적 사고의 본성 이해가 창의력 개발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수학학습클리닉 프로그램 평가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Assessment Model for Math Clinic Program)

  • 김정현;고호경;허난;황혜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1권3호
    • /
    • pp.313-329
    • /
    • 2017
  • 수학학습클리닉은 학생과의 지속적인 만남을 통해 고민을 함께 얘기해보면서 수학학습에 대한 정의적인 부분의 변화를 강조하는 내용으로 앞으로 우리 학생들이 수학에 대해 긍정적인 마음으로 수학을 접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일선학교에서 수학학습클리닉은 각 학교에서 교사의 재량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운영이 되고 있어 수학학습클리닉이 제대로 그 목적을 달성하고 있는 지를 확인하기가 어렵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학학습클리닉 운영을 위해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사항을 점검하고 운영을 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부분을 체크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 평가모형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학습클리닉 프로그램 평가모형이 학교현장에서 수학학습클리닉이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수학학습클리닉 운영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 결과 수학학습클리닉의 운영이 보다 체계적이 될 것이며 프로그램 운영을 점검하고 운영의 문제점을 수정 보완하여 진행이 될 것이다.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제시된 보건교육 내용 분석 (An Analysis on the Health Education Content Suggested in the 7th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 김가옥;박영수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39-55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necessary fundamental data in composing a systematic text content of the public health by analyzing each text, domain, and teaching contents suggested in the textbooks as well as teachers' guides of the 7th elementary school education curriculum, while the study subjects were as follows. 1. The health education content suggested in the 7th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examined. 2. The health teaching content of each textbook in the 7th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as to be analyzed and examined. In order to resolve the above research issues, the physical, spiritual, and social domain along with the (1) Proper living habit, (2) Health and nutrition, (3) Sex education, (4) Prevention of the sense-organic diseases, (5) Cleanliness of food, (6) Oral hygiene, (7) Individual health and public health, (8) Safety in living, (9) Abuse and usage of medication, educational content suggested in the 7tand (10) Environment pollution focused around the health of th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curriculum was analyzed and its outcome was as below First, compared with the 6th elementary school education curriculum, the health content suggested in the 7th elementary school education curriculum was decreased. Second, although each grade's teaching content of the health domain in the physical education was considered in its structure following after the according systems, they were preponderant in partial subjects such as the safety in living, nutrition, proper living habit, sport, and health in sport. oo. Third, the health education content was organized in 4 units such as the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 prevention of diseases, safe living, and leisure living(leisure, spiritual health, and etc.) for the 3rd and 4th grade. Then, as for 5th and 6th grade, it was organized in 3 units such as the understanding the human body, prevention of disease, and leisure and safe living. Fourth, in the physical educational health domain, a strong point was constructed within the physical, spiritual, and social areas of the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Fifth, the number of the public health education contents directly related with the health education was 43 as with 25 indirect contents. Sixth, each grade's domain unit structure of the public health content was heavy upon the physical and social area throughout every grade while in opposite, the spiritual domain' s unit structure was weak. In according to each grade, the physical domain was stressed in 4, 5, and 6 grades while the social domain was stressed in 1, 5, and 6 grades.

  • PDF

The development of a taste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ers and evaluation of a program by parents and childcare personnel

  • Shon, Choengmin;Park, Young;Ryou, Hyunjoo;Na, Woori;Choi, Kyungsu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6권5호
    • /
    • pp.466-473
    • /
    • 2012
  • The change in people's dietary life has led to an increase in an intake of processed foods and food chemicals, raising awareness about taste education for preschoolers whose dietary habits start to grow.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parents and childcare personnel after developing a taste education program and demonstrating it in class. A part of the curriculum developed by Piusais and Pierre was referred for the program. After educating 524 preschoolers in child care facilities in Seoul, a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rogram. The data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 14.0.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frequency after collecting the data. Mean ${\pm}$ SD used to determine satisfaction with taste education, with preferences marked on a five-point scale and the alpha was set at 0.05. The program includes five teachers' guides with subjects of sweetness, saltiness, sourness, bitterness and harmony of flavor, and ten kinds of teaching tools. For the change in parents' recognition of the need for taste education based on five-point scale, the average of $4.06{\pm}0.62$ before the program has significantly increased to $4.32{\pm}0.52$ (P < 0.01). Regarding the change in the preferences for sweetness, saltiness, sourness, and bitterness, the average has increased to $3.83{\pm}0.61$, $3.62{\pm}0.66$, $3.64{\pm}0.66$, and $3.56{\pm}0.75$ respectively. In an evaluation of instructors in child care facilities, the average scores for education method, education effect, education contents and nutritionists, and teaching tools were at $4.15{\pm}0.63$, $3.91{\pm}0.50$, $4.18{\pm}0.50$, and $3.80{\pm}0.56$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need for a continuous taste education scored $4.42{\pm}0.67$. This program has created a positive change in preschoolers' dietary life, therefore the continuation and propagation of the taste education program should be considered.